검색 키워드
사물인터넷(IoT) 도입효과 분석
검색 페이지 목록
검색 결과 보고서내
9건
검색
초록
요 약 문
SUMMARY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사물인터넷 국내외 동향
제 3 장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설문 조사
제 4 장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분석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초록
4. 연구 내용 및 결과
가. 사물인터넷 정책동향
□ 해외 동향
o (미국)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는 2008년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대 혁신적인 파괴적 기술’ 중의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 활성화를 추진
o (중국) IoT 강국 도약을 위해 2009년부터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2020년까지 6,000억 달러를 IoT분야에 지원하기로 함
o (일본) 2000년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ICT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Smart Japan ICT 전략’을 발표함
- Smart Japan ICT 전략은 (1) 2020년까지 가상과 실제를 결합한 지식 정보국 건립 실현, (2) ICT에 의한 일본자국, 상대국 및 전세계의 3대 과제 해결, (3) 정보를 바탕으로 국제수준에서의 속도와 실천의 3가지 비전을 제시
o (영국) 영국은 사물인터넷의 개념을 최초로 정립하는 등 관련 산업 선도국가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시장을 주도하고 기업·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R&D 전략을 펴고 있음
- 영국의 사물인터넷 R&D전략: ①기술표준화 주도, ②IoT 상용화 촉진을 위한 민간 지원 ③국제적인 협력 시도
o (EU) 2009년 14개의 IoT 액션 플랜을 발표하고, 연구개발, 표준화, 서비스, 인프라 구축, 개인정보 보호, 법․제도, 민․관 파트너십 등 행동지침을 제시
- 2014년 9월에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률적 환경에 맞춘 사물인터넷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에 앞서 생태계 속에서의 개인정보보호 위협 요소를 살펴보기 위해 의견서를 발표
□ 국내 동향
o 우리나라도 IoT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음
- ‘초연결 디지털 혁명의 선도국가 실현’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수립(’14. 5)
- 미래창조과학부는 사물인터넷, 인터넷금융 활성화를 위해 규제개혁을 추진하기로 하며, ‘IoT’와 ‘인터넷금융’을 융합 신산업 분야로 선정(’14. 9)
- 가전, 의료기기 및 자동차 등 IoT의 실생활 영향력 확대에 따른 IoT 보안 구축 및 스마트 안심 국가 실현 필요성 증대됨에 따라서 'IoT 정보보호 로드맵'을 수립(’14. 9)
- IoT 글로벌 민·관 협의체에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기업이 참여하여 이종 기업간의 협력 활성화 유도
- 국토교통부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시범사업을 추진
- 정부는 I-C-B-M* 기반 미래 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ICBM 융합형 서비스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나. 사물인터넷 시장동향
□ 해외 동향
o 국내외 연구원 및 시장전문 기관은 공통적으로 사물인터넷 기기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른 시장규모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
- 산업경제연구원은 2022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현재보다 5배 이상 성장한 1,22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 BI인텔리전스는 2018년에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90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며,이에 따라 2019년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가치도 1조 7,000억 달러에 크게 성장할것으로 전망
- 가트너는 세계 사물인터넷 서비스 지출액이 2020년 2,630억 달러로 증가하며, 사물인터넷 연결기기도 250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Cisco는 2020년 500억개의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며, 민간부문에서 14조, 공공부문에서 4조원의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
o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점이 ‘Network of Things’ 중심에서 ‘Service of Things’로의 변하고 있음
o 가트너의 2014년판 유망 기술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에서는 가장 유망한 기술로 IoT 분야가 선정되었으며, 향후 스타트업이 사물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
□ 국내 동향
o 국내 이동통신사 및 대기업 중심으로 활발한 IoT관련 움직임을 보임
- SK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및 LG전자의 움직임이 구체화 되고 있으며,관련 중소업체의 움직임도 가시화 되고 있음
o 사물인터넷 발전에 있어서 ▲ 고사용 전력 문제 ▲ 원천기술 ▲ 보안이라는 3대 난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음
o 휴대폰·사물인터넷 관련 시장이 기기 적합성평가 시험의 비용 상승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
다. 사물인터넷 산업동향
□ 글로벌 동향
o 글로벌 기업간 연합과 협업을 통한 사물인터넷 시장 진출
o 해외 IoT관련 업계, 글로벌 ICT 업체를 중심으로 선점 활동 강화
- Microsoft, Oracle 과 같은 소프트웨어 업체들은 자사의 플랫폼 MS Azure, Java ME등을 내세워 IoT플랫폼 시장 선점을 위한 활동 강화
o 사물인터넷 시장은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되는 시장으로 글로벌 기업간 플랫폼 주도권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IoT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한 관계 업체 경쟁 심화되고 있으며, 제조사‧정부‧IT 업체 등 IoT 관계자, 플랫폼 선점을 위해 경쟁 강화
□ 기업 동향
o (인텔) 사물인터넷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IoT 제품개발, 인프라 제공, 솔루션 개발, 타업체와 협력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o (구글) 넥스트 랩스 등 사물인터넷 관련 기업을 인수, URL기반 피지컬웹 개발 등 시장선점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o (시스코) 사물인터넷 인프라 완성하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자사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포그 컴퓨팅 전략을 확대하고 있음
o (삼성전자) 사물인터넷을 위한 타이젠 OS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사의 가전분야에 타이젠 이용을 확대하고자 함
- 또한, 사물인터넷 확산을 위해 표준과 오픈소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제표준개발과 오픈소스개발 및 보급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o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 네스트와 포괄적 협력 양해 각서 체결, 구글과 특허 공유계약 체결 등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통해 사물인터넷 시장 진출을 시도함
o (SKT)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적용한 IoT 전용망 구축, 5G 개인화셀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현대리바트, 경동나비엔 등 제조업과의 협업을 통해 사물인터넷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라. 사물인터넷 표준화관련 동향
□ 국내외 기업동향
o 소비자들은 시장의 ‘대세’가 된 표준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글로벌 가전·IT 기업들은 네트워크 사용자 확보를 위한 IoT 표준전쟁 중
o 통신표준규격과 운영체제(OS)간 호환성이 없는 IoT 분야에서 독자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신시장 패권’ 장악 노력 치열
o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퀄컴, 인텔, 구글 등 글로벌 기업 주도로 AllSeen Alliance, OIC, Thread Group, QIVICON 각각 구성하여 활동
□ 사물인터넷 표준관련 국제기구 동향
o 사물인터넷 표준과 관련하여 ITU, One M2M, ISO/IEC JTC 1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사물인터넷 표준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ITU) 2005년 「Internet of Things(IoT)」 보고서 발간 이후 본격적인 IoT 관련 논의진행하고 있으며, IoT의 정의를 내리는 등 핵심 권고안 개발을 진행 중에 있음
- (One M2M) M2M/IoT 분야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서비스플랫폼 표준 마련을 위해 2012년 7월 세계 지역별 대표 표준화기관이 공통으로 설립한 국제 표준화 협력기구로 2014년 8월 사물인터넷 서비스플랫폼 표준인 ‘oneM2M 릴리즈 1.0’을 승인
- (ISO/IEC JTC 1)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국제표준화 공동기술위원회(JTC 1)는 IoT 표준 워킹그룹(WG 7)을 조직,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마. 사물인터넷 보안관련 동향
□ 사물인터넷 보안 취약성 대두
o 사물인터넷 기기가 확산되고 개인정보 유통됨에 따라 공공 안전과 개인 프라이버시가 위협받고 있음
o 글로벌 기업들의 사물인터넷 시장 공략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보안솔루션 대책은 여전히 미비한 것으로 나타남
o 정보시스템감사통제협회(ISACA)는 소비자, 기업을 대상으로 IoT관련 개인정보 유출·보안 인식에 대해 설문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기업은 IoT 증가에 따른 보안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o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 수의 증가로 인해 접속기회가 확장, 해킹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증대하는 등 새로운 보안위협 대두
바.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o 사물인터넷 도입현황 및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도입기업 200개 업체를 대상으로 1차 현황조사와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심층조사를 진행함
- (현황조사) 기업일반현황, IoT 도입현황, 정부지원방안, 애로 및 건의사항을 기본으로 조사하며, 세부적인 경영개선효과, 기술수준, 기술확보방법 등을 기초조사
- (심층조사) IoT 도입계기 및 과정, 도입 애로사항, 도입효과, 정부지원방안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사업전반의 효과 등에 대해 파악함
o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매출액 개선효과
-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매출액 부분의 개선효과로 139개의 기업이 성과개선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음
- 분석결과 2014년의 경우 평균 22.2%의 매출액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반면, 개선효과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7개 기업에 해당되었으며, 16개 기업은 성과개선 효과가 전년도 이하라고 응답함
o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
-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내부프로세스 부분의 개선효과로 운영비 절감,업무시간 단축, 생산능력 확대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함
- 분석결과 운영비 절감은 평균 9.9% 개선되었다고 68개 기업이 응답함
- 업무시간 단축은 평균 8.2% 개선되었다고 60개 기업이 응답함
- 생산능력 확대는 평균 11.8% 개선되었다고 86개 기업이 응답함
-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는 전체적으로 10%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 산정을 위한 가중치는 각 지표별 1/3을 가중치로 적용함
o 신제품 개발 개선효과
-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2014년 신제품 개발개선효과로 평균 24.3% 개선되었다고 124개 기업이 응답함
사.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및 시사점
□ 중앙정부 및 유관 기관의 관련 역할정립 및 정책수행 능력 확보
o 사물인터넷의 가치 창출 극대화를 위해서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의 역할 정립 및 정책수행 능력 확보가 필수적
- 사물인터넷을 거시적인 경제 발전 정책의 일부로 포함시켜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장려하는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고 관련 R&D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함
□ 사물인터넷 보안관련 정책 및 인프라 마련
o IoT 시스템 맞춤형 융합보안 체계화 필요
- 정보‧물리적 보안의 융합 또는 보안기술이 IT융합산업에 적용되어 창출되는 ‘융합보안’ 활성화 및 이를 위한 정보보안 관련 조직 관리·감독 체계 일원화 필요
o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에 어떤 기기, 사람, 애플리케이션, 모바일접속경로, 위치 등 접속돼 있는지 ‘가시성’ 확보가 필요함
o 많은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접속돼 있어 보안이 취약해질 수밖에 없으며, 단순히 데이터 도용뿐만 아니라 사람의 생명이 포함된 안전의 문제와 관련 있음
□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의 구심점 마련
o 정부 주도로 비영리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정책이 필요
o 대기업이 중심의 사물인터넷 생태계가 조성될 경우 중소 협력업체들이 참여하지 못하여 성과가 반감되는 경우가 발생
- 선진국의 경우와 같이 정부 주도로 비영리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생태계 전반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정책적 고민 필요4. Research Results
A. Foreign & Domestic Trend of IoT Policies
o The US National Intelligence Committee (NIC) has selected IoT as one of the new innovative destructive technologies that will influenc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2008; the vitaliz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IoT is being promoted
o China is conducting strong governmental support since 2009 to develop into an IoT power nation, supporting up to 600 billion USD till 2020 in the field of IoT
o Japan has been promoting ICT development strategies continuously since the early 2000’s, presenting the ‘Smart Japan ICT Strategy’ in 2014
o Korea has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oT, supporting the vitalization of industry in national levels
- Establishment of IoT basic planning for ‘realization of leading nation in the hyper-connected digital innovation age’ (reference. 5)
-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has designated ‘IoT’ and‘Internet Finance’ as미래the new industry of convergence, along with promoting a regulation reformation(reference. 9)
B. Survey & Result Analysis of IoT Introduction Effects
o A preliminary status survey & IoT introduction effect in-depth survey will be conducted targeting 200 IoT-utilizing compan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status of IoT
- (General status survey) Basic survey and investigation concerning general status of companies, IoT introduction status, governmental support measures, difficulties & suggestions, specific business management enhancement effects, technical standards, and technology securement methods
- (In-depth survey) Understanding of general industrial effects, along with investigation of IoT introduction process, difficulties, effects, and governmental support measures
o Sales enhancement effect based on IoT introduction
- 139 companies have responded to a performance enhancement effect in terms of sales afterintroduction of IoT
- An average of 22.2% in 2014 was achieved in terms of sales
- 47 companies responded that no enhancement effects were achieved, and 16 companies replied that the expected achievement enhancement effects were below expectation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year
o Internal process improvement effects
- Survey conducted based on the reduction of operational cost, work hours, and expansion of productivity concerning internal processes after introduction of IoT
- 68 companies replied that a 9.9% operational cost reduction was achieved
- 60 companies replied that an 8.2% work time reduction was achieved
- 86 companies replied that a 11.8% productivity expansion was achieved
- An overall 10% improvement effect has been achieved
C. Political Suggestions & Implications for Vitalization of IoT
o Systemization of roles between central government & related organizations, along with securement of political execution capabilities
- Securement of capabilities in not only central governments but local governments & organizations are critical for maximization of value creation of IoT
o Establishment of IoT security related policies & infrastructure
- A systematic organization of management & supervision of information security for the vitalization of ‘convergence security’, created through applying security technology in IT convergence industries including information & physical convergence of security matters
o A central focus on promoting IoT policies is necessary, along with active participation by non-profitable research facilities of governments that will lead the cooperation of the IoT ecology system
요 약 문
요 약 문1. 제 목 : 사물인터넷(IoT) 도입 효과 분석2. 연구 목적 및 필요성1) 연구의 필요성o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산과 네트워크의 고도화가 이루어지면서 사물인터넷 산업이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 그러나, 사물인터넷에 대한 국내외 시장현황 및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에 대한 분석 자료가 미비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o 미래부의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성과목표(생산성․효율성 향상) 달성을 위한 실태파악과 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효과분석 필요(2013년→2020년, 이용기업 성과 30% 향상을 목표로 설정)o 아울러, 실시간으로 변하는 사물인터넷 관련 시장 및 정책 동향 파악을 위해 관련 정보를 유관기관과 공유하는 국내외 사물인터넷 산업의 정보공유 체계 구축 필요- 이를 통해 관계기관의 이해를 증진하고, 국내 사물인터넷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공유 체계 마련2) 연구의 목적o 급변하는 초연결시대 국내‧외 사물인터넷(IoT) 정책현황을 조사하여 정부의 IoT 정책에 반영하는 등 국내 IoT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 마련- 정책동향 조사를 기초로 사물인터넷 산업의 시장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전망을 예측하여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ix -- 정부 차원에서 사물인터넷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산업의 최신 동향 파악과 더불어, 기술적·사회적 환경 변화에 대한 추진동향을 분석해 새로운 정책 수요에 대응-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시 참고자료로 활용o 사물인터넷 이용기업의 도입효과를 분석해 정부 차원에서 설정한 성과목표 달성과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 참고자료 확보3. 연구의 구성 및 범위o 사물인터넷 시장 환경분석 및 사물인터넷 영역별 국내외 현황분석- 국내외 사물인터넷 기술 및 서비스 등 정책 동향 파악을 위해 언론매체,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 세미나 자료, 기업 개별접촉, 리서치 자료 등 조사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 기술동향, 성공사례 등 분석- 사물인터넷 동향은 정책 동향, 시장 동향, 산업계 동향 및 표준화 동향 등 사물인터넷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동향을 분석-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 정책 동향자료는 미래창조과학부 및 ICT 유관 기관에 정기적으로 제공해 사물인터넷 관련 지식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특정 이슈에 대해서는 ‘사물인터넷 정책추진동향 분석 연구반(가칭)’ 및 전문가를 활용해 심층분석 실시o 사물인터넷 활용에 대한 경제․사회적 효과 분석 - 국내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생산성 및 효율성, 수익률 등 계량화된 효과와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등 비계량적인 효과를 분석-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성과목표(생산성․효율성 향상)와 관련해 활용기업 대상 도입이후 발생한 효과에 대해 기초 설문조사(1차조사)와 심층 사례조사(2차조사) 실시- 조사결과를 토대로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경제․사회적 효과 분석 및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전략 방안 수립 마련- x -4. 연구 내용 및 결과가. 사물인터넷 정책동향□ 해외 동향o (미국)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는 2008년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대 혁신적인 파괴적 기술’ 중의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고,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 활성화를 추진o (중국) IoT 강국 도약을 위해 2009년부터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20년까지 6,000억 달러를 IoT분야에 지원하기로 함o (일본) 2000년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ICT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Smart Japan ICT 전략’을 발표함- Smart Japan ICT 전략은 (1) 2020년까지 가상과 실제를 결합한 지식 정보국 건립 실현, (2) ICT에 의한 일본자국, 상대국 및 전세계의 3대 과제 해결, (3) 정보를 바탕으로 국제수준에서의 속도와 실천의 3가지 비전을 제시o (영국) 영국은 사물인터넷의 개념을 최초로 정립하는 등 관련 산업 선도국가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시장을 주도하고 기업·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R&D 전략을 펴고 있음- 영국의 사물인터넷 R&D전략: ①기술표준화 주도, ②IoT 상용화 촉진을 위한 민간 지원 ③국제적인 협력 시도o (EU) 2009년 14개의 IoT 액션 플랜을 발표하고, 연구개발, 표준화, 서비스, 인프라 구축, 개인정보 보호, 법․제도, 민․관 파트너십 등 행동지침을 제시- 2014년 9월에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률적 환경에 맞춘 사물인터넷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에 앞서 생태계 속에서의 개인정보보호 위협 요소를 살펴보기 위해 의견서를 발표- xi -□ 국내 동향o 우리나라도 IoT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음- ‘초연결 디지털 혁명의 선도국가 실현’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수립(’14. 5)- 미래창조과학부는 사물인터넷, 인터넷금융 활성화를 위해 규제개혁을 추진하기로 하며, ‘IoT’와 ‘인터넷금융’을 융합 신산업 분야로 선정(’14. 9)- 가전, 의료기기 및 자동차 등 IoT의 실생활 영향력 확대에 따른 IoT 보안 구축 및 스마트 안심 국가 실현 필요성 증대됨에 따라서 'IoT 정보보호 로드맵'을 수립(’14. 9)- IoT 글로벌 민·관 협의체에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기업이 참여하여 이종 기업간의 협력 활성화 유도- 국토교통부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시범사업을 추진- 정부는 I-C-B-M* 기반 미래 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ICBM 융합형 서비스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나. 사물인터넷 시장동향□ 해외 동향o 국내외 연구원 및 시장전문 기관은 공통적으로 사물인터넷 기기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른 시장규모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 산업경제연구원은 2022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현재보다 5배 이상 성장한 1,22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BI인텔리전스는 2018년에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90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에 따라 2019년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가치도 1조 7,000억 달러에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가트너는 세계 사물인터넷 서비스 지출액이 2020년 2,630억 달러로 증가하며, 사- xii -물인터넷 연결기기도 250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Cisco는 2020년 500억개의 단말기가 인터넷에 연결될 것으로 전망하며, 민간부문에서 14조, 공공부문에서 4조원의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o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점이 ‘Network of Things’ 중심에서 ‘Service of Things’로의 변하고 있음o 가트너의 2014년판 유망 기술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에서는 가장 유망한 기술로 IoT 분야가 선정되었으며, 향후 스타트업이 사물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 국내 동향o 국내 이동통신사 및 대기업 중심으로 활발한 IoT관련 움직임을 보임- SK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및 LG전자의 움직임이 구체화 되고 있으며, 관련 중소업체의 움직임도 가시화 되고 있음o 사물인터넷 발전에 있어서 ▲ 고사용 전력 문제 ▲ 원천기술 ▲ 보안이라는 3대 난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음o 휴대폰·사물인터넷 관련 시장이 기기 적합성평가 시험의 비용 상승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다. 사물인터넷 산업동향□ 글로벌 동향o 글로벌 기업간 연합과 협업을 통한 사물인터넷 시장 진출o 해외 IoT관련 업계, 글로벌 ICT 업체를 중심으로 선점 활동 강화- Microsoft, Oracle 과 같은 소프트웨어 업체들은 자사의 플랫폼 MS Azure, Java ME 등을 내세워 IoT플랫폼 시장 선점을 위한 활동 강화- xiii -o 사물인터넷 시장은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되는 시장으로 글로벌 기업간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IoT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한 관계 업체 경쟁 심화되고 있으며, 제조사‧정부‧IT 업체 등 IoT 관계자, 플랫폼 선점을 위해 경쟁 강화□ 기업 동향o (인텔) 사물인터넷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IoT 제품개발, 인프라 제공, 솔루션 개발, 타 업체와 협력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o (구글) 넥스트 랩스 등 사물인터넷 관련 기업을 인수, URL기반 피지컬웹 개발 등 시장선점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o (시스코) 사물인터넷 인프라 완성하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자사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포그 컴퓨팅 전략을 확대하고 있음o (삼성전자) 사물인터넷을 위한 타이젠 OS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사의 가전분야에 타이젠 이용을 확대하고자 함- 또한, 사물인터넷 확산을 위해 표준과 오픈소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제표준개발과 오픈소스개발 및 보급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o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 네스트와 포괄적 협력 양해 각서 체결, 구글과 특허 공유 계약 체결 등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통해 사물인터넷 시장 진출을 시도함o (SKT)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적용한 IoT 전용망 구축, 5G 개인화셀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현대리바트, 경동나비엔 등 제조업과의 협업을 통해 사물인터넷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음라. 사물인터넷 표준화관련 동향□ 국내외 기업동향- xiv -o 소비자들은 시장의 ‘대세’가 된 표준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글로벌 가전·IT 기업들은 네트워크 사용자 확보를 위한 IoT 표준전쟁 중o 통신표준규격과 운영체제(OS)간 호환성이 없는 IoT 분야에서 독자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신시장 패권’ 장악 노력 치열o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퀄컴, 인텔, 구글 등 글로벌 기업 주도로 AllSeen Alliance, OIC, Thread Group, QIVICON 각각 구성하여 활동□ 사물인터넷 표준관련 국제기구 동향o 사물인터넷 표준과 관련하여 ITU, One M2M, ISO/IEC JTC 1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사물인터넷 표준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ITU) 2005년 「Internet of Things(IoT)」 보고서 발간 이후 본격적인 IoT 관련 논의 진행하고 있으며, IoT의 정의를 내리는 등 핵심 권고안 개발을 진행 중에 있음- (One M2M) M2M/IoT 분야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서비스플랫폼 표준 마련을 위해 2012년 7월 세계 지역별 대표 표준화기관이 공통으로 설립한 국제 표준화 협력기구로 2014년 8월 사물인터넷 서비스플랫폼 표준인 ‘oneM2M 릴리즈 1.0’을 승인- (ISO/IEC JTC 1)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국제표준화 공동기술위원회(JTC 1)는 IoT 표준 워킹그룹(WG 7)을 조직,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마. 사물인터넷 보안관련 동향□ 사물인터넷 보안 취약성 대두o 사물인터넷 기기가 확산되고 개인정보 유통됨에 따라 공공 안전과 개인 프라이버시가 위협받고 있음o 글로벌 기업들의 사물인터넷 시장 공략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보안솔루션 대책은 여전히 미비한 것으로 나타남- xv -o 정보시스템감사통제협회(ISACA)는 소비자, 기업을 대상으로 IoT관련 개인정보 유출·보안 인식에 대해 설문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기업은 IoT 증가에 따른 보안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o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 수의 증가로 인해 접속기회가 확장, 해킹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증대하는 등 새로운 보안위협 대두바.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o 사물인터넷 도입현황 및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도입기업 200개 업체를 대상으로 1차 현황조사와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심층조사를 진행함- (현황조사) 기업일반현황, IoT 도입현황, 정부지원방안, 애로 및 건의사항을 기본으로 조사하며, 세부적인 경영개선효과, 기술수준, 기술확보방법 등을 기초조사- (심층조사) IoT 도입계기 및 과정, 도입 애로사항, 도입효과, 정부지원방안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사업전반의 효과 등에 대해 파악함o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매출액 개선효과-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매출액 부분의 개선효과로 139개의 기업이 성과개선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음- 분석결과 2014년의 경우 평균 22.2%의 매출액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반면, 개선효과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7개 기업에 해당되었으며, 16개 기업은 성과개선 효과가 전년도 이하라고 응답함o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내부프로세스 부분의 개선효과로 운영비 절감, 업무시간 단축, 생산능력 확대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함- 분석결과 운영비 절감은 평균 9.9% 개선되었다고 68개 기업이 응답함- 업무시간 단축은 평균 8.2% 개선되었다고 60개 기업이 응답함- 생산능력 확대는 평균 11.8% 개선되었다고 86개 기업이 응답함- xvi --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는 전체적으로 10%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 산정을 위한 가중치는 각 지표별 1/3을 가중치로 적용함o 신제품 개발 개선효과-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2014년 신제품 개발개선효과로 평균 24.3% 개선되었다고 124개 기업이 응답함사.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및 시사점□ 중앙정부 및 유관 기관의 관련 역할정립 및 정책수행 능력 확보o 사물인터넷의 가치 창출 극대화를 위해서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역할 정립 및 정책수행 능력 확보가 필수적- 사물인터넷을 거시적인 경제 발전 정책의 일부로 포함시켜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장려하는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고 관련 R&D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함□ 사물인터넷 보안관련 정책 및 인프라 마련o IoT 시스템 맞춤형 융합보안 체계화 필요- 정보‧물리적 보안의 융합 또는 보안기술이 IT융합산업에 적용되어 창출되는 ‘융합보안’ 활성화 및 이를 위한 정보보안 관련 조직 관리·감독 체계 일원화 필요o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에 어떤 기기, 사람,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접속경로, 위치 등 접속돼 있는지 ‘가시성’ 확보가 필요함o 많은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접속돼 있어 보안이 취약해질 수밖에 없으며, 단순히 데이터 도용뿐만 아니라 사람의 생명이 포함된 안전의 문제와 관련 있음□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의 구심점 마련 o 정부 주도로 비영리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정책이 필요o 대기업이 중심의 사물인터넷 생태계가 조성될 경우 중소 협력업체들이 참여하지 못하- xvii -여 성과가 반감되는 경우가 발생- 선진국의 경우와 같이 정부 주도로 비영리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생태계 전반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정책적 고민 필요5. 정책적 활용 내용o 국내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를 분석해 향후 정부의 사물인터넷 관련 전략 수립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사물인터넷 활용에 따른 경제․사회적 효과를 도출o 국내외 주요 기관 및 기업의 사물인터넷 추진동향을 분석해 국내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추진 이슈를 발굴하고 사물인터넷 활성화 정책 방안 마련 지원6. 기대효과o 정기적으로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동향 분석 자료를 공유해 사물인터넷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하고 사물인터넷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체계 구축o ICT 기술발전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관련 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연구 자료로 활용- xviii -
SUMMARY
SUMMARY1. Title : Study on the effect of the IoT introduction2. Purpose of the Researcho Establishment of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domestic IoT industry competitiveness through researching foreign & domestic IoT political status in a period of rapid hyper connectivity, reflecting such research results on the government’s IoT policies- Gathering of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future forecast & understanding of IoT industry market status through basic research on political trends- Response to new political demand through analysis of promotional trend on technical &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advanced trend of industry for securing future growth power of IoT- Utilization of data as reference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Korea’s IoT vitalization o Securement of political reference for establishing a promotional strategies & achieving government goals through analysis of application effects of IoT-using companies 3. Scope of the Researcho Market environment, foreign & domestic status research by sector of IoT- Analysis of IoT technical trends & successful cases through study of reports, seminar data, company contacts, and research data issued by mass media & organizations or understanding the political trend of foreign & domestic IoT - xix -technology & service- Foreign & domestic environmental trend of IoT will be analyzed including political, market, industrial & standardization trendo Analysis of both metric and non-metric effects according to introduction of domestic IoT including productivity, effectiveness & profitability, along with economical & social effects, respectively. - Execution of basic survey (1st survey) & advanced case survey (2nd survey) on introduction effects of IoT utilizing companies related to IoT basic performance goal (enhancement of productivity & effectiveness)o Establishment of strategic measures for IoT vitalization, along with economical & social effect analysis4. Research ResultsA. Foreign & Domestic Trend of IoT Policieso The US National Intelligence Committee (NIC) has selected IoT as one of the new innovative destructive technologies that will influenc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2008; the vitaliz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based on IoT is being promotedo China is conducting strong governmental support since 2009 to develop into an IoT power nation, supporting up to 600 billion USD till 2020 in the field of IoTo Japan has been promoting ICT development strategies continuously since the early 2000’s, presenting the ‘Smart Japan ICT Strategy’ in 2014o Korea has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oT, supporting the vitalization of industry in national levels- xx -- Establishment of IoT basic planning for ‘realization of leading nation in the hyper-connected digital innovation age’ (reference. 5)-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has designated ‘IoT’ and ‘Internet Finance’ as미래the new industry of convergence, along with promoting a regulation reformation(reference. 9)B. Survey & Result Analysis of IoT Introduction Effectso A preliminary status survey & IoT introduction effect in-depth survey will be conducted targeting 200 IoT-utilizing compan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status of IoT- (General status survey) Basic survey and investigation concerning general status of companies, IoT introduction status, governmental support measures, difficulties & suggestions, specific business management enhancement effects, technical standards, and technology securement methods- (In-depth survey) Understanding of general industrial effects, along with investigation of IoT introduction process, difficulties, effects, and governmental support measureso Sales enhancement effect based on IoT introduction- 139 companies have responded to a performance enhancement effect in terms of sales afterintroduction of IoT- An average of 22.2% in 2014 was achieved in terms of sales - 47 companies responded that no enhancement effects were achieved, and 16 companies replied that the expected achievement enhancement effects were below expectation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yearo Internal process improvement effects- xxi -- Survey conducted based on the reduction of operational cost, work hours, and expansion of productivity concerning internal processes after introduction of IoT- 68 companies replied that a 9.9% operational cost reduction was achieved- 60 companies replied that an 8.2% work time reduction was achieved- 86 companies replied that a 11.8% productivity expansion was achieved- An overall 10% improvement effect has been achievedC. Political Suggestions & Implications for Vitalization of IoT o Systemization of roles between central government & related organizations, along with securement of political execution capabilities- Securement of capabilities in not only central governments but local governments & organizations are critical for maximization of value creation of IoTo Establishment of IoT security related policies & infrastructure- A systematic organization of management & supervision of information security for the vitalization of ‘convergence security’, created through applying security technology in IT convergence industries including information & physical convergence of security matterso A central focus on promoting IoT policies is necessary, along with active participation by non-profitable research facilities of governments that will lead the cooperation of the IoT ecology system5. Policy Suggestions for practice useo Deduction of economical & social effects according to use of IoT, along with reference when establishing IoT related strategies through analysis of application - xxii -effectso Supporting of IoT vitalization policy measures and cultivating new political issues for industrial vitalization of domestic IoT issues through analysis of IoT trends of major organization & companies, both foreign and domestic 6. Expected Effectso Formation of a knowledge system tha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oT industry, and strengthening of cooperation with IoT related organization through sharing of analytical data of foreign & domestic IoT companieso Utilization as a advanced research data for establishing an IoT vitalization related strategy for responding to new paradigm changes based on ICT technical advances - xxiii -
제 1 장 서 론
제 1 장 서 론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가. 연구의 배경1)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등장과 현황o 인터넷 산업의 지속적 성장으로 2020년 인터넷 인구 50억 명, 1,000억대의 인터넷 접속기기 시대가 도래할 전망- 50억 명의 인터넷 인구를 위한 개인형 스마트 서비스와 클라우드 서비스, 인터넷 접속기기와 사물간의 지능화된 서비스 확산 추세o 환경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소와 이용자의 삶의 질 향상, 새로운 사업기회 제공 등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사물인터넷에 대한 기대 증가- 단순한 정보교류 도구에서 개인과 기업, 정부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기반 인프라로 IoT의 역할 확대o 한국의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를 구현했으나, 사물인터넷 분야는 M2M 중심의 제한적 비즈니스 모델, 기술 개발 및 표준화 지연, 관련 법령 미흡 등으로 생태계 활성화 여건이 열악한 한계에 직면- 기술개발 지연, 단말/기기 인터페이스, 플랫폼, OS 등 기반 인프라 표준화 미흡 등으로 외산 중심의 산업 구조 지속2) 사물인터넷 개념 및 중요성- 1 -o 사물인터넷의 주요 개념- 사물 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에 P&G社의 케빈 애쉬튼(Kevin Ashton)이 “RFID 및 기타 센서를 일상생활 속 사물에 탑재함으로써 사물 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최초로 사용- 2005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처음으로 사물인터넷 관련 보고서를 발간해 사물인터넷의 개념을 정립하고 관련 기술과 발전방향을 제시※ ITU는 보고서에서 모든 기기 및 사물에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되면서사물과 사람 간 또는 사물 간의 새로운 통신 유형이 등장할 것을 예측- 사물인터넷은 인간과 사물, 서비스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의 인위적인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교환 및 처리 등의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이라 할 수 있음o 사물인터넷의 진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지능통신을 할 수 있는 M2M의 개념은 인터넷으로 영역을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빠르게 진화[그림 1-1] 사물인터넷의 개념 변화[그림 1-1] 사물인터넷의 개념 변화 자료: Casaleggio Associati, The Evolution of Internet of Things, 2011- 2 -o M2M에서 사물인터넷(IoT)으로의 전개-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지능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M2M은 인터넷을 매개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면서 IoT(Internet of Things)로 영역을 확장 중[그림 1-2] M2M과 사물인터넷(IoT)의 개념 변화[그림 1-2] M2M과 사물인터넷(IoT)의 개념 변화3) 사물인터넷 세계 시장현황o 다양한 산업과 융·복합이 가능한 사물인터넷의 거대 시장규모-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공공안전, 리테일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 시장이 확장되고 있으며, 기존 헬스케어, 스마트 에너지 관련분야 뿐 아니라 지능형 교통서비스, 사회 인프라 원격관리 서비스 등으로 확대 전망o 해외 주요 국가 및 글로벌 기업의 사물인터넷 시장 선점- 해외 주요 국가들은 사물인터넷 글로벌 시장 선점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계획을 바탕으로 기술개발, 연구센터 설립, 산업단지 조성, 의무화 정책 등을 통해 시장 활성화 및 국민 생활 편의를 도모 - 3 -[그림 1-3]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국 정책 동향[그림 1-3]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국 정책 동향[그림 1-4] 글로벌 기업의 사물인터넷 추진 동향 [그림 1-4] 글로벌 기업의 사물인터넷 추진 동향 - 4 -o 한편 국내 및 해외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 관련 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을 차세대 디지털 혁명으로 여기며, 기기 수 증가에 따라 경제적 가치가 급속하게 증가할 것이라는 긍정적 견해를 보임- ICT 인프라와 제조업 경쟁력을 갖춘 국내 시장도 세계적 추세와 마찬가지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o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14년 현재 237조원에서 ’20년 1,035조원으로 6년간 약 4.4배,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은 현재 2.7조원에서 ’20년 17.1조원으로 약 6.3배 성장 할것으로 예측됨[그림 1-5] 사물인터넷 시장규모 전망[그림 1-5] 사물인터넷 시장규모 전망자료: 하나금융경영연구소(차세대 디지털 혁명, 사물인터넷(IoT)의 가능성, 2014)o 국내 정부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산업 육성에 대해 주요 부처를 중심으로 육성계획을 수립중에 있음- 청와대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산자원부 등 ICT와 관련된 총괄 기관을 중심으로 사물인터넷에 대한 인프라 구축과 이를 위한 예산 투자를 검토중- 제조업 및 ICT 강점을 살려 사물인터넷 사업 육성 의지를 밝혔으며,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소프트웨어와 센서 산업 육성을 포함한 지원 계획을 수립 중임- 5 -[그림 1-6] 정부의 사물인터넷 산업 육성 의지 [그림 1-6] 정부의 사물인터넷 산업 육성 의지 나. 연구의 필요성o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산과 네트워크의 고도화가 이루어지면서 사물인터넷 산업이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 그러나, 사물인터넷에 대한 국내외 시장현황 및 사물인터넷 도입으로 인한 효과에 대한 분석자료 등이 부족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또한, 사물인터넷 산업은 국내 시장 전반의 혁신은 물론 사회 전반의 변혁을 초래할 수 있는 응용력이 높은 것으로 국내에서도 시장 활성화의 중요성은 강조되었으나, 사물인터넷 분야 체계적인 지식공유 체계가 부재해 일관성 있는 정책동향 파악에 애로o 국내외 사물인터넷 산업의 정보공유 체계 구축을 통해 이 부문에 대한 관계기관의 이해를 증진하고 국내 사물인터넷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 6 -o 사물인터넷 산업에 대한 시장정보가 부족하고, 정보의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산업 활성화 정책 추진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한 양질의 정보 생성 및 정책수요에 대응이 필요 - 국내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효과분석을 실시해 사물인터넷 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준거자료를 확보하고 투자 규모 설정 등 사물인터넷 관련 전략 수립 지원o 미래부의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성과목표(생산성․효율성 향상) 달성을 위한 실태파악과 활성화 전략 수립을 위한 효과분석 필요(’13년→’20년, 이용기업 성과 30% 향상을 목표로 설정)2. 연구의 목표 및 주요 핵심내용가. 연구의 목표o 급변하는 초연결시대 국내‧외 IoT 정책현황을 조사하여 정부의 IoT 정책에 반영하는 등 국내 IoT산업 경쟁력 강화에 활용o 정책동향 조사를 기초로 사물인터넷 산업의 시장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전망을 예측하여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정부 차원에서 사물인터넷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산업의 최신 동향 파악과 더불어, 기술적·사회적 환경 변화에 대한 추진동향을 분석해 새로운 정책 수요에 대응-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o 사물인터넷 이용기업의 도입효과를 분석해 정부 차원에서 설정한 성과목표 달성과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 참고자료 확보- 7 -[그림 1-7] 연구의 목표 [그림 1-7] 연구의 목표 나. 연구의 주요 내용1) 사물인터넷 국내외 정책추진 현황분석o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동향 파악을 위해 언론매체,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 세미나 자료, 기업 개별접촉, 리서치 자료 등 조사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 추진현황 분석- 조사대상은 국내‧외 주요 통신사, 주요 연구소(ETRI, KISDI, SERI, DIGIECO 등), 삼성‧LG‧시스코‧IBM 등 글로벌 기업, ITU, OECD 등 해외기구, 사물인터넷 포럼 기업 등 폭넓게 조사-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 정책 동향자료는 미래창조과학부 및 ICT 유관 기관에 정기적으로 제공해 사물인터넷 관련 지식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특정 이슈에 대해서는 ‘사물인터넷 정책추진동향 분석 연구반(가칭)’및 전문가를 활용해 심층분석 실시2) 사물인터넷 활용에 따른 경제․사회적 효과 분석 o (조사개요) 국내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생산성 및 효율성, 수익률 등 계량화된 효과와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등 비계량적인 효과를 분석-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성과목표(생산성․효율성 향상)와 관련해 도입이후 발생한 효과- 8 -를 기초 설문조사(1차조사)와 심층 사례조사(2차조사) 등 2단계 조사를 통해 도출o (표본설계)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분석 조사는 표준산업분류 내 사물인터넷 산업 분야와 관련성이 있는 제조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제곱근 비례할당*을 실시함o (1차 조사)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분석 조사를 위해 1차적으로 약 300여개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관련 활용현황, 매출증대 및 고용 창출, 기술수준 등에 대해 1대1 방문조사 실시o (2차 조사) 1차 조사로 실시한 사물인터넷 기업 현황조사 참여기업(300개사) 중 도입 후 매출 증대기업(상위 10%) 또는 각 업권별 주요기업 등에 대해서는 심층 분석 실시- 심층 분석에서는 사물인터넷 관련 제품(서비스) 도입에 따른 성공사례 분석, 도입성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생산성, 효율성, 수익률 등), 정부의 지원 요청 사항 등 조사다. 연구 추진방법1) 추진체계o 본 연구는 정책수립 및 정책시달의 주체인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세부사업을 수행- 연구성과의 완성도 증진을 위해 사물인터넷 분야 전문가 및 전문 조사기관 등을 활용[그림 1-8] 연구 추진체계[그림 1-8] 연구 추진체계- 9 -2) 추진전략o 본 연구의 효율적 수행과 완성도 증진을 위해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반을 구성․운영o 사물인터넷 관련 정책동향 파악을 위해 주간 동향보고서를 작성해 정부 및 관계 기관에 배포해 정보공유 체계 구축o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분석을 위해 최적의 조사방법을 활용해 연구성과의 완성도 극대화[그림 1-9] 연구 추진전략[그림 1-9] 연구 추진전략o 사물인터넷 정책동향 조사는 1차적으로 언론 및 문헌자료를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세부 분석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2차적으로 연구반과 전문가와 협력해 심층분석 실시- 언론 및 문헌자료 등을 통해 수집되는 정책동향 분석 자료는 매주 1회 작성해 미래부 및 주요 유관기관에 배포해 사물인터넷 관련 동향정보 공유- 10 --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동향 분석 연구반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동향 관련 자료수집 및 이슈사항 발굴을 지원하고, 주요 정책 현황에 대한 심층 분석 지원※ 연구반은 공학, 법학, 경제학 등 주요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하되 ETRI, KISA, KISDI,대학교수 등 사물인터넷 분야 유관기관․학계 전문가로 구성o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분석을 위한 전문 조사업체 활용-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분석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전문 조사업체를 선정해 활용※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분석을 위한 1차적 조사인 raw data 조사는 전문 리서치 기관을 선정해 조사를 수행하며, 조사기획 및 결과의 분석, 가공 등은 KAIT에서 직접 실시o 분석결과 Feedback을 실시하며 사물인터넷 정책 동향분석 자료,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분석 등을 통해 정리된 결과물은 미래부 관련 실국과 유관기관에 제공하여 정책 참고자료로 활용- 11 -
제 2 장 사물인터넷 국내외 동향
제 2 장 사물인터넷 국내외 동향제1절 사물인터넷 정책동향1. 해외 동향가. 미국□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는 2025년까지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대 혁신적인 파괴적 기술’ 중의 하나로 사물인터넷을 선정하여 기술로드맵 수립(’08)o 경제혁신을 위한 두 가지 도구로 신에너지와 사물인터넷을 설정하고, 최근 Reshoring Initiative(제조업 본국회귀전략)로 3D프린팅, 반도체, 센서 등을 중심으로 제조업 활성화 추진o 사물인터넷은 RFID에서 출발해 센서를 활용하는 기술로 발전, 향후 사람과 모든 사물들의 정보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호간 모니터링․제어가 가능한 방향으로 발전할 전망□ 미 교통부(DoT)는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차량에 차량 간 통신 기능 (V2V)을 2016년까지 의무적으로 장착하는 방안을 법제화할 계획o 미국 교통부 산하 NHTSA(국가도로교통안전국)는 차량 간 통신 기술에 관한 보고서를 공개하고 통신기능 장착 의무화를 추진- NHTSA는 미시건대 연구팀과 함께 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인지 1)능력 향상 기술을 개발하고, V2V 기술을 증명하기 위해 시험 모델을 구축하여 실제 환경에서 작동 가능성을 입증함1) V2V(Vehicle to Vehicle, 차량 간 통신 기능) : 자동차끼리 정보를 주고 받는 기술로 개인식별정보를 제외하고 근처 차량의 위치, 속도 정보를 공유- 12 -※ 자율주행차량(Autonomous Vehicle) : 외부정보에 대한 감지 및 처리기능을 가지고 주행시 경로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며 독립적으로 운행하는 차량o 차량 간 통신기능 장착 의무화를 통해 차량 간 추돌 및 충돌 사고예방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 및 에너지 절약 효과가 기대됨- NHTSA 보고서에 따르면, V2V를 기반으로 개발된 좌회전 보조장치 및 교차로 이동 보조장치를 활용하여 연간 최대 592,000건의 교통사고와 1,083명의 교통사고 사망자를 예방할 수 있음- 운전자에게 심화된 경고 정보를 제공하여 사고의 절반 이상 예방이 가능하며, 응용프로그램 추가 개발로 안전성 향상 기대 가능o 2016년까지 차량 간 통신에 관한 규제도입 공고를 내기 위해 일반인 및 이해 당사자들로부터 의견을 수집할 계획이며, 2020년까지 미국내 모든 차량에 V2V 기능을 장착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함- 차량 한 대당 V2V 구축에 필요한 비용은 단말기 가격, 장착비용, 통신비 등을 포함하여 2020년 기준 $350로 예상됨□ 미국 국가과학재단(NSF)은 사물인터넷을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의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고 있음o NSF는 2천만달러를 투입해 ‘카멜레온(Chameleon)’과 '클라우드랩(CloudLab)'이라는 두 종류의 연구개발용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함- 카멜레온·클라우드랩 환경은 의료기기, 전력송전망, 운송체계 등 실시간성 및 보안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새로운 아키텍처o ‘카멜레온’은 클라우드 연구를 위한 대규모의 재구성 가능한 실험환경으로 시카고대학교와 텍사스대학교에 만들어질 예정- 650개 클라우드 노드 및 5PB(페타바이트) 스토리지로 구성될 것이며, HW·SW 및 네트워킹 요소 조합 및 실험 성능 테스트 가능함- 연구자는 ‘카멜레온’을 일부 조각내 새로운 아키텍쳐로 만들어진 클라우드로 - 13 -활용 가능- 머신러닝, 기후시뮬레이션, 홍수예측 등 적응형 운영시스템처럼 다양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위에서 사전 정의되거나 맞춤화된 소프트웨어를 올려 테스트 할 수 있음o ‘클라우드랩’은 대규모 분산 인트라로 유타대·클렘슨대·위스콘신대 등에 구축되며, 연구자들이 수많은 형태의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 클라우드랩은 약 1만5천개의 프로세싱 코어를 제공하며, 3곳의 데이터 센터에서 1PB이상의 스토리지 용량을 제공함- HP, 시스코, 델 등 IT회사가 데이터센터 구축 파트너로 참여하며 각 데이터 센터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추가적인 실험을 용이하게 함나. 중국□ 중국은 2009년부터 정부의 강력한 지원 하에 IoT강국으로 도약을 겨냥o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6,000억 달러를 IoT 분야에 지원할 계획이며, 이러한 지원하에 China Mobile, China Telecom, China Unicom 등 이동통신사들이 IoT 사업을 활발히 진행 중에 있음o 공업정보화부는 12차 5개년(2011~2015) 계획에 사물인터넷을 추가한 ‘사물망 12-5 발전규획’을 발표(’11년)□ 2020년까지 총 140억 위안을 투입해 IoT관련 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 추진o 중국 정부, 사물인터넷 육성을 위해 2020년까지 총 140억 위안을 투입해 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적극적 투자 중에 있음o 중국 정부, 현재 2조 3000억원에서 2020년까지 30조원으로 사물인터넷 시장규모 확대할 계획이며, 중소·중견 수출기업 수를 70개에서 350개로 늘리고자 함- 14 -<표 2-1> 중국 IoT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표 2-1> 중국 IoT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이름 위치 기간 세부사항▪IoT를 국가 과학 연구의 중점분야로 발전시키기 위해 IoT 국가 산업망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강소성 2009감지중국센터 센터 설립우시 ~▪강력한 스마트 그리드(Strong Smart Grid) 발전계획(2009~2020년) 마련 및 4조 위안 투입▪2015년간 1단계 진행▪100여개의 기술이전 프로젝트 유치강소중국 2009 ▪각계의 네트워크 관련 500여개 기업 입주해 총 생강소성산업단지 ~ 산규모 500억 위안, 고급인재 5000여명 유치‧양성▪중국IoT산업연구원, 각종 관련 과학연구기관, 연구개발(R&D)센터 및 검사센터 35개소 설립사물지능통신 2010 ▪세계 최초 사물지능통신센터 구축상하이센터 ~ ▪사물통신(M2M)을 10대 유망기술로 선정사물인터넷 2010 ▪2012년 발표한 5개년 계획에 따라 50억 위안 규모무석신구연구발전센터 ~ 의 사물인터넷산업 투자기금 조성다. 일본□ 일본은 2000년대 초반부터 다양한 ICT 발전전략의 일환으로 사물인터넷 관련 정책을 추진o 일본은 u-Japan 전략(2004년), i-Japan 2015 전략(2009년), Active Japan ICT전략(2012년) 등을 앞세워 IoT 관련 정책들을 추진- 일본은 다양한 ICT 발전전략(센서네트워크 기반의 M2M 기술 및 서비스 포함) 등을 통해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추진 중o 2013년 총무성의 ‘ICT 성장전략 회의’ 발족, IoT(센서·클라우드·M2M 등)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타운(후지사와 시) 건설 등 적극적 정부지원이 이루어짐- 15 -□ 일본의 사물인터넷 관련 ICT정책은 ▲국가발전에 기여 ▲사회현황 해결 ▲국내성장/해외진출에 중점을 맞춤o ICT 경쟁력을 향상하는 것이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바가 크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속적으로 ICT 관련 정책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중점 투자 분야로 사물인터넷 부문을 강조- 일본은 ICT 네트워크 인프라 보급 수준에 있어서는 글로벌 선두 그룹에 포함되어 있지만, 그밖에 서비스 이용률과 ICT 활용도가 낮음- 사물인터넷으로 수집/분석/관리/통제되는 정보의 부가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경제성장의 동인으로 주목- 해외 시장 진출은 일본 내 성공을 기반으로 해외 현지화를 추진하는 전략을 채택o 사회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도입 정책-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사회구조의 변화, 지진·태풍 등 자연재해의 급증 등 일본 사회의 다양한 현안해결 방안으로 사물인터넷 도입을 적극 추진- 공공 서비스의 개선,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의 구축 등 국가 전반의 다양한 정책적 과제를 해결하고 혁신을 유도하는 도구로서 사물인터넷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집중- 사회적 현안해결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개발 및 부가가치 창출로 국가경제 성장동력 확보를 동시에 추진o 국내 성장과 해외 진출을 병행한 ICT정책 수립- 2010년대 이전에는 국내 과제 해결을 통한 내적 역량 강화에 집중하였으나, ‘Smart Japan ICT 전략’과 같이 점차 해외 진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노력을 집중- 내수 시장 의존도가 높은 일본 ICT 산업 구조적 약점을 타파하고 해외 시장 진출 지원 및 공격적인 혁신 창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개척한다는 미래 지향적 전략을 제시- 16 -□ 일본의 사물인터넷 관련 정책o 2000년대 초반 u-japan전략, I-japan전략을 통해 정보화 실현- 2004년에 발표된 ‘u-Japan 전략’은 2010년까지 차세대 IT인프라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 실현을 추진- 2008년에 발표된 ‘i-Japan전략 2015’에는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사물통신 기술 및 서비스 개발 계획을 포함o 2009년에는 워킹 그룹을 운영하여 1) IPv6를 활용한 사물 인터넷 사회의 모습, 2) 사물 인터넷 사회 실현을 위한 방향성, 3) 사물 인터넷 사회 실현을 위한 선결 과제 등을 검토하여 발표- 사물 인터넷 사회 실현의 목표를 ICT를 활용한 인간 사회의 편의성 향상으로 설정하고, 기반 기술로서 IPv6를 강조- 더불어 사물 인터넷 사회의 추진 현황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제도적, 서비스적, 기술적 과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력 체계의 조성을 요구하며 선결 과제를 제시<표 2-2> 사물인터넷 시대 실현을 위한 선결과제<표 2-2> 사물인터넷 시대 실현을 위한 선결과제구분 주요내용 사생활 및 개인정보 보호 센서 네트워크 및 전자태그 이용에 따른 사생활 침해 여부의 검토 신규 서비스에 대한 관리제도 글로벌化에 따른 국제협력 기술 혁신에 대한 대응 문제 발생 시 대응 대책 마련 네트워크의 대규모化에 따른 대응책 마련 인터넷의 IPv6 이행 홍보 서비스 품질 확보를 위한 관계자간의 역할 담당서비스 및 보안 확보를 위한 대책 추진비즈니스 혁신의 추진 사물의 인터넷 접속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통신 서비스 제공 다양한 시범 서비스 개시 연구개발의 촉진과 표준화 추진기술 국제 협력 및 해외 진출 전개- 17 -o 경제산업성은 2011년 8월 사물 인터넷 관련 내용을 포함한 ‘IT융합에 의한 신산업 창출 전략’ 추진- ①부품 기술 의존 시장에서 벗어난 新시장 창출, ②‘일본시장發(국내용)’이 아닌 처음부터 ‘글로벌시장’에서의 전개, ③디지털화·네트워크화를 통한 컴퓨터 인터넷(Internet of Computer)에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시대로의 전환에 대한 3가지 비전을 제시- ‘IT융합에 의한 신산업 창출 전략’은 새로운 경쟁 우위 원천으로 사물인터넷을 실현하여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창출하는 목표를 제시- 농업, 로봇, 의료·건강, 자동차·교통, 스마트그리드·커뮤니티 등을 프론티어 영역으로 선정하여 연구개발을 집중[그림 2-10]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한 전략 범위[그림 2-10]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한 전략 범위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2011)o 2012년 발표된 ‘Active Japan ICT 전략’은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농업, 도시, 환경, 유통, 의료 등의 생산성을 높이고 신규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 ICT에 의해 개인과 사회가 활성화되어 시너지를 발휘하고, 정보자원의 이활용(利活用)하여 2020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액티브한 일본 실현을 목표로 하여 5대 핵심영역의 5대 전략과 Active Japan 실현을 위한 5대 방안을 제시o 2013년 발표된 ‘ICT 성장전략 I’는 지역의 안전 및 생활편리성 제고, 각종 에너지 및 자원관리 등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ICT를 활용한 마을 만들기’, ‘ICT 생활자원 대책’ 등 스마트 ICT 활용전략 제시- 18 -- 지역 인프라와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센서, 클라우드, M2M 등 최첨단 ICT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스마트타운 조성계획과 스마트그리드, 사물인터넷 등 최첨단 ICT의 활용계획을 포함o 2014년에는 ‘ICT 성장전략 II’를 국내전략으로, ICT 국제 경쟁력 강화·해외진출 이니셔티브를 해외전략으로 두 축을 중심으로 삼는 ‘Smart Japan ICT 전략’을 발표- Smart Japan ICT 전략은 (1) 2020년까지 가상과 실제를 결합한 지식 정보국 건립 실현, (2) ICT에 의한 일본자국, 상대국 및 전세계의 3대 과제 해결, (3)정보를 바탕으로 국제수준에서의 속도와 실천의 3가지 비전을 제시- 일본 국내성장에 중점을 둔 ‘ICT성장전략II’는 지역활성화, 사회문제 해결,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지원을 중점 프로젝트로 선정- 해외 ICT전략에서는 특히 ASEAN과 인도지역을 타깃으로 설정하고, 도시, G공간, 방재, 교육 및 농업분야의 ICT접목, 방송 콘텐츠 해외진출, 스마트 플래티넘 사회 구축 등 일본 고유의 기술과 노하우를 해외에 전수하고, 일본형 ICT모델을 구축<표 2-3> Smart Japan ICT전략 국내 성장 전략의 주요 내용<표 2-3> Smart Japan ICT전략 국내 성장 전략의 주요 내용구분 주요 내용ICT를 활용한 다양한 물건 및 서비스를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비전혁신 창출중 지역활성화 ICT 마을 만들기, G공간시티 및 스마트 농업점 ICT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 교육, 방재, 교통, 여성활동 지원, 사회문제 해결프 사회 인프라 노후화 대응 및 전자정부 이슈 대응로도쿄 공중 Wi-Fi 정비 촉진젝올림핌/패럴림픽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계획(다국적음성번역시스템) 추진트 G공간 플랫폼플랫폼 ICT마을 만들기 플랫폼 빅데이터, 오픈데이터 활용공 관광지와 방재 거점 중심 무료 공공 Wi-Fi 서비스 촉진통 4K/8K 초고해상도 화질 이용 확대인프라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정비반 세계 최고 수준의 ICT기반 보급 및 시장 경쟁 친화적 정책 수립 인재 육성 및 활용환경정비 연구개발 추진 정보보안 정책 추진 및 개인 데이터 환경 정비 등- 19 -<표 2-4> Smart Japan ICT전략 해외 ICT전략의 주요 내용<표 2-4> Smart Japan ICT전략 해외 ICT전략의 주요 내용구분 주요 내용비전 ICT 국제 경쟁력 강화·해외 진출을 통한 국제 공헌지역, 분야별 Speeds to needs전략전개 명확한 분야, 시장 및 경쟁상대 설정으로 전략 추진중 상대국 ICT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을 패키지 형태로 제시점 ICT 인프라, 단말기, 시스템, 제도/운영 컨설팅에 이르는 제반 프 ICT패키지 전개피키지 서비스로 운영 중 새로운 문제 파악과 연계 신뢰와 장기적 관계 구축젝트 인프라 혁신을 전면으로 내새움(원격의료, 원격교육, 스마트 농업 등)새로운 아키텍처 에코시스템 확립 도모창조 일본브랜드 구축공 기동적이며 관민 대사 파견(고위층 세일즈 외교)통효과적인 관밀 로컬 TF 구성기관민연계체계 구축 ICT 국제 경쟁력 강화 및 해외 진출 자금 공급체계 정비반[그림 2-11] Smart Japan 목표 매출[그림 2-11] Smart Japan 목표 매출라. 영국□ 영국은 사물인터넷(IoT)의 개념을 최초로 정립하는 등 관련 산업 선도 국가로서의 입지를 확보- 20 -o 현재도 영국은 사물인터넷 시장 주도를 위한 전략을 추진 중에 있음- 영국은 전 세계 사물인터넷 개발인력의 20%를 보유하는 등 대규모 기술개발 인력 풀을 바탕으로 관련 생태계를 빠르게 확대해 나가는 중- 사물인터넷에 막대한 R&D투자 및 정부지원 제공이라는 글로벌 트랜드 선도국가로 영국·중국·일본이 지목됨(’14년, 리서치 앤 마켓스)- 사물인터넷 시장 조사보고서(’13년, The Economist)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산업이 가장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권역으로 유럽이 지목됨[그림 2-12] 권역별 사물인터넷 사업 활성화 지수[그림 2-12] 권역별 사물인터넷 사업 활성화 지수 자료: The Economist (2013. 10)□ 영국 정부는 IoT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상호작용을 통해 기업·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R&D전략을 펴고 있음o 2013년 6월 영국 정부는 장기적인 ICT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보 경제 전략(Information Economy Stragy)’을 발표해 ▲클라우드컴퓨팅, ▲전자상거래,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스마트시티 등 5대 ICT전략 추진 영역을 제시- IoT기술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시티 분야에도 막대한 투자를 진행o 영국 정부의 사물인터넷 R&D 전략① : 기술표준화 주도- 2014년 6월, 기술전략위원회(TSB)는 IoT 기술 표준화를 추진중인 컨소시엄 '하이퍼2)(HyperCat) '에 640만 파운드(약 110억원)를 지원한다고 발표- 21 -- 하이퍼캣은 해당 자금을 토대로 사물인터넷 단말 간 전송되는 데이터 표준화 및 정교화를 시도할 계획o 영국 정부의 사물인터넷 R&D 전략② : IoT 상용화 촉진을 위한 민간 지원- TSB는 2014년부터 실제 산업 영역에 사물인터넷을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R&D 클러스터를 민․관 협력 형태로 구축·운영 중- TSB는 각 사물인터넷 산업 클러스터에 참여를 원하는 중소기업의 제안을 받고 있으며 참여 독려를 위해 선정 기업에 총 100만 파운드(약 17억원)를 지원할 방침o 영국 정부의 사물인터넷 R&D 전략③ : 국제적인 협력 시도- 2014년 3월 ‘CeBIT2014’에서 캐머런 영국 총리와 메르켈 독일 총리는 양국 간 IoT 기술개발에 관련된 협약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함□ 영국은 민간 주도의 사물인터넷 생태계 조성을 위해 노력o 영국의 사물인터넷 R&D전략은 자금지원 중심으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사물인터넷을 활용해야 할 민간 기업들에 기술개발 주도권을 이양- 영국 정부의 IoT 산업 활성화 전략에서는 참여 주체인 민간 기업의 범위가 상당히 넓어, 다수의 사업자들이 경쟁하는 건전한 사물인터넷 생태계 조성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됨□ 영국은 세계적 기술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해 IoT 기술에 4,500만 파운드의 투자계획을 발표하고, IPO 최종보고서를 발간o 영국 정부는 미래 성장을 촉진할 8대 기술*(빅데이터, 로보틱스 등)에 6억 달러 투자 계획을 ’13년 1월에 발표하고, 동년 말 IoT와 양자기술을 추가 편입함2) 하이퍼캣(HyperCat) : 대형 사업자부터 스타트업까지 영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기업·기관 등이 연합해 결성한 비영리 프로젝트로, 사물 인터넷 관련 기업·기관들이 밀접히 연계해 안전하고 상호운용성이 뛰어난 사물 인터넷 표준을 수립하는 것이 목표- 22 -* 8대 기술 : 빅데이터 및 에너지 효율 컴퓨팅, 위성 및 우주 기술 상용화, 로보틱스 및자율 시스템, 첨단 재료공학 및 나노기술, 에너지 및 스토리지 기술, 농업과학, 합성생물학, 재생의학o IoT는 모든 사물(things)과 불필요한 자원낭비 요인에 대한 추적 및 확인을 가능케 할 기술- 컴퓨터를 활용, 높은 정확도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기업의 시간 및 경비 절감을 기대- 2012년 세계적으로 87억 개의 커넥티드 디바이스들이 존재 했으며, 2020년경에는 500억~600억 개 가량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o IoT 관련 특허는 2004년 이래 급증하고 있으며, 2004년~2013년 22,000개의 특허 응용 사례들이 등록되고 1만여 개에 가까운 기술이 새롭게 발명됨- IoT 분야 영국 최다 특허 보유 기업인 Neul은 19개의 IoT 특허 기술을 개발했는데 이 중 두 개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킹에 관련된 것- 영국 IoT 특허활동은 지난 수년 간 급격하게 증가했지만 한국, 중국, 미국 등에 비해 수적 열세(중국 38%, 미국 31%, 한국 11%, 영국 2%)- 중국 통신장비 제조업체 ZTE는 300개에 가까운 IoT 기술 특허를 출원 신청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 기술 역량을 입증마. EU□ EU는 2009년 7월 IoT의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담은 14개의 액션 플랜을 발표o IoT 액션 플랜을 통해 연구개발, 표준화, 서비스, 인프라 구축, 개인정보 보호, 법․제도, 민․관 파트너십 등 행동지침을 제시- 영국은 2014년 초, 사물인터넷 발전기금으로 약 4,500만 파운드 조성계획 발표에 이어, 최근 2025년까지 IoT에 1,000억 파운드 규모의 기술투자확대계획을 발표- 23 -□ EU, IoT 발전에 따른 개인정보 의견서 발표(’14. 9)o 유럽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률적 환경에 맞춘 사물인터넷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에 앞서 생태계 속에서의 개인정보보호 위협 요소를 살펴보기 위해 의견서를 발표함- 사물인터넷의 환경이 기존의 디지털 생태계와 차별화되고 복합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어 개인정보 보호의 적절한 기준 제시가 어려움-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위험 요소의 도출, 사물인터넷에서의 참여자 유형 등을 고려하여 개별 권고사항을 마련하였으며, 이는 향후 각 국가별로도 새로운 기준 또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됨o WP29는 웨어러블 컴퓨팅, 셀프 트레킹, 스마트홈 분야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 위협 요소에 대해 6가지 사항을 제시함① 통제권의 부족과 정보 불균형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어떠한 검토도 거치지 않은 채 사물 간 자동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됨② “동의”에 대한 품질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이행수단으로서 “동의”의 본질적인 의미가 퇴색될 수 있음③ 데이터로부터의 간섭과 최초 처리목적의 변경 :수집된 개인정보가 정보주체로부터의 별도 동의 없이 다른 목적으로 제3자에게 제공될 가능성이 농후함④ 행위 패턴 분석 및 프로파일링 등으로 인한 침해 :이용자의 습관이나 행동 등을 지나칠 정도로 모니터링하고 프로파일링하게 됨⑤ 익명화 상태로의 존속 가능성 보장 미흡 :근접성 높은 정보와 외부 정보와의 높은 결합 가능성으로 인해 식별 또는 재식별 될 수 있는 위험이 높음⑥ 기기 및 네트워크 효율성 강화에 따른 보안 위험 :기기 간 교환되는 정보의 대량화 등으로 인해 사이버 보안위험이 매우 크며, 보안 위험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도 어려움- 24 -2. 국내 동향□ 우리나라도 IoT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산업 활성화를 지원o 미래부는 2013년 IoT기반 조성과 시장 창출 등을 위한 ‘인터넷 신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5월 정보통신 전략위원회에서는 주요 안건 중 하나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을 확정o 2015년 국가 R&D예산(18조 8,245억원) 중 사물인터넷을 포함한 신성장동력에 2,233억원 투입 등 사물인터넷 관련 R&D 예산 투입 확대- 사물인터넷(IoT), 5G 이동통신, 빅데이터 등 11개 분야에 2,233억원, SW 중심사회 육성을 위해 SW·디지털콘텐츠에도 2,835억원 책정- ‘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시범사업을 계획 중인 5G 이동통신에 753억원, IoT에 393억원, 빅데이터에 79억원 등 투입 예정o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등 신기술 적용 사업 예산 약 4,600억원- 정부는 2015년 정보화 사업 초점을 SW기반의 신성장 동력 창출, 지능형 네트워크 기반 고도화, 국가정보 자원관리 효율화 등으로 설정- 신기술 적용 사업은 34개 기관 124개 사업으로 빅데이터 사업 69개(1,757억원), 클라우드 사업 36개(2,076억원), 사물인터넷 사업 19개(764억원)※ 각 부처에서 ’14년 상반기에 기재부에 요구한 「’15년도 정보화사업 예산안」 기준□ ‘초연결 디지털 혁명의 선도국가 실현’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수립(’14. 5)o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1% 미만에 불과하나, 향후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초연결 혁명 확산으로 산업 전반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o 이에 따라 정부는 ‘초연결 디지털 혁명의 선도국가 실현’이라는 비전하에, 국민․기업․정부가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물인터넷(IoT)서비스를 개발․이용하고,- 소프트웨어(SW)․센서․부품․디바이스 등의 경쟁력 강화 및 창의적 서비스․제품 창출과 혁신을 주도할 중소․중견 전문기업을 육성- 25 -- 기획단계부터 보안을 내재화한 사물인터넷(IoT) 제품․서비스 개발로 안전하고 역동적인 사물인터넷(IoT) 발전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전략을 범부처․민간협력으로 추진o 본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의 목표(2013→2020) 및 추진전략은 아래와 같음① 생태계 전반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사물인터넷(IoT) 제품․서비스 개발협력 및 사물인터넷(IoT) 서비스가 모든 분야에 확산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지자체, 수요기업 등과 범부처․민간협력 추진② 개방형 플랫폼을 활용하여 누구나 서비스를 개발․제공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구축하여, 창의적 아이디어가 서비스로 실현되어 국민 개개인의 잠재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환경 제공③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여 중소․중견기업이 잘 할 수 있는 제품․서비스 개발 및 글로벌 시장에 동반진출 협력하고, 우수한 제조업과 소프트웨어(SW)를 접목하여 제품의 부가가치 혁신, 생산성․효율성 향상, 전통산업-소프트웨어(SW)신산업 동반성장 추진④ 대․중소기업․스타트업별 맞춤형 전략을 위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의 개방형 파트너십 유도, 중소기업 개발비용·기간 단축을 위한 이종기업간 협업 지원, 아이디어의 제품화·사업화 생태계 환경을 지원o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에 따른 각 과제별 세부 실행은 관계부처·지자체 및 민간과 협력하여 분야별 TF구성 등을 통해 세부실행방안을 마련하여 추진-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제품과 서비스가 출현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규제충돌 문제들은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개선하여 규제 없는 사물인터넷(IoT) 산업 환경을 만들고자 함□ 정부는 IoT 시장 선도를 위해 IoT 보안 R&D에 집중 투자o 사물인터넷 시장이 성장하면서 보안 이슈가 대두되고 있으며, IoT 서비스는 요소기술의 통합으로 실현되므로 취약성 발현할 가능성 높음o 정부는 IoT 보안 R&D에 4년간 1,500억 투자하기로 하며, IoT 정보보호 R&D에 집중투- 26 -자, 새로운 보안 산업을 창출하고자 함- IoT 보안을 위한 정보보호 로드맵을 마련하고 관련 부처 및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 중에 있으며, IoT 확산 초기부터 보안에 기반 둔 서비스 시작하는 데 중점을 두고 로드맵을 수립※ ’15년도 235억, ’16년도 483억, ’17년 478억원, ’18년도 346억원 등 총 1,542억원 이상의 예산을 IoT 보안에 투자하는 초안 마련□ 미래창조과학부는 사물인터넷, 인터넷금융 활성화를 위해 규제개혁을 추진하기로 하며, ‘IoT’와 ‘인터넷금융’을 융합 신산업 분야로 선정(’14. 9)o 제2차 규제개혁 장관회의에서 마련된 ‘인터넷 규제 혁신방안’에 따르면, IoT와 인터넷금융 등 미래 융합 서비스 활성화에 중점을 두기로 함o 최근 세계 IoT와 인터넷금융을 중심으로 세계 인터넷 경제가 급변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개인정보보호, 진료권 침해, 금융과 타 산업간 겸업금지 원칙 등의 이슈로 인해 차세대 융합 서비스 제공이 어려움- 구글과 애플은 기존의 의료서비스와 IT를 결합한 u-헬스 서비스 시장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 국내에서는 전자의료정보의 병원 외 저장이 불가능하며, 웨어러블 기기로 사용자가측정한 혈압, 혈당 등에 대한 단순한 상담이나 운동 프로그램 제시 등도 의료행위로간주할 수 있는 상황3)-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는 MMF (머니마켓펀드) 상품을 출시하였으나 우리나라는 금융과 인터넷, IT기업 간 겸업을 금지하고 있음o 미래부는 관련부처들과 IoT·인터넷금융 등 양대 융합 산업을 축으로 새로운 규제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주력할 방침- 각 융합 분야별로 관계부터와 병원, 은행, IT기업 등 서비스 생산자, 소비자, 전문가 3) MMF(머니마켓펀드): 자산운용사가 고객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한 다음, 금리가 높은 만기 1년 이내의 단기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해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 초단기 금융상품- 27 -등이 참여하는 인터넷규제개선 추진단을 구성해 규제개혁 기본방향을 정하기로 함- 미국, 영국 등에서는 금융과 ICT 융합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 산업이 탄생되고 있으며, 헬스케어 부문을 선두로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가 이러한 분야에서 뒤쳐진다면 글로벌 시장 선점 경쟁에서 낙오될 수 있음□ 미래부, 사물인터넷(IoT) 정보보호 로드맵 수립(’14. 9)o 가전, 의료기기 및 자동차 등 IoT의 실생활 영향력 확대에 따른 IoT 보안 구축 및 스마트 안심 국가 실현 필요성 증대됨에 따라서 'IoT 정보보호 로드맵'을 수립함o 7대 분야 IoT 제품‧서비스의 설계, 유통‧공급, 유지보수의 전 주기에 걸친 보안 내재화 추진- ▲안전한 구조설계 ▲핵심요소의 안전한 개발 ▲공급망 안전 확보라는 3대 보안원칙 도출- IoT 제품‧서비스별 취약점 정보 공유‧분석체계(IoT-ISAC) 및 IoT 침해사고 종합 대응체계 단계별 구축- 소비자 안전성을 위한 민간주도의 IoT 보안인증 도입o 글로벌 IoT 기술·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IoT 보안 선도 기술 개발- IoT 제품‧서비스 안전 보호를 위한 9대 보안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Dome 프로젝트’ 추진- IoT R&D 오디션 프로그램 도입 및 IoT 보안 선도 기술 보유기관과 국제 공동연구 추진[그림 2-13] Dome 프로젝트 추진사항[그림 2-13] Dome 프로젝트 추진사항- 28 -o IoT 보안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IoT 융합보안 실증산업 ▲취약점 신고보상제 ▲보안교육 인증제 도입- IoT 보안 제품‧서비스 아이디어 보유한 개인‧기업 발굴 및 상용화 견인을 위한 7대 분야 IoT 융합보안 실증사업 추진- IoT 보안 수요 창출을 위한 IoT 보안 제품‧서비스의 취약점을 찾는 취약점 신고보상제 도입- 대학생 육성을 위한 보안교육 인증제 도입 및 현장 종사자 전문가 강화를 위한 재직자 보안교육 추진[그림 2-14] IoT 융합보안 실증산업[그림 2-14] IoT 융합보안 실증산업□ IoT 글로벌 민·관 협의체에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기업이 참여하여 이종 기업 간의 협력 활성화 유도o 대통령-시스코 회장(존 챔버스) 면담(’14.1.21) 이후 국내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 목적의 글로벌 협력을 위해 2014년 5월 13일 IoT혁신센터 개소 및 글로벌 민․관 협의체를 발족함- 29 -- 운영위원회는 다산네트웍스, 시만텍코리아, 한화S&C, 핸디소프트 등 4개 기업들의 신규가입을 승인함(승인 후 총 25개 기업·기관으로 구성)o 사물인터넷 관련 글로벌 민·관 협의체 확대에 따라 이종 기업 간의 협력이 더욱 활성화 될 전망-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 기업들의 신규 가입을 통해 향후 다양한 관련 기업의 참여를 확대, 이종 기업 간 협력활동을 늘리기로 함- 향후 진행될 IoT분야 유망 중소기업 대상의 글로벌 실증 프로젝트 발굴 지원을 통해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함o ‘사물인터넷 진흥주간(IoT Week Korea) 2014’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의체 참가 기업들의 전시회, 세미나 참가 등 민·관 협력을 도모함- 2013년까지 「RFID/IoT World Congress」로 개최되던 행사 및 관련 세미나, 전시회 등을 2014년부터 확대 개편하여 「사물인터넷 진흥주간 2014」행사로 통합하고, 국제 컨퍼런스, 경진대회 및 시상식, 전시회 등을 추진o IoT 글로벌 민·관 협의체는 국내 IoT 산업의 진흥을 위해 이종사업 간 협력을 추진할 것이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과의 상생 협력 기회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정부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무제한 인터넷 주소(IPv6)를 확산하기 위해 세제 감면혜택 3년 연장(’14. 8)o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제6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유망서비스산업 육성 중심의 투자활성화 대책’을 확정․발표하고, 세제감면과 전문인력 양성지원을 결정- 인터넷 주소는 사물인터넷(IoT)의 기본 인프라지만, 기업들은 장비교체, SW업데이트 등 투자비 부담, 시스템 개발․운용 인력 부족 등으로 IPv6의 도입이 저조한 실정임o IPv6 도입에 대한 기업의 부담완화를 위해 세제 감면을 3년 연장하고, IPv6 주소관리자, 네트워크 관리자, ICT엔지니어 등 맞춤형 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함- 기업이 IPv6 장비(라우터, 스위치) 도입시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감면(중소기업7%, - 30 -대기업3%)-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통해 연간 1,200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있는 IPv6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중소사업자를 대상으로 교육, 컨설팅, 테스트베드를 제공o 올해 하반기에는 정부․공공기관(594개)이 적극적으로 IPv6를 도입하여 민간 분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관계 법령도 개정- 정부․공공기관이 네트워크 장비 및 웹사이트를 신규 구축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IPv6를 적용하도록 국가정보화기본법을 개정할 예정o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관련 기업(369개)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IPv6장비 구입, 소프트웨어 구입 및 업데이트 등에 2.1조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됨□ 미래부, 'ICT융합' '사물인터넷' 정책 글로벌 전파o 2014 부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에서 한국 주도 의제인 ‘ICT 융합’ 및 ‘IoT 촉진’이 아·태지역 공동결의(ACP)로 채택- ‘ICT융합’은 세계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ICT의 중요성을 강조, 다른 산업의 ICT활용 및 협력을 강화하자는 취지로 특히 우리나라의 창조경제 아젠다를 세계에 전파하는 효과 기대- ‘IoT 촉진’은 IoT에 대한 인식제고 및 인프라 조성·제도정비를 위해 ITU가 국제기구·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촉진하고 회원국의 적극적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는 내용□ 미래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IoT 활용 융합형 스마트컨텐츠 개발을 위해 4)SKT와 함께 안양 범계역·판교 테크노밸리 주변에 비콘 테스트베드 구축o 미래부는 현장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함으로써 비콘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4) 비콘 : 저전력 블루투스 4.0을 사용해 주기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위치기반서비스(LBS) 등에 사용되며 동전 크기로도 개발이 가능해 실내·외 구분 없이 설치 및 활용이 용이- 31 -실제 상황을 시험할 계획-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스마트콘텐츠 개발 촉진을 위해 비콘 대여 외에도 온라인 서비스를 통한 정보제공 및 관련 기술지원, 문제 해결 도움 등을 제공o 사물인터넷과 비콘의 융합 활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스마트 콘텐츠의 다양성 증대 등 기대- IoT와 융합된 스마트콘텐츠 개발 활성화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국한돼 있던 IT생활 영역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 스마트콘텐츠에서의 비콘 활용, 더 나아가서 IoT와의 융합은 기존 시장과의 협력을 통한 상생과 더불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스마트콘텐츠 다양성 및 활용성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5)□ 국토교통부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시범사업을 추진o 국토부는 2017년 C-ITS 도입을 목표로 추진하며, 내년 말까지 효과 검증과 규격화를 위해 시범사업을 실시o 시범사업은 대전-세종 간 고속도로, 국도, 도시부도로 약 80km 구간에서 진행되며 2016년 말까지 총 180억 원을 투입될 예정- 도로변 통신시설 90여개 소, 단말기 3,000개 가량을 보급하여 운전자 반응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표준안 및 인증시스템 마련 등 규격화와 관련 법·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방침o 향후 전국 구축시 교통사고건수의 약 46%감소 및 연간 3조 7,000억원의 교통사고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인 국내 교통사고 상황을 고려할 때 차세대 지능형교통시5) 지능형 교통시스템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차량이 주행 중 다른 차량 또는 도로에 설치된 통신장치와 통신하면서 주변 교통상황과 급정거, 낙하물 등 위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경보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 32 -스템(C-ITS)과 같은 사고 예방기술의 도입은 필수적이며, 이번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본 사업에 착수하여 교통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함□ 정부는 I-C-B-M* 기반 미래 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ICBM 융합형 서비스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o ICBM 융합이란 사물인터넷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 빅데이터 기술로 분석해 모바일 서비스로 제공하는 개념*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의 약자<표 2-5> ICBM 융합 新서비스 예시<표 2-5> ICBM 융합 新서비스 예시서비스 예시 내용◾ 기상정보를 수집해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슈퍼컴퓨터가 기상예보 서비스이를 분석해 모바일로 기상예보를 제공◾ 실시간 도로정보를 수집해 교통상황을 분석한 후 모바일로 경로안내 서비스최적 경로를 안내◾ CCTV를 통한 정보수집을 바탕으로 상황을 분석해 범죄예방 서비스범죄·위험 실시간 알림 서비스 제공o 정부는 차세대 먹거리로 분야별 융합의 중요성 강조하며, 기존에 개별적으로 추진된 IoT·빅데이터 등 모든 과정이 연계되어야 원활한 서비스가 가능,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사업의 종류 및 효과적인 추진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함□ 한·중 간 ICT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사이버보안-SW분야 양해각서 체결(’14. 10)o 미래부·중국 공업신식화부 주관 '제2차 한중 ICT 협력 장관급 전략대화'를 개최하고 소프트웨어(SW)·브로드밴드 구축·5G 등 핵심 ICT산업에서의 구체적 협력 분야·방식에 대해 합의함- 2013년 6월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2013년 12월 서울에서 1차 ‘한중 ICT 협력 장관급 전략대화’ 개최, 2014년 10월 2차 전략대화 개최- 33 -<표 2-6> 한중 ICT 협력 장관급 전략 대화 양해각서(MOU) <표 2-6> 한중 ICT 협력 장관급 전략 대화 양해각서(MOU) 사이버 보안 양해각서 SW 산업 협력 양해각서⦁양국 관련 사이버 침해 사고 시, 공동 대응·조사 및 악성코드 차단 공조 ⦁SW분야 정책 공유⦁새로운 ICT 환경의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공동연구 착수공동 연구개발 과제 발굴 및 전문인력 교류 ⦁관련 기구의 표준화와 주파수 정책 공조 ⦁ICT관련 기업, 사이버보안 관련 전시회나 박 방안 추진람회 참여하도록 협력□ 미래부, IoT 활용한 원격 검침 활성화 기반 마련o 미래부, 무선전파식별/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RFID/USN) 기술기준 개정(’14. 12)- 원거리 대용량 통신 방식인 OFDM 기준을 포함한 RFID/USN 기술 기준 개정 고시를 6)통해 향후 IoT 기술을 활용한 원격 무선검침용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UN) 도입 등이 촉진될 전망o 금번 RFID/USN 기술기준 개정 통해 지그비 단점 보완, 안정적 네트워크 방식 도입 기반 마련- 기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속·고신뢰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최신 표준방식인 무선센서 네트워크방식 사용 가능-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선진형 원격검침(AMI·Advanced Mertering Infrastructure)이 적용되는 스마트 그리드 도입 기반 마련6)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UN·Smart Utility Network): 스마트그리드(SmartGrid)와 연계해 전기, 수도, 가스 등의 공급자와 사용자가 무선네트워크를 이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특화된 센서 네트워크의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표준 - 34 -<표 2-7> 지그비(Zigbee) 방식과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 방식의 비교<표 2-7> 지그비(Zigbee) 방식과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 방식의 비교기술명 지그비(Zigbee)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최대 전송률 250 kbps 800 kbps최대 대역폭 5 MHz 1.2 MHz전송거리 10~100 m 1000 m 이내장애물 간섭에 의한 통신품질 다중 및 고속 전송에 적합하고 메쉬 특징저하 및 음영지역 발생 가능 라우팅(mash routing) 망 구축에 적합o 이번 기술기준 개정으로 다양한 USN 서비스가 등장해 활발히 이용될 것이며, 앞으로도 IoT 기술진화 추세에 맞춰 지속적인 기술기준 개선이 기대됨- 35 -제2절 사물인터넷 시장동향1. 해외 동향가. 시장규모□ 국내외 연구원 및 기관은 향후 사물인터넷 시장규모가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o 국내외 연구원 및 시장전문 기관은 공통적으로 사물인터넷 기기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른 시장규모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표 2-8> 국내외 기관의 사물인터넷 시장 관련 전망(종합)<표 2-8> 국내외 기관의 사물인터넷 시장 관련 전망(종합)기관 사물인터넷(IoT) 시장 전망 주요 내용·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8년간 약 5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국내 사물인터넷 시장은 8년간 약 산업경제 ·(세계)253조원('14) → 1,225조원('22)8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연구원 ·(국내)2.3조원('14) → 17.7조원('22)·TV, 냉장고, 자동차 등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사물들이 연결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사물인터넷 단말기 출하대수는 향후 연평균 61% 성장할 것으로 ·2019년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 가치는 BI인텔리 전망('19년 67억 개)1조 7,000억 달러(약 1,800조 원)로 전망전스 ·2014년 19억대 수준의 사물인터넷 ※ HW, SW, 설치·유지비용 및 파생효율성 포함기기가 2018년 90억대로 약 4.7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2020년 사물인터넷 연결기기가 250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세계 사물인터넷 서비스 지출액 : 가트너 ('14년 38억대 수준)695억달러('15) → 2,630억달러('20)·250억대 중 소비자 부문에서 130억대 이상 사용될 것으로 전망·민간 부문에서 약 14조 4천억, ·2014년~2023년, 10년간 사물인터넷은 공공부문에서 4조 6천억원의 가치 창출Cisco 19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2020년 500억개의 단말기가 인터넷에 것으로 전망(연평균 1.9조 달러)연결될 것으로 전망- 36 -□ 2022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1,225조원으로 2014년 대비 5배 성장o 사물인터넷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5년에는 이러한 성장세가 본격화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됨-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2014년 253조에서 2015년 308조, 2022년에는 1,225조원으로 약 5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 역시 이러한 흐름을 넘어 2014년 2.3조, 2015년 2.9조에서 2022년에는 17.7조원으로 8배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그림 2-15] 전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전망[그림 2-15] 전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전망 자료 : 산업경제연구원o 사물인터넷 성장은 TV, 냉장고, 자동차 등 기존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사물들이 연결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 사물들의 연결로 인해 사물, 즉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네트워크망과 시스템 관련한 매출은 10%미만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이는 기존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독자적인 시장을 가지고 존재하고 있던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서 각각의 매출에서 사물인터넷 영역의 매출로 변경되어 집계되었다고 볼 수 있음- 37 -□ BI인텔리전스는 사물인터넷이 향후 세계 최대 단말기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o 2019년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 가치는 HW, SW, 설치·유지비용 및 파생 효율성 등을 포함하여 1조 7,000억 달러(한화 약 1,800조 원) 가량으로 예상- 2019년에는 전체 단말기 시장에서 사물인터넷 비중이 가장 커져, 스마트폰·PC·커넥티드 카·웨어러블 기기의 총합보다 두 배 이상일 것으로 예측[그림 2-16] 부문별 IoT 단말기 수치 전망(E)[그림 2-16] 부문별 IoT 단말기 수치 전망(E) 자료 : BI Intelligence Estimateso 2014년 사물인터넷 단말기 시장에서 기업 부문(46%)이 시장을 견인하나 이후 점차 감소해 공공·가정 부문의 비율이 증가할 전망- 2019년에는 공공 부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 사물인터넷은 저비용으로 가정이나 도시, 회사 업무 등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예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 새로운 시장의 창출o 향후 사물인터넷 시장은 사물들의 연결을 넘어서서 연결로 인해 파생되는 새로운 상품/서비스 영역의 탄생 및 성장세가 중요함- 38 -- 마키나 리서치와 한국정보화 진흥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사물인터넷 시장은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 관련 매출이 급성장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그림 2-17] 사물인터넷 시장의 분야별 매출 전망[그림 2-17] 사물인터넷 시장의 분야별 매출 전망 자료: 마키나 리서치, 한국정보화진흥원□ IT전문 매체인 BI인텔리전스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2014년 19억대 수준에서 4년 뒤인 2018년 90억대로 4.7배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o 2018년 90억대의 사물인터넷 기기는 현재의 스마트폰, 스마트TV,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PC 등을 모두 합친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사물인터넷시장의 급격한 성장 가능성을 의미o BI인텔리전스는 사물인터넷 활용범위가 크게 6가지 분야에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① 사물 간 긴밀한 상호 작용이 실시간으로 가능해지면서 광고나 마케팅 영역에서의 활용이 증가② 효과적인 주차 공간 관리가 가능해지므로 지능형 교통관리 시스템 관련 매출이 2020년 1천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 예상③ 주거 폐기물·재활용 쓰레기 한도를 초과 배출한 사람들을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하는 폐기물 관리시스템 영역④ 전력 생산과 소비를 최적화해주는 스마트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분야⑤ 펌프와 상하수도 시스템에 센서를 설치해 누수를 방지하는 스마트 워터 시스템⑥ 각종 인터넷을 활용한 공장 조립라인 등- 39 -□ 시장예측 전문기관인 가트너는 2015년 IoT 연결기기 49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o 가트너, 2015년 인터넷 연결 기기 대수를 올해 대비 30% 증가한 49억 대로, 2020년에는 25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o 소비자‧기업‧정부의 IoT 기술 활용 확대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증가- 총 IoT 서비스 지출액은 2015년 695억 달러에서 2020년 2630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이 IoT 기기 대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여 소비자 부문에서 2015년 29억 대, 2020년 130억 대 이상 사용될 전망- 2015년 IoT 기기 활용 활성화 3대 산업은 ▲제조 ▲공공사업 ▲ 교통 분야로 총 7억 3,600만 대를 활용할 전망이며, 2020년에는 1위 공공사업 분야, 2위 제조·정부 분야로 총 17억대의 IoT 기기를 도입할 예정o IoT 신규 서비스·용례 및 비즈니스 모델 창출 가능성 증대- 내장형 지능 및 인터넷 연결의 표준이 확립되며 주류 제품‧서비스에 빠르게 적용될 전망- 2017년 말 기업의 20% 이상이 IoT 기기‧서비스 및 관련 서비스 전용 디지털 보안 서비스를 도입할 전망- IoT로 인해 디지털 보안 아키텍처에 신규 플랫폼, IT·IoT의 하이브리드 통합 방식, 산업별 새 기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 관점이 도입될 예정□ 글로벌 네트워크 통신회사 Cisco는 향후 10년간(2014~2023) IoT 시장은 약 19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 창출 할 것으로 전망o 민간 부문에서 약 14조 4천억, 공공 부문에서 4조 6천억원의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 제조업, 통신, IT솔루션, 인터넷 업체에 자동차, 유통, 의료 등이 유망산업으로 꼽힘- OS 등의 표준화가 시급하며 서비스 분야의 스타트업에 큰 기회제공 전망- 40 -[그림 2-18] 사물인터넷의 가치 창출 규모[그림 2-18] 사물인터넷의 가치 창출 규모 자료: 시스코., 2013o 또한, Cisco는 IoT 서비스 확산으로 IoT 관련 인터넷 접속 단말 수 급격 증가할 것으로 전망- IoT는 2020년 500억 단말 연결, 향후 10년 19조 달러 창출- 인터넷 연결 단말 수는 2008년 세계 인구 수 초과 후 2020년 500억 개 도달- 주요 연결 네트워크는 무선이며 500억 개도 연결 가능 수치의 3%에 불과[그림 2-19] 글로벌 인터넷 접속 단말 추이 예측[그림 2-19] 글로벌 인터넷 접속 단말 추이 예측 자료: 시스코., 2013□ IoT 관련 프로세싱·센싱 반도체 소자 시장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o 가트너는 2015년 사물인터넷(IoT) 반도체 시장이 36.2%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5G 시대의 태동과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IoT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IoT 반도체 시장 성장- 41 -- 전체 반도체 시장 성장률 5.7%인 반면, IoT 반도체는 2015년 36.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75억 8,000만 달러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 반도체 소자 매출 중 IoT의 핵심인 프로세싱 반도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센싱 반도체 매출 증가율이 47.5%로 가장 강한 성장세 보일 것o 자동차, LED 조명, 가전, 웨어러블 기기 등 각 산업별 IoT 반도체 수요에 대한 전망을 아래 표와 같이 제시함<표 2-9> 산업별 IoT 반도체 수요<표 2-9> 산업별 IoT 반도체 수요산업 구분 내용·2020년까지 반도체 수요 창출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 자동차 ·안전 규제‧편의성‧자율주행에 대한 가 차량용 반도체 수요 창출·예측 정비기술과 같은 미래형 비용절감 기술이 큰 역할을 수행·에너지 절감기술은 IoT의 중요한 핵심LED 조명 ·사물인터넷 반도체의 핵심적 역할로써 에너지 절감은 주변 환경을 연결, 통신, 및 감지해주는 인프라를 핵심으로 삼음·스마트TV·셋톱박스 등 프로세싱 반도체가 가장 극적으로 접목되는 분야·상대적으로 높은 부품원가(BOM) 때문에 관련 반도체 매출이 늘어날 가전 것으로 예상·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웨어러블이 차지하는 비중 증가하며 수요 더욱 증가할 것웨어러블 기기 ·다양한 사물인터넷 반도체의 촉매제 역할o 향후 대량 저비용 반도체 소자 주도로 거의 모든 산업에서 반도체 매출이 증가할 것이며, 실제로는 저렴한 반도체 소자가 사물인터넷 구현에 주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 중국-미국, 세계 최대 규모의 IoT 시장o 2013년 말 기준 전 세계 M2M 연결 중 중국이 27%(5000만대) 미국이 19%(3500만대) 차지하고 있어 세계 최대 규모의 IoT 시장으로 분석됨- 42 -7)- GSMA인텔리전스(GSMA Intelligence) 는 자동차·유틸리티·석유가스 부문의 성장으로 미국 M2M 연결 대수는 올해 4,100만대 전망- 미국 사업자들은 업계 전문가들과의 전략적 연합 및 제휴를 통해 M2M분야의 폭발적 성장에 대처 중o 무선 M2M사용량이 현재 상승추세 유지시 ’20년 총 이동통신 사용량의 약 10%인 9억 7,400만 건이 될 것으로 전망- 현재 무선 M2M사용량은 전세계 이동통신 접속건수의 약 3% 차지(스마트폰·태블릿PC·e-북 리더 등 소비자 전자기기 접속건수 제외)o 한국무역협회는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연평균 30%이상 증가해 ’20년이면 5조 위안(한화 약 9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 중국 정부, 사물인터넷 육성을 위해 ’20년까지 총 140억 위안을 투입해 산업단지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적극적 투자 중[그림 2-20] 중국 IoT 시장규모 및 분야별 점유율[그림 2-20] 중국 IoT 시장규모 및 분야별 점유율중국 IoT 시장 규모 중국 IoT 시장 분야별 점유율6,000 45394,896 405,000 3435304,000 3,650 30253,000 2,62618202,0201,7162,000 15101,00050 02009 2010 2011 2012 2013시장규모(억위안) 전년대비증가율(%)자료 : 중국 사물인터넷 RFID 2013년도 보고서o 중국, 네트워크 계측 구분 방식에 따라 IoT 세부업종 분류 7)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의 연구부문- 43 -- 네트워크 계측 구분 방식에 따라 ▲ 감지계층 ▲ 전송계층 ▲ 데이터계층 ▲ 응용계층으로 대분류하고, 20개 소분류 업종으로 정리- 2013년 중국 IoT 분야별 점유율은 스마트공업(20.0%), 스마트 물류(10.8%), 스마트 교통(8.3%), 스마트 그리드(6.4%) 순서로 차지o 중국 IoT 분야 중 전자태그와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성장이 강세- 전자태그(RFID), 2013년 중국 IoT 시장 점유율은 7% 수준으로 낮으나 지속적으로 40%대 이상의 연간 성장률 유지하며 급성장 중- 클라우드 컴퓨팅, 연평균 50% 이상의 성장률로 꾸준히 발전 중나. 시장환경□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점의 변화; ‘Network of Things’ 중심에서 ‘Service of Things’로의 변화o IoT에 대한 기대가 충족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중심의 시각에서 서비스가 강조된 시각으로 변하고 있음- ‘Service of Things'에서는 인간에게 구체적인 해택을 주기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이 핵심이며, 다양한 산업 영역과 글로벌 차원에서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 중요함[그림 2-21] IoT에 대한 관점의 변화[그림 2-21] IoT에 대한 관점의 변화- 44 -□ 사물인터넷 전용 네트워크 구축 움직임 대두o 사물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 필요론 대두되고 있음- 현존하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3G/4G/LTE, 블루투스, WiFi, ZigBee, NFC, RFID, 이더넷, 위성, GPS 등)는 IoT 인프라로 활용 가능하나 3G, LTE 등의 네트워크는 사람 간 커뮤니케이션 용도로 구축됨- 따라서 운용효율성 제고, 트래픽 병목 방지, 비용절감, 보안성 확보를 이유로 사물 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 구축 필요론 대두- 사물인터넷 사업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높은 네트워크 구축/사업 비용으로 중소기업, 스타트업, 1인기업 등의 시장진입이 어려워 국가 차원의 전용 네트워크 구축 필요<표 2-10> IoT 전용 네트워크의 필요성<표 2-10> IoT 전용 네트워크의 필요성구 분 필 요 성운용효율성 사물 간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사용량 및 빈도수가 극히 낮음사물 커뮤니케이션으로 기존 이동통신망 활용시, 병목 현상으로 트래픽 병목효율적인 IoT 서비스 불가IoT 전용 네트워크 구축 및 운용 비용이 일반 통신 네트워크 대비 저렴비용(가정 내 연기 발생탐지를 위한 접속비용은 연간 수 유로에 불과)IoT 산업 활성화 전제 요소 중 보안이 가장 중요하며, 보안을 담보할 보안수 있는 IoT 전용 네트워크 필요8)o IoT 전용 네트워크 구축에 관련한 Ultra narrow-band , 유휴주파수대역 등을 활용한 기술이 개발됨- (SigFox) 저전력․저비용의 IoT 전용 셀룰러 네트워크를 유럽 각국 및 미국 등 각지에 구축8) narrow-band(협대역) :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에서 음성 신호에 비해 대역폭이 좁은 대역- 45 -※ SigFox의 타깃 시장은 데이터 전송량이 적고 네트워크 접속 빈도수가 낮은 자판기,커넥티드 홈 가전, 스마트 미터 등에 활용 가능- (Neul) BT와 협력하여 영국에 시범 White Space IoT 네트워크 구축※ 금년 5월 Whit Space 기반 개방형 IoT 네트워크 시범사업 계획 발표(영국)※ 올 여름 15개의 Weightless(오픈 무선기술 표준) 기지국 구축 후 IoT 네트워크를 마련해 9월부터 본격 시범 서비스 개시 예정<표 2-11> IoT 전용 네트워크 기술 동향<표 2-11> IoT 전용 네트워크 기술 동향사업자 방 식Ultra narrow-band(초협대역) 모듈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사SigFox(프랑스)용량이 낮은 사물 전용 네트워크 구축주파수대역 사이에 존재하는 white space를 사용하여 IoT 전용 네트Neul(영국)워크 제공o 의료, 자동차, 금융 등 QoS가 담보되어야 하는 영역은 보안성/안정성이 높은 4G/5G 통신용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데이터 사용량이 낮고 전력 효율이 중시되는 프린터, 스피커 등의 분야는 전용 네트워크 도입 고려[그림 2-22] 시장수요 및 시스템 수용 저항도에 따른 IoT 서비스 포지셔닝[그림 2-22] 시장수요 및 시스템 수용 저항도에 따른 IoT 서비스 포지셔닝- 46 -□ 글로벌 조사업체 가트너(Gartner)는 2014년 현재 가장 유망한 기술로 ‘IoT’와 ‘자연어 질의응답’ 분야를 선정9)- 가트너는 2014년판 유망 기술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 를 발표하였으며, 현재 가장 기대치가 높은 분야는 IoT와 자연어 질의응답 분야로 분석됨- 가트너는 IoT분야가 산업, 기업, 고객 생태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로, 현재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o 가트너의 보고서는 다양한 기술 분야를 분석해 시간에 대한 유망기술 기대치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음- 제시된 사이클 그래프에서는 IoT와 자연어 질의응답 분야가 현재 최정점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기기·무인자동차·동시통역 분야의 기대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그림 2-23] 2014 가트너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그림 2-23] 2014 가트너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IoT 분야는 현재 기대치는 가장 높으나, 5년에서 10년 사이 안정권에 들어설 것으로 분석됨9) 기술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올해로 20년째인 하이프 사이클 조사는 2,000개 이상의 기술을 기술성숙도, 사업성, 미래 가치 등을 기준으로 분석, 현재 기대치 및 기술의 발전 단계를 시각화하여 보여줌- 47 -- 기술에 대한 트렌드는 매년 변화중이며, 이번 하이프 사이클에서는 빅데이터, 소셜 클라우드에 대한 기대치는 감소하고 IoT와 자연어 질문응답 분야의 기대가 높아지는 특징을 보임※ 2013년 하이프 사이클 조사에서는 빅데이터, 개인용 3D프린팅, 게임화, 웨어러블 유저 인터페이스 부분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로 분석되었음[그림 2-24] 하이프 사이클의 메가트렌드[그림 2-24] 하이프 사이클의 메가트렌드□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가트너는 앞으로 스타트업이 사물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o 스타트업(startup) 및 개인 제작자(maker)가 틈새시장을 대상으로 한 다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사물인터넷 시장을 주도할 전망- 개인 제작자와 스타트업*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IoT 솔루션과, 저가 전자기기·전통 제조 기술·3D 프린팅·개방/폐쇄형 HW·SW 등을 활용해 비즈니스 및 삶의 방식을 개선하는 다양한 IoT 기기들을 주로 제작- 2017년에는 설립 3년 미만의 스타트업이 사물인터넷 솔루션의 절반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 48 -* 개인 제작자는 일종의 발명가·기업가로 전통적 도구, 디지털 디자인, 급속조형기술(rapidprototyping), 제조 기술 등을 활용해 제품을 발명·생산하는 비전문가이며, 스타트업은 기술 분야에 주로 중점을 둔 고성장의 가능성을 가진 신생기업을 의미(가트너)o 가트너는 앞으로 스타트업·개인 제작자는 일반 기업이 간과한 창의적 솔루션을 창출하면서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 특히, 향후 IoT 시장에서는 본인이나 가족을 가까스로 부양할 정도의 수익만이 가능한 ‘라이프스타일 기업’이 주로 성공할 것으로 예측2. 국내 동향가. 시장규모□ 산업경제연구원은 2022년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17.7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o 현재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사물인터넷 시장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은 2014년 2.3조원에서 2022년에는 8배 성장한 17.7조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연평균 29%의 성장률을 나타냄<표 2-12>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규모 전망<표 2-12>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규모 전망연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시장규모2.3 2.9 3.8 4.9 6.4 8.2 10.6 13.7 17.7(조원)자료: 산업경제연구원나. 시장환경□ 국내 이동통신사 및 대기업 중심으로 활발한 IoT관련 움직임을 보임o SK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및 LG전자의 움직임이 구체화 되고 있으며, 관련 중소업체의 움직임도 가시화 되고 있음- 49 -- SK텔레콤은 IoT에 기반한 새로운 솔루션을 조기에 구체화할 예정이며, 특히 헬스케어, 보안, 근거리 네트워크 분야에 집중한다는 방침- KT는 ‘기가토피아’라는 개념을 선보이며, 현재보다 최대 10배 빠른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IoT를 통해 체감형 융합서비스 시장을 주도할 계획- LG유플러스는 IoT를 위한 R&D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LTE오픈이노베이션센터를 통해 사물인터넷에 대한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모색- 삼성전자는 IoT 솔루션 '스마트홈'을 공개하였으며, 지난 5월에는 미래기술육성센터를 통해 '사물인터넷 보안' 분야를 국가 기술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개발 테마로 선정하고 육성하겠다고 발표함- LG전자는 대표적인 IoT 서비스로 모바일메신저 라인을 통해 스마트가전과 채팅하는 홈챗 서비스를 공개함□ 국내 IoT시장, 최근 가전시장을 중심으로 활성화 기반 마련 중o 초기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은 옥외 환경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로 성장을 도모했으나 한동안의 정체기 경험- 최근 삼성 스마트홈, LG 홈챗 출시 등 스마트홈 환경이 개선되며 가전 시장을 중심으로 산업 재도약 기반 마련 중- 국내 IoT 가전 기술 특허는 2000년~2005년에 연평균 160건, 2006년~2013년에 연평균 70여 건이 출원됨- 현재 IoT 기술 특허를 기반으로 한 IoT 가전 신제품의 출시 사례가 시장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 사물인터넷 발전에 있어서 ▲ 고사용 전력 문제 ▲ 원천기술 ▲ 보안이라는 3대 난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음o (문제점 1) 컴퓨터 OS 탑재(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센서부로 구성된 사물인터넷은 엄청난 양의 전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고사용 전력 문제가 있음- 50 -- 무선 사물인터넷의 조건은 6개월~3년간 자체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어야 하고, 배터리는 휴대가 가능한 소형 크기로 구성되어야 함- 휴대폰 배터리처럼 저전력인 소형 크기도 있지만 현재 3일 이상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만약 컴퓨터 1년을 사용하기 위해선 덤프트럭처럼 큰 배터리를 사용해야 할 만큼 고전력이 필요o (문제점 2) 사물인터넷은 디스플레이, 센서, 통신, 전력, 서버 등의 응용 조합기술로 원천기술이 없고, 이에 기술 노하우가 없으며 개념만 알아도 복제가 가능- 또한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산업·야외용 제품은 비, 바람, 화재 문제로 개발이 저조하며, 가정용 가전제품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상황임o (문제점 3) 사물인터넷 보급과 관련해 보안에 대한 문제해결이 선결되지 못할 경우 인명피해 또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 다양한 사람이 사용한다는 점에서 볼 때 사물인터넷과 보안은 상극- 기술의 발달에 따라 외부침입 또는 해킹 등 악의적 목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어,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 필요□ 휴대폰·사물인터넷 관련 시장이 기기 적합성평가 시험의 비용 상승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o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출시되는 IoT·휴대폰 단말기 적합성시험 비용은 8천여만원(간단한 무선 IoT기기)~6억원 이상(최신 휴대폰 프리미엄 단말기)- 국립전파연구원(RRA) 인증비는 16만 5,000원이나 인증 받기까지 거쳐야 할 시험항목 추가시 비용 급상승- 무선기기의 경우 온·습도, 전압, 전파강도 측정 외에도 전자파관련 수백만원대의 전자적합성(EMC), 전자파간섭(EMI)시험 등이 추가되며 몸에서 반경 2cm이내 밀착사용기기는 4천만원가량의 인체흡수율(SAR)별도 시험- 무선주파수(RF), 프로토콜 시험은 단말기 한 모델당 평균 3억~5억 수준- 51 -o 정부, 시험기관 다수(41곳) 지정해 상호 경쟁으로 측정비용 감소 유도중이나 실제 업계는 협업체제로 운영되고 있어 가격경쟁 미발생- 시험 의뢰가 오면 다른 곳에 외주(아웃소싱)를 주는 경우도 있고, 특별히 가격을 낮춰 많은 물량을 가져갈 만한 대형 기관도 없어 비슷한 서비스를 하는 실정- 몇 년 전만 해도 3~4천만원이면 휴대폰 형식승인을 받을 수 있었지만 최근 천정부지로 상승하였으며, IoT서비스를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수의 기기가 승인을 받아야 해 부담이 커지고 있음o 향후 사용주파수 증가, 안전기준 신설·강화 등 적합성평가 비용 증가 요인은 더 늘어날 전망□ 한국기업평가는 사물인터넷 시장은 중소형 SI업계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o 한국기업평가의 ‘변화하는 IT환경 속 중소형 SI업계의 기회요인’ 보고서에서 ‘스마트기기,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SW와 다양한 제조기기․서비스가 융합된 IT산업이 태동하고 있다’고 분석함o 다품종 소량생산 구조, 빠른 의사 결정 등을 바탕으로 플랫폼, 솔루션․SW, 서비스․보안 분야에서 중소기업이 부각될 수 있을 전망임- 사물인터넷 적용분야가 무궁무진해 대형업체가 모든 분야를 다 이룰 수 없으며, 산업구조 자체가 다품종 소량생산 형태의 플랫폼, SW․어플리케이션, 솔루션 영역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적합함- 사물인터넷은 기술이 표준화되지 않았고 운영체계가 미비해 중소형 SI업체가 플랫폼이나 SW, 솔루션 등을 개발․선점할 수 있음- 국내 보안 SI시장은 각 보안영역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일부 중소형 업체가 이미 주도하고 있음o 중소형 업체가 주도적으로 사업자 지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중소형 업체가 독자적 솔루션을 확보해야 새로운 사업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52 -- 향후 SI업체의 신용도 평가요소로 ‘특화된 솔루션․SW 서비스 확보 여부’, ‘기술력과 연구개발 능력’이 주요 평가요소로 꼽힘- 최근 핸디소프트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인 ‘핸드피아’를 발표했고 한글과컴퓨터, MDS테크놀로지는 클라우드 기반의 SW솔루션과 임베디드SW기술을 접목한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53 -제3절 사물인터넷 산업동향1. 글로벌 동향□ 글로벌 기업간 연합과 협업을 통한 사물인터넷 시장 진출o (기업용 솔루션) SW시장의 연합군 형성- 최근 30년간 숙적인 애플과 IBM 제휴, 애플은 IBM과 독점 계약을 맺고 기업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아이폰과 아이패드 개발 출시(올 가을) IBM은 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삼성전자는 구글과 협력하여 스마트폰 보안 강화 추진o (이종업계 동거) IT회사와 스포츠 용품 업체 등 협업- 애플은 나이키, 삼성전자는 언더아머와 웨어러블 시장에서 협업- 구글은 노바티스와 스마트렌즈를 개발 혈당 측정 등 헬스케어 사업 강화- 스마트폰에서 시작된 글로벌 혈투전선이 사물인터넷 분야로 확대되면서 이제는 독자적인 생존이 힘들어졌고, 2차 대전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서는 합종연행을 통해 누가 유리한 진용을 갖추느냐가 생존의 경쟁력이 되고 있음[그림 2-25] 글로벌 IT기업의 연합[그림 2-25] 글로벌 IT기업의 연합- 54 -□ 해외 IoT관련 업계, 글로벌 ICT 업체를 중심으로 선점 활동 강화o Microsoft, Oracle 과 같은 소프트웨어 업체들은 자사의 플랫폼 MS Azure, Java ME 등을 내세워 IoT플랫폼 시장 선점을 위한 활동 강화<표 2-13> 해외 글로벌 업체의 IoT 추진 동향<표 2-13> 해외 글로벌 업체의 IoT 추진 동향업체 개요·Cisco, GE, IBM, Intel등과 제휴하고 이들 기업의 기기 모두를 연결하는 사실AT&T상의 IoT 네트워크 제공자를 겨냥·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향후 2년간 10억 달러 이상을 투입, ‘인터 클라우드’로 명명한 ‘클라우드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인데, 이는 만물인터넷(IoE)을 위해 설계Cisco·‘Smart Connected Communities’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곳곳에 스마트시티 사업을 진행하는 한편, IoT용 앱 개발 프레임워크인 ‘IOx’를 앞세워 IoT 플랫폼 선점에 나서고 있음·모든 생산제품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산업 인터넷(IoT를 의미)`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선언하고, 산업인터넷 사업 강화를 위해 AT&T, Cisco, GE Intel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한편, 산업인터넷 플랫폼인 Predix를 공개※ Predix는 GE가 개발한 기기와 원격으로 연결해 정보를 수집, 산업 전 분야에서 사용될 산업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관리·최근 스마트폰 OS '안드로이드‘를 TV, 자동차, 시계 등 주요 기기에 집어넣는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Google은 난방, 조명, Google가전제품까지 아울러 모두 연결되고 자동적으로 사용자에 반응하는 사물인터넷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스마트 플래닛(Smart Planet)’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스마트 전력망 등 서비스 구축에 나선 가운데, 2016년까지 IoT 분야에서 추가로 200억 달러의 IBM인수합병을 추진할 계획. IBM은 더 '스마트'한 세상을 위해 사물인터넷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IoT 전략으로 지능형 기기 사용과 엔드 투 엔드 분석 지원, 기존 디바이스의 클라우드 연결을 지원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Intel ·이미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된 초소형 프로세서 Quark을 발표, 2014년 CES에서는 쿼크 CPU와 WiFi/BT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Edison이라는 SD Card 형태의 IoT 플랫폼을 런칭·많은 윈도 디바이스와 다른 사물인터넷 관련 센서와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자사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MS Azure(애저)로 이어주는 등 IoT 시장 Microsoft공략을 강화·Microsoft는 최근 IoT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AllSeen Alliance 회원에 가입자료: NetworkWorld(2014.5) 및 언론매체 발췌 및 재정리- 55 -o Qualcomm, Intel 등 반도체 업체들은 Alljoyn, Quark 등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시하면서 스마트홈이나 웨어러블 기기에 중점을 두고 있음o 그 외 AT&T는 Cisco 등과 제휴하여 기기 모두를 연결하는 IoT 네트워크 제공자를 겨냥하는 등 글로벌 업체들은 시장선점을 시도하고 있음□ 사물인터넷 플랫폼 주도권 이슈 부상o 사물인터넷 시장은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되는 시장으로 글로벌 기업 간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사물인터넷은 향후 자동차, 생활가전 등 기존 산업에 IT기술 연결‧융합시 스마트카, 스마트홈, 헬스케어 등 다양한 수직 시장(Vertical Market) 형성 - 현재 IoT 시장은 초기 단계로 뚜렷한 플랫폼 강자는 아직까지 부재하지만, ’15년에는 연결의 구심점인 플랫폼 주도권 이슈가 부상할 것으로 전망됨- 네이버, 카카오톡 등 IT 시장은 초기 단계의 수많은 참여자와 이용자를 한 곳으로 모으고, 그것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만드는 플랫폼 역할을 하는 기업이 주도권을 잡게 되고 결국 최종 승자가 되어 옴o IoT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한 관계 업체 경쟁 심화되고 있으며, 제조사‧정부‧IT 업체 등 IoT 관계자, 플랫폼 선점을 위해 경쟁 강화- 삼성전자, 2014년 IoT 개방형 플랫폼 개발회사인 ‘스마트싱스’ 인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표준 웹 방식을 사용한 IoT 플랫폼 개발(’14년) - IoT 통합 플랫폼 필요성 증가에 따라 플랫폼 경쟁시 스마트폰 OS 강자 유리10)- 이용자, 스마트폰 연결에 사물들을 각 개별 앱으로 관리시 사일로 현상 등 불편 증가10) 사일로 현상(Silo Effect) : 동일한 환경에서도 서비스마다 장벽이 생기는 현상- 56 -<표 2-14> 스마트폰 OS업체의 IoT 플랫폼 사업화<표 2-14> 스마트폰 OS업체의 IoT 플랫폼 사업화기업명 추진 목표▪무인자동차, 구글글래스 등 다양한 IoT 제품 출시▪안드로이드를 이용한 IoT 생태계 조성 가속화▪가정용 온도조절계와 화재 감지기를 생산하는 Nest 인수구글 ▪가정용 무선 CCTV업체인 Dropcam 인수 ▪스마트홈 네트워킹 업체인 Revolv 인수▪스마트카를 위한 차량용 OS ‘Android Auto’ 출시▪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OS ‘Android Wear’ 출시▪iPhone을 중심으로 Apple OS를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활용하는 전략애플 ▪차량용 OS인 ‘CarPlay’ 발표▪스마트홈 (iHome)의 기반이 되는 ‘HomeKit’ 출시□ 위기의 제조업, 새 성장엔진으로 사물인터넷(IoT) 대두o 제 3차 산업혁명에서 IoT가 제조업의 차세대 변화를 주도할 것- IoT 제품은 상품‧서비스 특성 동시 보유하여 제조업의 서비스화 촉진하며, 물리적 기능보다 SW와 ICT 서비스에서 가치 창출 증대<표 2-15> 기계산업의 제조와 서비스 비중<표 2-15> 기계산업의 제조와 서비스 비중구분 제조 서비스한국 79% 21%미국 48% 52%독일 58% 42% 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2014년)o IoT‧제조업 융합을 위한 적극적 인프라 활용 및 선행투자 시급- ▲연결(스마트 단말, 인터넷 연결된 사물) 증가 ▲네트워크‧센서‧데이터 저장‧처리 비용감소 ▲빅데이터 분석 발전 등 IoT 확산 조건 旣충족- IoT가 이미 비즈니스 모델과 가치사슬 혁신을 현실화하고 있는 만큼 IoT 시스템 구- 57 -성하는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 다양한 기본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에 선행투자가 시급o IoT는 고부가가치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촉진하며,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IoT를 구성하는 R&D와 산·학·연 협력, 인력양성, 네트워크 투자 유인이 필요함11)□ IoT가 변화시킨 글로벌 Telco 의 비즈니스 환경o IoT 성장에 따라 위기와 기회가 동시에 내포한 가치사슬 내 Telco 입지- 스마트시대 이후 ▲네트워크 인프라의 일상재化, ▲높아진 플랫폼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니즈, ▲OTT(Over The Top) 서비스 등장 등으로 인해 일부 조사기관들은 Telco의 시장 입지 및 성장률 저평가- Telco는 망 사업 외에도 SI, 솔루션 등 다양한 非통신 분야를 직‧간접적 사업영역으로 구축하여 디바이스를 제외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기회 발굴 가능※ 2022년 기준 , 전체 시장 규모 약 1.2조 달러 중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시스템 운영▲네트워크 등 56.9%에 해당하는 약 6천8백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Telco의 기회시장o End-to-End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수요 증가- End-to-End단에서 BLE(저전력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네트워크 트래픽 급증으로 네트워크 인프라 추가 수요 발생- Telco, 이용자 밀착 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 셀룰러망(3G·LTE 등) 기반의 이동성·안정성·보안성 높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여 양‧질적으로 우수한 데이터 확보 및 차별화된 IoT 서비스 발굴 가능o IoT로의 변화에 맞서 Telco는 서비스 모델로 M2M의 사업 범위 확대하고, 서비스형 모델로 전환하는 등 중장기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있음11) Telco : Telecommunications company의 줄임말로, AT&T, Vodafone 등 통신사업자- 58 -<표 2-16> 주요 Telco의 M2M 서비스 모델 현황<표 2-16> 주요 Telco의 M2M 서비스 모델 현황서비스 서비스 기반 기업명 서비스 설명브랜드 분야 M2M 영역▪미국 15개 도시를 대상으로 홈 보안과 자동화 서비스 통합Digital 스마트 - CCTV, 도어락, 센서 등 20종 디바이스 연계AT&T ▪보안Life 홈 ▪Cisco와 제휴를 통한 플랫폼, 디바이스 역량 확충▪서비스 및 가격 차별화로 유럽 등 해외 진출▪스마트 레퍼런스 확보 ▪M2M Global Partner Program 운영 및 ▪관제Smart 스마트 170개 파트너사에 제공Telefonica ▪교통Cities 시티 ▪스페인 Valencia, Santander, Malaga와 ▪에너지브라질 Rio De Janeiro, 미국 San Diego 대상 스마트시티화 진행 ▪유통▪자회사인 T-Mobile과 T-Systems 역량 ▪자동차바탕 자체 M2M 플랫폼 구축 ▪에너지▪M2MCC, M2M Marketplace 등 M2M 포털 ▪가전Deutsche 스마트 중심으로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T-City ▪보안 Telekom 시티 ▪스마트시티 브랜드 T-City 구축 목표▪커머스▪이탈리아 Pisa에 주차 시스템, 대중교통 ▪산업등 교통 인프라를 주 콘셉트로 한 스마▪헬스트시티 시범 구축 ▪공공인프라o 오픈 생태계 구축을 통한 가치사슬 확장- ▲유력 기업과의 파트너십 ▲오픈 이노베이션 등을 통해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에서의 영향력 확보 중- Telco 중심의 M2M 표준화 연합체는 국가 간 개별표준을 인정하되 상호연결을 통해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는 로밍형 표준화 지향 중- 59 -<표 2-17> 주요 Telco의 파트너십 현황<표 2-17> 주요 Telco의 파트너십 현황기업명 파트너십 형태 규모 혜택 서비스 설명▪데이터 공유 ▪10개의 M2M 분야의 역량 확보Vodaf기업 간 MOU 32개 사 ▪개발킷 공개 ▪The Partner Programme 운영을 통one▪테스트 베드 해 파트너사에게 독자적 혜택 제공▪독자기구 CMIoT 중심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 충칭시에 IoT 기술센터 조성- 스마트시티 관제 중심 서비스 집▪스마트시티 China 오픈 중 개발20개 사 프로젝트 공Mobile 이노베이션 - 중국 31개 성의 217개 시 협력동 진행 등▪20개사와 50여 개의 프로젝트 진행▪레퍼런스 확보를 통한 충징시 내 난안구 스마트시티화시키고 산업생산성 향상 계획(2017년)o 사물인터넷으로 인해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Telco의 생존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데이터 운용, 사업단위 생태계 구성을 통한 비즈니스 확대가 요구됨- M2M은 IoT 경쟁력의 원천으로 지속 성장할 전망으로 지속적인 M2M 강화 노력이 필요하며 일회성 구축형 모델에서 서비스형 모델로의 전환이 필요- 효과적인 데이터 운용이 IoT 시장 진출 성패의 열쇠이며, 이를 위해 IoT 신서비스 창출을 위한 데이터 분석 역량이 요구됨- 최근의 글로벌 Telco, 과거 단일 생태계의 수직적 지배력 확대와 달리 각 사업 영역에 적합한 생태계 확보 전략 집중- 명확한 목표 및 비즈니스 모델이 있는 사업에 최적의 협력자를 집결시키는 등 구체적인 단위 사업 중심의 생태계 조성 중□ IoT·웨어러블 시장 확대에 따른 주요 반도체社의 대응 강화o 주요 반도체社, 시장 확대 대비 차원을 넘어 새로운 사업 방향을 제안하는 방향으로 대응 강화- 60 -- 인텔, 별도 사물인터넷 그룹 운영 및 신시장그룹의 웨어러블 대응 등 전담 조직 가동 중- ARM, IoT 제품 개발 및 도입 돕는 사물인터넷 전용 플랫폼 ‘ARM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 개발 및 협력사 제공- 삼성전자, 모바일AP와 모바일D램, 낸드플래시를 하나의 패키지에 묶은 웨어러블반도체 ‘ePOP’공개 및 기어S에 탑재□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스마트기기 패키지’ 글로벌 경쟁이 심화됨12)o 유럽 최대 가전박람회 IFA2014 에서 글로벌 IT기업들이 사물인터넷(IoT)의 전초전인 스마트 홈(홈 오토메이션) 기술 경쟁- 스마트폰 성장세가 둔화되며 글로벌 전자 기업들은 신성장동력으로 스마트홈을 육성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홈, 사물인터넷으로 발전하며 모바일 기기의 중요성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 기기 간 연결의 핵심인 모바일 및 모바일과 가전제품의 패키지화로 시너지 창출o 삼성·LG 전자는 가전제품 라인업에 모바일·웨어러블 연동 서비스 강화 추진- 삼성·LG는 기구축된 가전제품 라인업을 통해 타 IT기업에 비해 사물인터넷 가전 시장에서 유리함- 삼성전자는 기기 제어 중심에서 사용자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홈 관련 제품을 개발- LG전자는 대상기기 및 서비스 확대, 외부기기․서비스 연동 등 소비자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한 새로운 기능들을 공개- 또한, 두 업체는 이번 전시회에서 스마트워치인 삼성 '기어S'와 LG 'G워치R'를 각각 공개하며 웨어러블 시장에서도 상대적 우위를 점하고자 함12)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 : 매년 독일 베를린에서 1주간 일정으로 열리는 유럽 최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AV) 멀티미디어 전시회로 통상 전세계 40여개국, 1,000여개 업체가 참가해 PDP, 홈시어터, 셋톱박스, 모바일기기 등을 전시(’14.9.5~’14.9.10)- 61 -<표 2-18> 삼성·LG·애플의 스마트홈 신제품 출시 동향<표 2-18> 삼성·LG·애플의 스마트홈 신제품 출시 동향삼성전자 LG전자 애플스마트홈 삼성 스마트홈 홈챗 홈킷플랫폼음성인식 S보이스 홈챗 시리앱스마트삼성기어S G워치R 아이워치워치ㆍiOS8탑재된 아이폰6 ㆍ홈챗-세탁기, 냉장고, 출시를 통해 홈킷 ㆍ스마트폰과 세탁기, 광파 오븐, 에어콘, 상용화, 오븐, 로봇청소기 등 스마트조명, 특징 모바일·웨어러블 가전기기 연결 및 로봇청소기 등과의 기기를 통한 홈 제어기능 제공 연결 및 모니터링, 오토메이션 제어 기능 제어 제공제공각 社의 스마트홈 이미지o 삼성전자는 M&A를 통해 자체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 LG·애플은 여타 기업과의 스마트홈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특징을 보임- 삼성전자, 스마트싱스(IoT플랫폼 개발업체) 및 콰이어트사이드(시스템 에어컨 유통업체), 프린터온(모바일 프린팅업체) 등을 인수하며 자체 스마트홈 경쟁력 확보 중- LG전자, IFA에서 스마트홈 서비스 선보이기 위해 구글이 인수한 네스트와의 협력 및 향후 올씬 얼라이언스의 IoT플랫폼인 올조인과의 연동 서비스 출시 계획- 애플은 모바일 전문화 특성을 바탕으로 스마트홈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스카이벨, 오스람, 허니웰, 필립스, 브로드컴 등 이종분야의 파트너들과 협력 확대 중- 62 -□ 사물인터넷 시대에 맞춰 저전력의 블루투스 기술이 사물인터넷 부문에 확대 적용되면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o 시장조사업체 ABI리서치는 사물인터넷의 확산으로 블루투스 기기 출하량이 2013년 31억대에서 2018년에는 연 46억대 규모로 5년간 약 48.3% 증가할 것으로 추정o 블루투스 4.0 (블루투스 스마트)은 상시통신 기능이 사용되는 IoT 분야에서 저전력·고성능 구현 가능- 블루투스 4.0기술은 기존 3.0기술에 비해 전력소모를 약 90% 절감, 사물인터넷 기기의 충전 주기 대폭 개선 전망- 카시오·세이코는 블루투스 스마트 기능을 적용해 배터리 하나로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최근 출시하였고, 무선 키보드와 마우스도 블루투스 4.0 적용시 한 번 충전으로 1년 이상 사용이 가능o 블루투스 4.0에 대한 정보가 해외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어 이를 적용한 국내 SW, HW 제품은 적은 현황- 최신 블루투스 기술을 지원하는 운영체제 제조사는 현재 애플(iOS)뿐이나, 블루투스SIG는 구글(Android), 마이크로소프트(Window mobile), 삼성전자(Tizen)와도 협력 진행중o 블루투스 4.0 기술은 향후 IoT 시대의 통신표준 역할을 할 가능성 높아 국내 업체들의 관심 필요함- 특히 성장 잠재력 높은 피트니스·건강 관련 제품의 경우 충전편의성 높은 블루투스 4.0 기능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애플-구글도 ‘비콘’ 기술 기반의 서비스 제공o 애플, 블루투스 4.0규격과 서비스를 통합한 ‘아이비콘(iBeacon)’ 중심의 앱 생태계 확대에 집중하며 해외 시장의 비콘 열풍 선도- 63 -- 미국 내 250여 개 애플스토어 및 150여 개 슈퍼마켓에서 최신단말정보 제공, 상점정보·할인쿠폰 제공 등 아이비콘 서비스를 시행 중- 스마트워치 ‘페블’의 아이폰 위치 추적 서비스, 소셜데이팅 앱 ‘밍글턴’의 새로운 인연 찾기 등 아이비콘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출시 중o 구글은 비콘 서비스 ‘니어바이’를 애플의 대항마로 개발, 서비스 준비 중- 비콘으로 위치 기록·데이터를 전송해 사용자 근처 사람·장소·사물을 연결하여 ‘구글 나우’, ‘구글 플러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할 예정o 국내 시장에서도 SK, KT 등 기업들도 비콘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준비 중에 있음- SK 플래닛, 현대백화점·서울대병원 등 비콘 활용한 서비스 시범 실시 중- KT, 비콘 솔루션·플랫폼 개발 중으로 향후 쇼핑센터 등 유통매장 마케팅 활용 외에도 비콘기반 세이프존 구축 등 안전·안심 서비스에도 집중할 계획- 신호 안정성·보안성 우수 평가를 받은 퍼플즈의 ‘레코’ 비콘, 쿠폰·체크인 등 마케팅 서비스와 재난·안전 대처 기능을 통합한 어비팩토리 ‘어비콘’ 등 스타트업도 관련 시장 진출 중[그림 2-26] 국내·외 비콘 시장 동향 [그림 2-26] 국내·외 비콘 시장 동향 - 64 -2. 해외 기업 동향가. 인텔□ 인텔, 사물인터넷(IoT) 생태계 활성화 박차o 솔루션 제품화 및 시스템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IoT 생태계 구체화 주도- 인텔, IoT를 구체적 솔루션 형태 지닌 생활 속 제품으로 형상화- 국내 시장 활성화를 위해 인텔 플랫폼‧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제품군을 비롯해 시스템 통합 사업자와의 협력 강화 ※ 액센츄어, 부즈 앨런 해밀턴, 캡제미니, 델, HCL, NTT DATA, SAP, 위프로, 타타 컨설턴트 서비스 등이 최적의 IoT 구축을 위한 시스템 업체들<표 2-19> 인텔-국내 업체 협력을 통해 만들어진 IoT 기기<표 2-19> 인텔-국내 업체 협력을 통해 만들어진 IoT 기기협력 업체명 IoT 기기 서비스 설명▪계량기 내부의 무게 센서와 기기, 네트워크에서 만들어진 정보가 CDMA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합관계시스템에 제공RFID ▪누가 얼만큼의 음식물 찌꺼기 버렸는지 파악 가능 및 처리요금 음식물 개별 과금‧결재 가능계량기▪모바일 기기 접속 통해 수신된 정보가 확인 가능하므로 시간‧장소에이텍(ATEC)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 종량제 관리 가능▪지폐와 동전, 스마트카드 등 다양한 결제 수단 지원버스단말기 ▪동전을 한꺼번에 넣으면 저절로 계산해서 총액 제시 및 기록▪수동‧자동으로 거스름돈을 승객에게 지불▪내장 와이파이앱을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조종할 수 있는 RC완구 스마트 RC ▪인텔의 초소형 PC 플랫폼 에디슨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멀리서도 토이스미스해머 자동차가 보내주는 화면 보며 조작▪iOS‧안드로이드 지원 및 다양한 용도의 활용 가능o 5개의 유관 본부 참여를 통한 엔드투엔드(end-to-end) 인프라 제공 - IoT 생태계의 송신 및 수신까지의 모든 접속 정보를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인프라 구축- 65 -<표 2-20> 인텔의 IoT 유관 본부<표 2-20> 인텔의 IoT 유관 본부본부명 역할IoT솔루션 그룹 스마트카·임베디드 기기 같은 단말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클라우드로 전송데이터센터 그룹 수백억 개 단말기에서 생성된 방대한 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 지원소프트웨어 서비스 그룹 디바이스 간 또는 디바이스와 오피스 간 연결뉴디바이스 그룹 패션부문 협업으로 스마트팔찌 등 웨어러블 기기의 가치창출인텔랩 IoT 관련 중앙연구소o 인텔, 사용자에게 빨리 받아들여질 솔루션 개발을 강화- 인텔의 솔루션 개발자와 사용자가 계속 늘어나기 위한 생태계 형성을 위해 LG CNS 등 국내 관련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 인텔, 중국의 웨어러블·IoT 신생벤처에 투자를 통해 중국시장 진출 시도o 인텔, 스마트워치·홍채인식기 등 중국 5개 중소기업에 2,800만 달러(한화 약 295억 원) 규모를 투자하여 사물인터넷 시장에서의 입지 공고화(’14. 10)- 2014년 초 1억 달러 규모의 ‘인텔 캐피탈차이나 스마트 디바이스 이노베이션 펀드(Intel Capital China Smart Device Innovation Fund)’ 설립- 아이스마트(EyeSmart), 광동앱스콤(Guangdong Appscom), 르와테크놀로지 상하이(LeWa Technology Shanghai) 등 5개 중소기업에 펀드금액 최초 투자※ ’98년부터 인텔은 120개 중국 기업들에 7억 달러 이상을 투자o 인텔은 신속·저렴한 비용의 기기 개발을 위해 중국 IoT 분야에 투자, 이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등 신기술 시장에 진출 시도- 애플페이의 지문 인증 신용카드 결제 등 생체인식 사용자 인증기술의 부상에 따라 눈을 인증 수단으로 사용가능한 아이스마트의 모바일용 홍채인식 HW 생산기술에 투자, 모바일·결제단말·스마트홈 등 활용 예정- 66 -- 광동앱스콤은 이슬람 사용자들에 기도 시간 및 메카 방향 알림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스마트워치 등 창의적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 중국 정부 기준을 준수한 스마트폰용 안드로이드 법전을 개발하는 르와테크놀로지 상하이는 해당 법전을 탑재한 제품들을 旣출시- 그 외에 모바일 게임 통신 서비스업체인 ‘상하이 에일리아오 정보기술(Shanghai Ailiao Information Technology)’, LBS 및 텔레매틱스 하드웨어 업체 ‘심천 핍콤 산업개발(Shenzhen Fibocom Industrial Development)’ 등에 투자□ 인텔은 사물인터넷을 겨냥해 인프라스트럭처 및 모바일 컴퓨팅을 위한 14나노미터(nm) 제조공정에 최적화된 최신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공개함(’14. 8)o 새로운 마이크로아키텍처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설계를 최적화 하는 인텔의 아웃사이드-인 디자인 철학의 중요성을 보여줌- 이전 세대의 프로세서와 비슷한 성능이지만 향상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하며, 열 설계 부분에서 두 배 이상 절감함- 14nm 마이크로아키텍처 기술은 우수한 성능, 전력효율, 집적도, 트랜지스터당 비용을 제공하는 2세대 트라이게이트(Tri-gate) 트랜지스터를 사용o 향상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해 서버,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사물인터넷 등에서 새로운 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인텔 코어 M프로세서의 마이크로아키텍처와 14nm 제조공정의 조합은 더 얇고, 조용하며, 낮은 발열의 새로운 폼팩터를 가능케 함□ IoT·웨어러블 시장 공략을 위해 모듈 ‘에디슨(Edison)’ 공개하고 상용화를 위해 다양한 기업과 제휴하고자 함(’14. 9)o ‘에디슨’은 엄지손가락만한 크기(가로 35.5㎜, 세로 25㎜, 높이 3.3㎜)로 구현되어, 다양한 용도와 기능에 맞는 보드 제작이 가능- 67 -- 작고 얇은 디바이스에도 탑재가 쉬워, 제조사 입장에서 제품 디자인을 크게 변형하지 않고도 웨어러블 기능 추가가 가능한 장점- 에디슨은 자사 IoT 시스템용 프로세서인 개선판 쿼크프로세서(CPU)를 탑재, 22nm공정으로 제조된 실버문트(아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함o 인텔은 향후 다양한 산업계에 에디슨을 공급, IoT 및 웨어러블 시장 진입을 시도하는 다양한 기업들과 제휴를 맺어 나갈 계획- 10개국에서 진행 중인 ‘에디슨’과 관련된 40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시장성 높은 제품들의 상용화를 유도할 예정- 또한 3DR, 매그니튜드, 스파크펀, 트로젠로보틱스 등 외부 업체들과 구축한 파트너십을 통해 ‘에디슨’ 생태계를 조성할 전망[그림 2-27] 인텔의 IoT용 모듈 ‘에디슨’[그림 2-27] 인텔의 IoT용 모듈 ‘에디슨’나. 구글□ 2014년 사물인터넷 기업들의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을 선점하고자 함o 구글은 안드로이드와 유튜브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과감한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미래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보임 - 2014년 구글은 미래의 먹거리이자 성장동력으로 사물인터넷 시장을 바라보고 있- 68 -음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행보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2015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2014년 1월 구글은 창업한지 4년밖에 되지 않은 신생기업인 네스트랩스를 32억 달러에 인수한 바 있음- 모토롤라를 레노버에 30억 달러에 매각한 것과 비교하면 구글의 지향점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사례임- 2014년 6월에는 네스트 랩스를 통해 CCTV업체인 드롭캠을 인수함o 무인자동차와 구글 글래스의 개발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음□ 구글, “URL 표준, 피지컬 웹(The Physical Web)”사물인터넷 개발 착수(’14. 10)o IoT의 보편화가 예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구체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는 상황- ▲ 사물의 센서 데이터가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식, ▲ 센서 프로그래밍 방식, ▲ 접근성-보안 간 균형점 등 다양한 미지수 존재o 구글, 사물인터넷 도입 관련 모든 문제를 해결할 URL 기반 오픈소스 프로젝트 ‘피지컬 웹(The Physical Web)’ 개발 착수- 구글, 별도의 앱 없이도 인터넷에만 연결되어 있다면 모든 사물과 소통 가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피지컬 웹(The Physical Web)’시스템* 개발 예정- 피지컬 웹 개발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대신 URL 기반의 인식·통신 시스템을 통해 IoT 통신의 표준을 확립하려는 시도- 구글, “향후 소형기기가 급증할 것이므로 일일이 앱을 개발하는 것은 비효율·비현실적”이라며 “사물과의 소통 시스템을 용량·성능 측면에서 웹 주소보다 부하가 훨씬 많은 앱으로 구현하는 것은 비합리적”으로 강조* 피지컬 웹의 대표적인 예로 ① 고유 URL 할당된 버스정류장 센서에 주변기기들이 접속, 별도의교통 애플리케이션 없이 각종 버스 정보 열람 가능 ② 스마트폰 등의 기기를 통해 근처 자동판매기 URL 주소에 접속해 앱 없이도 원하는 상품 구매가 가능한 방식 등을 들 수 있음- 69 -o 피지컬 웹 프로젝트 상용화시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구글의 독점 및 개인정보 침해 우려 높아질 가능성도 지적됨- IoT 서비스 보편화시 사용자의 개인정보·사생활 등을 스마트폰 등 단말기를 통해 IoT 서비스 제공 업체에 공개할 수 있다는 우려 존재- 특히 현재에도 사용자들은 구글 검색을 통한 위치·알림 서비스의 대가로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물인터넷 및 피지컬 웹 프로젝트 상용화시 향후 구글의 정보 수집 및 독점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위험 존재다. 시스코13)□ 시스코, 사물인터넷 인프라 완성 위해 포그 컴퓨팅 전략 확대(’14. 10)o 시스코는 시카고에서 열린 ‘IoT 월드 포럼’에서 IoT 기술의 산업 현장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자사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전략 확대를 발표14)- IOx 지원 플랫폼을 지난 8개월 동안 8배 수준으로 확대, 포그 컴퓨팅 애플리케이션 관리 SW 솔루션 출시 및 각 산업 부문 선도기업들과 IOx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등 IOx 정착 지원 진행- 시스코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자사 포그 컴퓨팅 전략의 핵심 기술인 IOx를 사실상 표준으로 수용하도록 적극 추진, IoT 기술 도입 앞당길 전망o 동일 행사에서 시스코, ‘IoE 소프트웨어 & 서비스 스위트(IoE Software and Services Suite)’를 함께 소개13)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 모든 데이터를 원거리의 클라우드로 전송하지 않고 데이터 발생 지점 주변에서 선별적으로 분석·활용 가능케 하는 기술. 네트워크 엣지 쪽에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하는 분산형 클라우드 아키텍쳐로 클라우드-엔드 포인트 사이에 포그(안개) 레이어를 만들어 클라우드와 연계함으로써 정보 처리의 효율화 실현 가능14) Cisco IOx : 데이터 발생 위치에 가까운 곳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시스코의 포그 컴퓨팅 전용 플랫폼으로 14.2월 발표. 시스코 NW OS인 시스코 IOS와 리눅스를 통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API/SDK)을 제공하며 PaaS 및 VM(가상 운영체제)도 지원- 70 -- IoE 스위트는 데이터를 기업에 가치 있는 정보로 전환해주는 SW·서비스·솔루션 및 애널리틱스·데이터 가상화·데이터 통합 기능을 근간으로 실시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솔루션 등으로 구성- 해당 스위트를 통해 IoT 환경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그 결과치를 필요로 하는 사람·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전달 가능해 ‘만물인터넷’ 구현- 기업들은 각종 정보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인텔리전스, 애플리케이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및 상황인식 모바일 협업 환경 구현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됨□ 시스코, 사물인터넷 데이터 분석 포트폴리오 공개(’14. 12)o 시스코, 사물인터넷 데이터 분석 기술 전략 및 포트폴리오 공개- 만물인터넷(IoE) 시대 대비 고객의 데이터 분석 고민을 해결해 줄 종합적인 데이터 분석기술‧전략‧솔루션 포트폴리오 공개(12.15)- ‘IoE 지원 시스코 커넥티드 애널리틱스 포트폴리오’는 데이터 발생 위치에 무관히 분석된 정보를 필요시 제공하는 SW 패키지로 구성- 시스코, 기존 보관된 혹은 내부 생성된 데이터에 한해 분석 제공했던 기존 애널리틱스 솔루션 한계 극복한 분석 기술 제공o IoE 시대에는 데이터 분석 역량의 중요성 강조됨 - 비즈니스 통찰력 방해 요인으로 '제한된 데이터 접근과 어려운 데이터 분석 및 이해(40%)'가 도출(시스코 컨설팅 서비스 사업부 조사)- 향후 10년 간 창출될 IoE 경제 가치(19조 달러)중 데이터 분석이 7조 3,000억 달러의 기회를 창출할 전망으로, IoT 기업에게는 실시간 통찰력을 제공 가능한 새로운 데이터 애널리틱스 접근법 필요o 고객 데이터 접근 권한 강화 등 IoE 시대의 데이터 전략 추진-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데이터 가상화와 결합해 고객이 폭넓게 분산돼 있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분석 기능으로 가치 있는 통찰력을 도- 71 -출해 낼 수 있도록 지원- 저장된 데이터‧엣지에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애널리틱스 간 상관관계를 높여 위협에 즉시 대응, 비즈니스 운영 효율성 향상 및 개선된 고객 경험 유도o 시스코는 보유 중인 포트폴리오와 폭넓은 파트너 생태계를 활용해 IoE 분석을 혁신하고, 고객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고자 함라. 애플□ 애플, 자사 서비스를 기반으로 타사와의 협력을 강화o 애플은 인수합병을 통한 성장보다는 자사의 서비스 및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외부의 협력자를 끌어들이고 있음- 사물인터넷 시장에서도 위와 같은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타사와의 협력에 적극적인 모습을 통해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는 전략적인 행보를 보임- 2014년 4월 애플은 제네바 모터쇼를 통해 자사의 카플레이 시스템을 공개하고, 메르세데스 벤츠, 볼보를 비롯하여 BMW, GM, 현대기아차 등 유수의 자동차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음- 카플레이는 아이폰과 연동되어 말이나 터치로 전화를 걸거나 지도앱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애플의 음성인식 서비스인 시리(Siri)를 작동시켜 제어할 수 있음o 2014년 6월 스마트폼과 헬스케어 시장을 겨냥한 홈킷과 헬스킷이라는 개발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도구를 공개함으로써 개발 기업들과의 연대를 강화함마. 아마존□ 아마존, 자체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차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강화o 2014년 4월 아마존은 바코드와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구매와 결제, 배송을 한번에 해결해주는 대시(Dash)를 선보임- 72 -- 온라인 쇼핑이라는 아마존 본연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서비스로 소비자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적인 쇼핑 도구임o 아마존 프라임에어(Prime Air) 프로젝트 역시 이러한 방향성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음- 프라임에어 프로젝트는 모바일로 조종하는 드론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물건을 배송하는 서비스로 결재 후 30분 이내에 배송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온라인 쇼핑에서 발생하는 배송시간이라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음o 이 외에도 아마존은 물류센터 내 창고로봇 키바(Kiva)를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물류센터 비용을 20% 절감하는 등의 효과를 보고 있음바. 기타 업체□ ARM, 사물인터넷 제품의 개발과 도입을 간소화 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 및 OS를 무료로 제공(’14. 10)o 영국 기업 ARM, IoT 제품의 개발과 도입을 간소화할 수 있는 개방형 표준 기반 ‘ARM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 및 무료 OS ‘mbed’ 공개-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은 ARM 코어텍스-M 프로세서 기반 디바이스를 위한 무료 OS인 mbed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IoT 기본 요소를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세트에 통합한 것15)- mbed는 ARM의 코어텍스-M 프로세서 기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위에서 동작하며 표준 보안, 통신·디바이스 관리 기능을 제공- 엠베드 디바이스 서버(mbed Device Server)는 디바이스의 안전한 연결 및 관리를 위한 서버 관련 기술을 제공하는 표준기반 SW 제품으로 IoT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프레임워크 간의 통합을 간소화할 것15)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 특정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로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적용되어 그 두뇌역할을 하는 핵심칩. 롬(ROM)과 램(RAM) 회로까지 내장되어 사실상 초소형컴퓨터의 역할을 하므로 ‘원칩(One Chip) 컴퓨터’로도 불림- 73 -o mbed에 참여한 파트너사를 중심으로 디바이스 개발 중에 있으며, ARM 생태계 파트너사들의 제품 개발을 돕기 위하여 운영체제를 무료로 제공하는 등 각사의 제품 차별화에 필수적인 기본요소들을 제공할 계획- mbed 참여 파트너사는 아트멜, CSR, 에릭슨, 파넬, 프리스케일, IBM, KDDI, 마벨, 메가칩스, 멀티테크, 노르딕, 실리콘랩스 등- mbed 파트너사들은 금년 4분기부터 해당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5년부터 mbed 플랫폼을 채택한 첫 디바이스의 생산이 시작될 전망□ 리틀비츠(LittleBits)는 누구나 손쉽게 자신만의 사물인터넷을 만들 수 있는 오픈소스 솔루션 ‘클라우드 비트(Cloudbit)’를 출시(’14. 8)o 클라우드 비트를 이용하면 기존 전문가나 기업에게 한정된 사물인터넷 제품 개발에서 벗어날 수 있어 사물인터넷 확산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됨- 클라우드 비트는 누구나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프로토 타입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도구로, 이 제품의 사물인터넷의 민주화, 대중화라는 컨셉으로 제작- 많은 기업이 스마트홈 시장에서 패권을 놓고 싸움을 벌이고 있지만 앞으로는 모든 소비자가 흥미로운 것에 직접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다는 취지로 개발됨- 클라우드 비트를 활용, 어떤 사물이든지 인터넷을 연결시켜 스마트 디바이스로 만들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납땜이나 배선작업 혹은 프로그램 코딩 등은 전혀 필요 없음※ 리틀비츠(LittleBits)는 미국 뉴욕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 기업으로 DIY 스마트 키드를생산 판매하고 있음3. 국내 기업 동향가.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IoT를 위한 3차원(3D) 설계 기술이 적용된 융합반도체 개발o IoT 기기의 성능 극대화 공간 최소화를 위해 3차원 설계 기술이 적용된 웨어러블용 융- 74 -16)합반도체인 ‘ePOP’ 을 개발하여 기어2에 적용o 단일 칩으로 다양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가능한 바이오 프로세서 개발- 하나의 칩으로 심전도·심박수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바이오 프로세서에 기술 응용- 사용자 생체신호를 실시간 수집·분석 가능한 개방형 데이터 분석 플랫폼 사미(SAMI), 개방형 웨어러블 센서 모듈 심밴드와 함께 건강 관련 데이터 분석 등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에 활용될 전망o 속도·전력소모 효율을 향상시키는 위드콘 기술을 향후 갤럭시S6부터 삼성의 신규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적용 예정17)- 갤럭시S6부터 위드콘 기술을 자사 모바일AP에 적용□ IoT를 위한 타이젠OS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사의 가전 분야에서 타이젠 이용 확대o 하드웨어인 QD TV보다 소프트웨어 타이젠에 집중- 스마트홈을 앞세운 IoT를 주력 포인트로 강조, 최신 사례를 선보일 예정- 자동차·TV·냉장고 등에도 탑재 가능한 OS ‘타이젠 3.0’을 적용한 스마트 제품 및 서비스 런칭 예정(’15년)o ‘삼성 오픈소스 컨퍼런스(SOSCON)’를 개최하고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타이젠TV 운영체제(OS)인 ‘타이젠(Tizen)’과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등을 공개- 타이젠은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가능한 개방형 운영체제로 다양한 오픈소스 및 직접 개발된 코드로 이루어져 있고 소스코드 역시 모두 공개되어 있어 개방성이 최대 장점으로 평가됨16) ePOP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모바일 AP)와 메모리 반도체인 낸드플래시·D램을 3차원으로 적층한 메모리 패키지로 기존 2차원 설계 대비 실장 면적을 50% 이상 감축시키고 향상된 전력효율 획득 가능17) 위드콘 : 실리콘관통전극(TSV) 기술을 통해 D램과 AP를 연결, 메모리 대역폭을 늘려 기존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를 30%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량을 20% 가량 줄여주는 기술- 75 -- 타이젠 프로젝트에는 누구나 참여가능하며 라이센스 준수 시 소스코드 수정 후 재배포가 가능해 도입 회사마다 각자 새로운 서비스 추가·삭제 편리- 타이젠을 통해 향후 모바일OS는 물론 웹OS 기반의 콘텐츠도 강화할 계획o 표준 연결 규격 개발 및 타사 제품과의 연동 등 개방형 스마트홈 서비스 생태계 구현- 독자 표준 연결 규격인 SHP(Smart Home Protocol)을 개발해 자사의 모든 스마트홈 제품에 적용하고 타사 제품과의 연동도 추진□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 확산을 위해 ‘표준’과 ‘오픈소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제표준개발과 오픈소스개발 및 보급에 많은 투자를 진행 중에 있음o 현재 사물인터넷이 직면한 요구사항은 무엇보다도 실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저 전력 저비용, 프라이버시, 보안, 자율, 확장성, 산업별 서비스, 단일화된 통신 프로토콜, 리소스의 제약 이슈 등을 극복해야 함o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에서는 상호운용성, 특히, ICT 세상과 비 ICT 세상 간의 상호운용성 및 비즈니스 융합이 요구된다고 판단함18)- 사물인터넷은 크로스 도메인 (cross domain)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헬스케어와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과 모빌리티, 운송과 스마트시티 등이 서로 얽혀 있음- 이처럼 사물인터넷에는 이질성, 다양성, 단편화, 비즈니스 모델, 불확실성 등이 존재하고 있음o 사물이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기 시작했지만 세상의 99% 이상의 사물들은 현재에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향후 사물들이 더 많이 연결될수록 우리가 아직까지는 알지 못하는 더 많은 기회가 생기게 될 것으로 기대됨18) 크로스 도메인 : 다양한 플랫폼의 효과적 이용을 위해 독립된 도메인들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허브- 76 -□ OIC를 통한 산업 표준과 오픈소스 솔루션 제공o OIC 구성의 양대 축은 상호작용성을 위한 ‘표준 개발’과 공헌을 위한 ‘오픈소스 활용’이라 요약 가능- 산업 표준은 스펙·인증·브랜드 등을 만들어 누구나 오픈 스펙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발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 오픈소스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디바이스 제조업체들이 상호작용이 가능한 제품을 출시하도록 지원19)o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 확산을 위해 중요한 것은 표준과 오픈소스라고 생각하며, OIC를 통해 산업 표준·오픈소스 솔루션을 제공- OIC를 통해 다양한 업종별 시장에 걸쳐 상호작용이 가능한 표준을 만들 것이며, 오픈소스에 기반을 둔 산업표준을 내놓음으로써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한다는 방침[그림 2-28] OIC의 산업표준-오픈소스 솔루션 기반 사물인터넷 환경[그림 2-28] OIC의 산업표준-오픈소스 솔루션 기반 사물인터넷 환경□ 삼성전자, 평택을 IoT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반도체 모바일·IoT 전략기지로 육성o 삼성, 경기도 평택 고덕산업단지에 283만㎡ 규모의 반도체 산업단지를 구축해 모바일·IoT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기지로 육성19) OIC(Open Interconnect Consortium): ‘14년 7월 삼성전자가 인텔, 브로드컴, 델, 아트멜 등과 함께 결성한 IoT표준 공동개발 컨소시엄. 각사의 제품 간 무선으로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통신 방법을 개발하고 연말까지 가정·사무실에서 쓰는 전자기기 통신용 오픈소스를 공개할 계획. 추후 자동차·의료기기 등으로 범위 확장 예정. 올신얼라이언스와 대결구도 하에 있음- 77 -- 삼성전자는 평택 고덕 산업단지 구축으로 기흥·화성과 30분 거리로 이어지는 '최첨단 반도체 클러스트'가 조성될 것임을 강조- 향후 모바일을 중심으로 관련 시장 성장이 예상되므로 웨어러블이나 IoT 등을 고20)려한 메모리 및 시스템 LSI 부문의 수요에 대응할 예정□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홈 상용화 전략 추진으로 세계 시장 선도o 스마트 홈 시대를 예상하고 구축과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스마트 홈 활성화를 위해 오픈 스마트홈 생태계 구축을 전 방위적으로 지원- 삼성전자는 스마트홈 시장이 2013년 78억달러에서 120억달러로 성장하며, 2015년에는 2배에 달하는 150억달러, 2017년에는 43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스마트 홈 구축에 클라우드와 플랫폼, 그리고 상황 판단이 가능한 센서를 탑재하고 언제 어디서나 연결된 사물인터넷으로서의 가전제품의 중요성을 강조- 기기들을 연결하는 표준규격인‘스마트홈 프로토콜’을 개발해 타 업체 제품이나 안드로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운영체제(OS)를 아우를 수 있음- 개방형 플랫폼으로 다양한 사업자들과 협력관계를 맺는 것 외에도 삼성 스마트홈이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갖고 있음※ 삼성전자는 자체적으로 가전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신의운영체제를 정확하게 표현해줄 만한 가전업체를 인수하거나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시간을 따로 투자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고 있음20) LSI: 시스템온칩(SoC), 시스템 반도체라고도 하며 전자제품 등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반도체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집적회로(IC)- 78 -<표 2-21> 삼성의 스마트 홈 경쟁사 동향<표 2-21> 삼성의 스마트 홈 경쟁사 동향주요내용▪ 2∼3년 후 완벽한 상용화를 목표로 전략 추진 중▪ 스마트홈의 라인업으로 2014년형 삼성 스마트에어컨 Q9000·삼성 버블샷삼성 3 W9000 세탁기·삼성 스마트오븐·삼성 스마트 TV와 사운드바 ·안드로이드 4.0 이상 운영체제(OS)를 탑재한 갤럭시 S5 등의 스마트폰·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삼성 기어2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에 들어갔음▪ 사람·사물·공간 등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loT) 환경에서 아이애플 폰으로 실내조명부터 TV·냉장고 등 가전제품, 보안시스템 등을 원격 조정▪ 애플은 이를 제조할 수 있는 중국 가전업체와의 협의를 진행 중▪ 다양한 업체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스마트홈 시장 진입에 속도를 내고 있음구글 ▪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네스트랩을 3조3000억원에 인수했으며, 홈시큐리티 CCTV 업체인 드롭캠을 사들이기도 했음o 삼성은 스마트 홈에 대해 고부가 제품을 전면에 내세워 외형보다는 내적 성장을 꾀하는 프리미엄 전략 추진- 프리미엄 제품으로 차별화된 가치를 부각시켜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는 것과 에너지 및 전기 절약과 같은 친환경 제품을 프리미엄 전략으로 추진o IoT 플랫폼 TGM을 중심으로 '스마트 홈' 구현에 나섬- IoT 플랫폼을 위한 삼성전자의 데모 시스템 아키텍쳐는 TGM(Things Graph Manager)이라는 허브를 중심으로 작동** 스마트폰으로 가전제품을 직접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 부착된 센서를 TGM허브가 감지, 자동제어하는 방식(예시 : 지갑에 센서를 부착해 분실·도난시 스마트폰에 분실정보를 표시)- 기존 ‘삼성 기어’ 등의 웨어러블과 PC제품 외에도 가방·키보드·책 등에 센서를 넣어 집안의 가전제품들과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특징- ‘프로토콜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개별OS·제조사 제품별로 다른 프로토콜을 하나로 자동 변환함으로써 타이젠OS·안드로이드·우분투·파이어폭스 등 멀티플랫폼 지원 가능- 79 -[그림 2-29] 삼성전자의 스마트 홈 구성도[그림 2-29] 삼성전자의 스마트 홈 구성도□ 스마트홈 관련 회사 인수를 통해 독자 노선 구축o 삼성, 미국 IoT 업체인 스마트싱스를 약 2천억 원에 인수(’14.8월)- 스마트싱스는 개방형 IoT 플랫폼 개발회사로 하나의 모바일 앱으로 원격으로 집을 모니터·제어·자동화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o 인텔, 브로드컴 등과 함께 IoT표준 공동개발 컨소시엄을 주도 중- 운영체제와 서비스 공급자가 달라도 기기 간 상호운용이 가능하도록 IoT 표준 공동개발을 추진하는 ‘오픈 인터커넥트 컨소시엄(OIC)’ 주도-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OIC 참여가 필연적o 삼성전자, 국제가전박람회(IFA) 2014에서 시장 선점 의지 표현- 기기 제어 중심에서 사용자 편의성으로 초점을 옮긴 ‘삼성 기어’ 등의 스마트홈 관련 제품을 전시장 중앙에 배치, 시장 선점 의지 표현- 80 -나. LG전자□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MS) 네스트 등과 협력하는 전략o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MS)와 IoT 분야 포괄적 협력 양해각서 체결- 구본준 LG전자 부회장, 방한중인 나델라 MS CEO를 만나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포괄적인 협력을 하기로 양해각서(MOU)를 체결(’14.9월)- 구체적인 MOU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LG전자는 자사의 IoT 기술에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결합시킬 계획으로 알려짐o 스마트홈 서비스 홈챗(HomeChat) 국내 시장에 출시(’14.4월 말)- 홈챗(HomeChat)을 통해 라인, 카카오톡 등의 모바일 메신저로 가전 제품과 일상언어 채팅이 가능한 스마트홈 서비스 구현- 공개 초기에는 세탁기, 냉장고 등 기존 스마트 생활가전 중심으로 홈챗이 가능했으나 최근 로봇청소기, 스마트 조명 등으로 서비스 대상기기 확대o 최근 소비자의 가정 안전확보를 위한 홈 시큐리티 서비스도 선보임- 빈 집에서 로봇청소기가 집안을 모니터링하다 동작 감지시 사진을 촬영,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홈 가드(Home Guard) 서비스-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집안 상태를 동영상으로 확인, 동작까지 제어할 수 있는 홈뷰(Home View) 서비스o LG, 다양한 참여를 통해 스마트홈 부문 경쟁력 확보 노력 중- 퀄컴 주도 IoT 촉진연합인 올씬 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에 참여- MS 외에도 올 초 구글이 인수한 네스트랩(스마트 온도조절기 제조사) 등 다양한 기업과도 협력 중- 81 -□ LG전자·구글, 10년간 특허 공유 계약 체결(’14. 11)o LG전자와 구글이 사업·기술 영역에서 특허공유(크로스라이선스) 계약 체결- 양사는 기존 특허와 더불어 2023년까지 향후 10년간 출원하는 특허 공유※ 2006년 모바일 서비스를 골자로 한 전략적 제휴 체결에 이은 후속 결정o 금번 계약체결을 통해 양사 다양한 분야의 사업 활성화가 예상됨- LG전자는 안드로이드, 데이터 처리, 통신, 정보보안 등의 구글 특허를 자사 스마트폰, 태블릿PC,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사물인터넷(IoT) 등 사업 분야에서 활용할 것으로 예상- 구글, LG전자의 HW 제조 특허를 활용해 웨어러블 기기와 IoT 관련 제품 개발 및 모바일기기 시장에서 안드로이드 OS의 주도권 안정화 예상※ LG전자의 구글 넥서스4(’12), 넥서스5(’13) 등의 스마트폰 개발 경험 활용※ 구글, LG전자의 G워치에 웨어러블 OS 안드로이드 웨어 최초 탑재 경험o 양사 특허 공유 협력을 토대로 경쟁사 견제,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 제품 개발 효율성 향상 등을 기대<표 2-22> 특허 공유 계약에 따른 기대 효과 <표 2-22> 특허 공유 계약에 따른 기대 효과 기대 효과 내용⦁ MS·인텔·블랙베리·에릭슨·소니 등과 함께 록스타 컨소시엄을 경쟁사 견제만들어 안드로이드 진영 기업들을 상대로 소송 주도하는 애플 견제지식재산권 분쟁 대응 ⦁ 특허 분쟁 발생 억제를 통한 기술 유출 및 비용 등 출혈 방지제품 개발 효율성 향상 ⦁ 특허 공유 유연화를 통한 융‧복합 IoT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다. SKT□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적용한 IoT 전용망 구축o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솔루션을 활용해 IoT 트래픽 수용과 보안에 최적화된 가상화 센터를 보라매 사옥에 구축- 82 -- 물리적으로 구분된 특화 장비를 통해 IoT 전용망을 구축하는 대신, 범용 하드웨어에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IoT 트래픽을 분리 운영하는 방식을 적용- 일반 망과 분리되어 이동통신 고객이 사용하는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 품질·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NFV 솔루션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각각의 IoT 트래픽에 맞게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 원격검침처럼 주기적으로 소량 데이터 트래픽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부터고화질 CCTV 같이 사건 발생 시 순간적으로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까지 모두 가상화 센터를 통해 처리할 수 있음- 보안이 강화된 전용망을 통해 IoT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IoT기기의 정보를 외부 해킹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 보라매 사옥에 우선적으로 IoT 전용망을 구축한 뒤 기술 검증을 마친 이후 2015년부터 본격 확대에 나설 계획□ SK텔레콤은 에릭슨과 5G 시대의 선행기술인 ‘개인화셀(Elastic Cell)’의 시연을 세계최초로 성공(’14. 7)o ‘개인화셀’이 적용되면 단말 주변의 기지국들이 협력해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만큼 현재 단말이 기지국 경계를 넘어가며 발생 가능한 품질 약화 요인을 사전에 차단해 끊김 없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개인화셀은 단말이 정해진 하나의 기지국(Cell)과 통신을 수행하는 현재의 셀 중심(Cell-centric) 환경이 아닌 단말 근처에 위치한 복수의 기지국들이 뭉쳐 사용자 중심(User-centric)의 통신 환경을 제공해주는 신기술- 83 -[그림 2-30] 개인화셀 네트워크[그림 2-30] 개인화셀 네트워크o 양사는 이번 시연에서 기지국 경계지역에서 현재의 LTE 네트워크 대비 최대 50%의 전송률 향상 효과를 확인함- SK텔레콤은 ‘개인화셀’ 기술의 2016년 상용화를 위해 꾸준한 기술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o 개인화셀의 개발은 단말의 위치와 상관없이 개별 단말에 최적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한 걸음 다가간다는 것을 의미21)- 글로벌 5G 연구단체인 METIS 는 국내의 5G 산학연 합동 연구·개발 단체인 5G포럼 등에서 고민 중인 『어디에서나 1Gbps 전송속도 제공』이라는 목표를 이루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임□ SK텔레콤, 제조사와 사업 진행 가속화 o 본격적 스마트홈 사업 진출을 위해 11개 제조기업과 양해각서(MOU) 체결- 경동나비엔, GE Lighting 등 11개 참여기업, SK텔레콤 제시한 IoT 플랫폼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제품 개발o 현대리바트와 협력,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가구인 스마트퍼니처 브랜드 런칭, 국내 최초 상용화21) METIS: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Enablers for the Twenty-twenty Information Society- 84 -- 주방 가구 문이나 화장대 등에 터치스크린이 구현된 거울을 설치, 유무선 인터넷 망 활용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 일반 소비자 대상 10여종의 스마트 퍼니처 제품 출시 예정(’15년 2월) 및 매출 500억 원 달성 목표(’17년) 라. KT□ KT, 아시아 9개 통신사와 함께 사물인터넷 협력(’14. 10)o KT, NTT도코모 등 9개 회원사들과 IoT사업 양해각서(MOU) 체결22)- KT, '커넥서스(CONEXUS) ' 베트남 정기총회*에서 NTT 도코모 등 9개 회원사들과 공동 기술 연구·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사업 MOU 체결- MOU에는 KT를 포함해 NTT 도코모(일본), 스마트(필리핀), 스타허브(싱가포르), 허치슨(홍콩) 등 9개 회원사가 모두 참여* 2014 커넥서스 정기총회는 지난 6일~8일 간 베트남에서 진행되었으며 로밍, 미디어,콘텐츠 등 고객가치 증대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사업 협력 강화 방안 모색<표 2-23> 국가별 커넥서스 참여 통신사<표 2-23> 국가별 커넥서스 참여 통신사국가명 통신사한국 KT일본 NTT Docomo싱가포르 StarHub인도네시아 Indosat홍콩 Hutchison대만 Far East Tone필리핀 SMART태국 True Move베트남 Vietnam Telecom인도 MTNL/BSNL22) 커넥서스(CONEXUS) : 2006년 세워진 아시아 최대 모바일 사업자 협의체로 한국·일본·대만·홍콩을 비롯해 아시아 9개국의 9개 통신사가 참여중이며 회원사들의 무선통신 가입자는 2억8천만 여명- 85 -o KT, 커넥서스 정기총회 협약을 통해 아시아 지역 IoT 시장 진출 기대- 협약 목표는 회원사의 기술력 및 현지 네트워크 활용으로 향후 국가 간 경계를 뛰어넘어 아시아 지역에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금번 협약을 바탕으로 KT는 각 회원사 전문가로 구성된 'IoT 프로젝트 그룹'을 발족해 IoT 기술, 상품·서비스, 사업 모델 등 공동 개발할 예정- 향후 다양한 IoT 비즈니스 모델을 공동 개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며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IoT 시장 기술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KT, 서비스·콘텐츠 집중을 위해 스타트업·정보기술 전문업체와 협력 강화o IoT서비스·콘텐츠 강화를 목적으로 국내 ICT 스타트업과의 협력 추진o 한국의 차별화된 히든 챔피언인 ‘K 챔프’ 발굴 및 육성 예정- KT 중소기업 업무솔루션 ‘비즈메카’를 활용해 판교 테크노밸리에 위치한 1,000여 개 스타트업 기업 지원할 계획마. LGU+□ LGU+가 타 이동통신사 보다 먼저 홈네트워크 IoT기기 간 연결규격인 사물인터넷(IoT)용 무선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Z-웨이브’로 확정함(’14. 8)o ‘Z-웨이브’는 글로벌 160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하는 ‘Z-웨이브연합체’가 개발한 사물 간 통신규격으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기존 무선통신 기술과 표준 경쟁 중에 있음- Z-웨이브는 지그비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블루투스와 달리 ‘多:多’ 연결 가능- 또한, Z-웨이브연합체에 참여하는 LG전자, 보쉬, 하니웰, 버라이즌 등 글로벌 대기업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강점 존재o LGU+가 먼저 통신규격을 확정하면서 IoT시장 선점을 위한 통신업계의 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전망- 86 -- SK텔레콤은 이미 구축된 LTE망을 통해 LTE망 점유율을 그대로 활용하는 전략을 구사할 방침으로 알려졌으며, IoT관련 표준화단체 10곳에 모두 참여하며 상황 급변에 대비 중- KT는 향후 IoT 시장 성장에 따라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 수립o 이동통신 업계가 각자 다른 IoT 무선통신 규격 전략을 펴면서 IoT 시장에서 서로 다른 규격의 플랫폼 경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됨- OneM2M 표준은 아직 초기단계, 성공여부가 불확실해 당분간 각 규격 간 경쟁체제 예상됨- 소비자 입장에서는 통신사마다 다른 기기를 구입해야 하거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선택권이 제한될 것으로 우려됨□ LG유플러스, LTE 오픈 이노베이션센터 활용해 IT기업과 협력 강화 중o LTE 오픈 이노베이션센터, IoT 분야 이용 건수 4,000건에 이르는 등 150여개 중소업체와 상생협력 진행 중- LTE 오픈 이노베이션센터는 중소기업 및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자들에게 4세대(4G) LTE 시험망, 서버 및 계측장비 등 무선통신 테스트장비 이용 환경을 제공바. 기타 업체23)□ 디지털포렌식 전문업체 지엠디시스템은 지난 10일 구글글래스, 갤럭시워치, 스마트기어 등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포렌식 기술을 개발중에 있음o 지엠디시스템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관련 정보를 범죄수사에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일반화되었듯이, 스마트 가전도 곧 모든 범죄 수사에 동원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23) 디지털포렌식 : ‘컴퓨터 법의학’이라 불리며, 전자증거물을 사법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휴대폰, PDA, PC, 서버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디지털수사과정을 뜻함. 현재 대검찰청, 사이버경찰청, 국세청 등 주요 수사기관마다 포렌식센터(forensic center)가 개설되어 있음- 87 -- 사물인터넷 포렌식의 진화는 계속 늘어나는 범죄 등 각종 사회 위협 요소들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됨<표 2-24> 사물인터넷 포렌식 기술 활용 전망 예시<표 2-24> 사물인터넷 포렌식 기술 활용 전망 예시o 최근 시판되는 에어컨은 카메라가 달려 있어 사람의 기척이 발견되는 쪽으로 냉방하는 지능형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고, 로봇 청소기도 비슷함. 이 기기들의 카메라 기록을 활용하면 증거 발생 당시의 상황과 최대한 유사한 상태를 조사가 가능.o 스마트 TV와 냉장고의 로그기록을 분석하면 사용자가 언제 어떤 용도로 이들 기기를 사용했는지 확인할 수 있음. 스마트 TV와 냉장고 등이 메일을 보내고 식재료 주문 및 쇼핑 등을 위해 인터넷 조회를 하는 등 디지털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증거물들이 쌓이게 됨.o 웨어러블 기기는 더 많은 증거물들을 보유하고 있음. 구글글래스, 갤럭시워치 등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된 디지털 자료를 근거로 삼아, 웨어러블 기기를 매개체로 해 발생한 어떤 행위의 사실관계를 규명할 수 있음. □ 팬택, 스마트폰 사업 정상화와 함께 사물인터넷 시장진출을 추진o 신제품 출시에 대해 이동통신사업자와 지속적 협의 중에 있으며, 국내 사업의 빠른 정상화를 시도o 팬택은 차세대 먹거리로 사물인터넷 분야에도 발 빠르게 진출할 뿐 아니라 금융 등 이종산업과도 융합도 추진- 팬택은 23년간 축적해온 무선통신․전자 관련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지난해 사물지능통신(M2M)에 진출해 가시적인 성과 창출 중* M2M통신 칩셋 장착 IoT 모듈을 하반기 일본 시장에 공급하는 계약 추진 등- M2M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 이상의 고성장을 보이는 시장으로 팬택은 연구개발을 강화해 경쟁력을 높이고자 함- 88 -o 팬택, 기업회생을 위해 연구개발·고객관리 등 다양한 활동 추진- 웨어러블 기기 연구 강화 외에도 스마트폰 디자인·시스템 등을 금융고객에 최적화하는 등 이종산업과의 융합을 추진,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할 예정- 스마트폰 O/S 업그레이드 뿐 아니라 연구소 인력파견, 팬택만의 기능· UX(사용자 경험)로 구성된 ‘베가 기프트팩’ 배포 등 사후 서비스 지원도 지속해 나갈 방침□ 한국NFC, NFC기술을 활용해 카드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사용가능한 ‘NFC간편결제’ 서비스를 개발(’14. 9)o NFC간편결제는 스마트폰의 NFC기능과 후불식 교통카드 기능을 활용해 모바일 쇼핑 결제시 본인의 스마트폰 뒷면에 카드를 직접 접촉하면 결제가 완료되는 서비스임- 소비자 본인의 스마트폰과 카드를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해야 하는 2채널 인증방식으로 공인인증서나 별도의 인증방법 없이 편리하게 결제완료 가능- 기존 방식과 달리 카드정보와 개인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스마트폰의 분실 또는 해킹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하다는 장점 보유<표 2-25> NFC간편결제 서비스와 애플페이 비교<표 2-25> NFC간편결제 서비스와 애플페이 비교구분 NFC간편결제 애플페이필요 수단 사용자의 스마트폰(안드로이드) NFC 전용 POS 단말기◾ 카드정보·개인정보를 저장하지 장단점 및 않아 스마트폰 분실이나 해킹 ◾ 교통카드 기능 기대하기 어려움국내도입 위험으로부터 안전 ◾ 사진 등 각종 콘텐츠에 대한 페어전망 ◾ 금융당국의 보안성 심사 후, 30여개 링(무선 교환) 기능이 불가능함모바일 쇼핑몰부터 적용될 예정o 애플페이의 등장으로 모든 스마트폰에서 'NFC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토종 NFC 모바일결제 기술인 'NFC간편결제'의 관심도 커질 것으로 기대됨- 89 -o 모바일 결제시장에 국내 통신사·포털 등이 참여, 관련 시장에 관심 증가 추세- 카카오의 '카카오페이', LGU+의 '페이나우플러스', KG이니시스의 '케이페이' 등이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에 참여- 네이버가 해당 시장 진출을 위해 한국사이버결제를 인수하는 등 국내 모바일 결제시장에 관심 증가 중- 90 -제 4절 사물인터넷 표준화관련 동향1. 국내외 기업동향□ 사물인터넷 시장 확보를 위한 네트워크 선점 경쟁 심화 추세o 소비자들은 시장의 ‘대세’가 된 표준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글로벌 가전·IT 기업들은 네트워크 사용자 확보를 위한 IoT 표준전쟁 중※ 멧커프(Metcalfe)의 법칙: 美 네트워크 장비업체 3COM의 설립자 밥 멧커프가 주창한법칙으로 네트워크는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가 모이면서 부터 그 가치가 폭발적으로증가한다는 이론(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 IoT 시대에는 통신 규격 등 표준 확립이 매우 중요하며, 더 많은 업체들이 채택한 방식이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음- 이에 글로벌 업체 간의 경쟁은 물론 협력을 위한 표준 활동 및 합종연횡이 빈번히 이뤄질 전망- ‘대세 표준’ 확보시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더욱 많이 수집할 수 있어 마케팅 및 신기술 개발에서 유리한 고지 선점 가능- 과거 선례처럼 향후 IoT 표준전쟁에서 패배시 글로벌 기업도 쇠퇴할 수 있으므로 업체들의 눈치싸움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 과거 비디오테이프 표준 경쟁에서 베타맥스(소니)와 VHS(JVC) 경쟁에서 VHS 표준이승리, 신생업체인 JVC(현 파나소닉)가 시장 장악※ 삼성전자는 OIC 외에도 스레드그룹, 키비콘 등 다수의 표준단체에 참여하고 있음o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표준’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와이파이·블루투스 관련 표준으로는 불충분□ 사물인터넷 표준 선점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 간 이합집산 활발o 통신표준규격과 운영체제(OS)간 호환성이 없는 IoT 분야에서 독자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신시장 패권’ 장악 노력 치열- 91 -- 기술력 못지않게 덩치를 키워 표준을 선점하는 자가 승리할 가능성이 크다 보니 적과 동지의 구분조차 사라짐o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퀄컴, 인텔, 구글 등 글로벌 기업 주도로 AllSeen Alliance, OIC, Thread Group, QIVICON 각각 구성하여 활동- IoT에 최적화된 통신기술을 보유한 퀄컴 주도의 ‘올씬 얼라이언스(ASA, AllSeen Aliance)’에 LG전자, 소니 등 세계 70여개 기업이 가입, 활동 중* 오픈소스 플랫폼 올조인(Alljoyn)24) 활용, 제조사 등에 무관히 기기 간 연결 및 상호운용성 확보 노력 중- 삼성전자·인텔은 지난 7월 ‘OIC(Open Interconnect Consortium)’을 구성, ASA와의 대결구도 형성- 구글, 스마트홈 무선 표준 개발을 위해 지난 7월 자회사인 네스트랩스를 주축으로 ARM 등과 협력, ‘스레드 그룹(Thread Group)’ 구성- 유럽 업체들은 독일 도이치텔레콤 주도로 밀레·필립스 등 30여개 기업이 참여한 스마트홈 플랫폼 개발 연합체 ‘키비콘(QIVICON)’ 구성<표 2-26> IoT 표준단체 개요구분 웹사참여기관 추진목적 추진내용/ 출범일 이트ㆍ11개 프리미어 회원 ㆍ네트워크를 통한 기기 사, 54개 커뮤니티 회 간 정보전달 및 제어를 AllSeen ㆍ기술 또는 통신 프로 www.원사, 7개 후원회원사 위해 퀄컴이 개발한 오Alliance 토콜과 무관히 기기 allsee등 총 72개 기업 픈소스 기반 솔루션인 (퀄컴 주도) 가 스스로 주변 제품 nallia(퀄컴, LG전자, 파나소닉, '올조인(AllJoyn)' 프레/ 을 발견해 상호 작용 nce.orMS, 하이얼, 테크니컬러, 임워크 채택2013.12.11 할 수 있도록 지원 g샤프, 티피링크, 실리콘 ㆍ회원사 추가확보 및 이미지, 시스코 등) 공동개발 예정24) 올조인(AllJoyn): 어떤 제조사가 만든 가전제품이건 상관없이 집안의 모든 제품과 스마트폰을 결합한 사물인터넷 서비스(중계서버 없이 device와 device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또는 라이브러리)- 92 -구분 웹사참여기관 추진목적 추진내용/ 출범일 이트ㆍ운영체제와 서비스 공 ㆍ가정과 사무실에서 이급자가 달라도 기기 용 가능한 IoT 기기의 www.OICㆍ인텔, 삼성, 윈드리버, 간 정보관리 및 무선 첫 번째 오픈소스 공개 openi(인텔 주도)브로드컴, 델, 아트멜 등 공유가 가능하도록 ㆍ자동차와 의료기기 등 nterco/(회원사 수 미공개) 업계 표준 기술에 기 타 산업에 적용 가능 nnect.2014.07.08반을 둔 공통 운영체 한 오픈소스 개발· org계 규정 공개 예정ㆍ스마트홈을 위한 새로운 IP기반 무선 네트 ㆍ새로운 인터넷규약(IP)워킹 프로토콜 스레 을 기반으로 한 무선 Thread 드(Thread)를 개발해 통신망 프로토콜을 통ㆍ삼성, 네스트랩스(구 www.tGroup 일반 가정에 보급 해 상호호환 가능한 글), 실리콘랩스, 프리 hread(구글 주도) ※ 스마트홈: 가정에 있 사물인터넷 구현스케일, 예일시큐리 group./ 는 가전제품을 모두 ㆍ가정용 전자기기들이 티, ARM 등 org2014.07.16 자동화, 제어 가능하 서로 교신할 수 있을 게 해 쾌적한 삶 제 뿐만 아니라 저전력 및 공과 동시에 소비 에 뛰어난 보안성 확보너지 절약ㆍ스마트폰, 스마트패드QIVICON ㆍ도이치텔리콤, 독일 ㆍ글로벌 기업이 협력해 (태블릿PC) 등 모바일 (도이치텔 EnBW, EON, eQ-3, 보다 편리하고 보안성 www.단말로 가정 내 각종 레콤 주도) 로켓홈, 노바텍, 디지 이 높으면서도 에너지 qivico기기를 원격 조작하/ 털스트롬, 밀레, 삼성, 소비가 적은 스마트홈 n.com기 위한 서비스 플랫2011 오스람, 필립스 등 시스템을 구현폼 개발□ 사물인터넷 표준화를 위한 표준단체들의 활발한 활동o Qualcomm과 Linux Foundation은 Cisco, Microsoft, LG전자, HTC, Panasonic, AT&T 등이 참가하는 올신 얼라이언스라는 표준단체를 결성- Qualcomm이 처음 개발,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토콜인 Alljoyn은 AllSeen Alliance가 결성된 이후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으로, 디바이스를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 연결해 유지하는 전체 과정에 필요한 툴을 제공- 93 -- 올신 얼라이언스는 퀄컴의 IoT솔루션인 ‘올조인’을 무료로 제공받아 오픈소스 방식으로 공유- MS의 합류를 통해 10억 개의 윈도우 운영체제 기기를 기반으로 한 올조인이 사물인터넷 에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MS는 이미 가정 내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게임플랫폼에서의 탄탄한 입지와 소비자,기업, 교육, 자동차 분야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올씬 얼라이언스의 오픈소스 코드인올조인이 보다 광범위한 제품과 산업에서 조속히 도입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 소니가 IoT 표준연합인 올신 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에 프리미어 회원으로 가입함에 따라 소니가 보유하고 있는 TV, 태블릿,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올조인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음o Intel은 Atmel, Dell. Broadcom, 삼성전자, Wind River가 참여하는 OIC(Open Interconnect Consortium) 결성을 발표- OIC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해 운영체제와 서비스 공급자가 달라도 기기 간의 정보 관리, 무선 공유가 가능하도록 업계 표준기술에 기반을 둔 공통 운영체계를 규정할 계획o 2014년 7월, Google 주도의 사물인터넷 컨소시엄인 Thread Group에 삼성전자, ARM, Freescale, Silicon Labs 등이 참여- Thread는 Google이 인수한 Nest Labs가 주축이 되어 개발한 것으로, 와이파이, NFC, 블루투스, 지그비 등 다른 기술보다 더 안전하게, 그리고 저전력으로 가정용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통신규약을 의미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o 2014년 3월, Intel과 Cisco, AT&T, GE, IBM은 산업용 IoT에 목적을 둔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라는 단체를 결성한다고 발표, 이후 Microsoft가 합류- IIC는 모바일 기기, 각종 장비, 사람, 처리, 데이터 등을 하나로 연결하는 공통 아키텍처를 만들고, 정보처리에 대한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사항들을 점검하는 것이 목표- 94 -2. 사물인터넷 표준관련 국제기구 동향가. ITU□ ITU 사물인터넷 표준화 관련 논의(ITU-T SG13)25)o 2005년 ITU , 「Internet of Things(IoT)」 보고서 발간 이후 본격적인 IoT 관련 논의 진행26)- ITU-T 에서도 IoT에 대해 새로운 정의를 내렸고,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주요 스터디그룹(SG13, SG16 등)에서 핵심 권고안 개발을 진행중o 7월 ITU-T SG13 회의에서 현재까지의 IoT 표준화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효율적 표준화를 위한 논의 진행됨□ ITU-T SG13에서 논의된 사물인터넷 표준화의 주요 성과 및 주요 권고안o ITU-T SG13의 차세대 네트워크 진화 측면 담당 그룹 및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킹 사물인터넷 기술 활용 측면 담당 그룹들에서 다음 권고안의 개발을 마무리함o 또한, 현재 IoT 및 이와 연계된 빅데이터, 시맨틱 기술 및 특정 응용 등의 요구사항을 다루는 여러 건의 권고 초안 개발 중에 있음25)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국제전기통신연합 : UN 산하의 ICT 전문 국제기구로 국제 주파수·위성궤도 관리, 기술표준 개발 등을 통해 정보통신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 및 전 세계 ICT의 확산을 주도26) ITU-T(전기총신표준화총국) : 전기통신 표준화작업을 위해 기술, 운영 및 요금문제 등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권고 채택, 전기통신 설비·서비스의 개선과 합리적 이용, 범세계적인 전기 통신 표준화 촉진- 95 -<표 2-27> ITU-T SG13에서 개발 완료한 사물 인터넷 권고안 현황<표 2-27> ITU-T SG13에서 개발 완료한 사물 인터넷 권고안 현황권고제목 주요 내용 출판번호Y.2 사물인터넷의 개념, 기능 특징 및 상위 2012Overview of the Internet of things060 레벨 요구사항과 참조모델을 기술 /06Requirements for the support of 머신중심통신(MOC) 에코시스템, 특징 Y.2 machine-oriented communication 2012및 요구사항을 기술하고 이를 지원하기 061 applications in the next generation /06위한 NGN 능력에 대한 요구사항 명세network environmentFramework of abject-to-object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비쿼터스 Y.2 communication for ubiquitous 2012네트워킹을 위한 사물간 통신 지원을 062 networking in next generation /03위한 구조, 요구사항 및 메커니즘 기술networksY.2 사물 웹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지원하기 2012Framework of the web of things063 위한 요구사항, 적용모델, 기능구조 제시 /07Y.2 Energy saving using smart objects 홈 환경에서 스마트객체를 이용한 에너 2014064 in home networks 지 절감을 위한 요구사항 및 기능 명세 /01e-health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서비Y.2 Service and capability requirements 2014스를 제시하고 서비스 및 능력 요구사065 for e-health monitoring services /03항 명세Y.2 Common requirements of Internet IoT use case와 액터를 제시하고, 이를 2014066 of Things 지원하기 위한 공통 요구사항 명세 /06Common requirements of Y.2 IoT 응용 지원을 위한 게이트웨이의 공 2014capabilities of a gateway for 067 통 요구사항 및 능력 제시 /06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Y.2 Terms and definitions for the 2012사물인터넷과 관련된 기술 용어 및 정의069 Internet of Things /07- 96 -<표 2-28> ITU-T SG13에서 개발 중인 사물인터넷 관련 권고초안 현황<표 2-28> ITU-T SG13에서 개발 중인 사물인터넷 관련 권고초안 현황완료권고초안 제목 주요 내용예정Y.IoT-netw IoT 기술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2015/Network requirements of the IoTork-reqts 측명 요구사항 명세 11Specific requirements and Y.IoT-BigD 빅데이터 기술을 고려한 IoT의 2016/capabilities of the IoT for Big ata-reqts 상세 요구사항 및 능력 명세 미정DataRequirements for IoT devices 재난 관련 IoT응용 지원을 위한 Y.IoT-DD-R 2014/and for operation of IoT IoT 디바이스 및 운용 요구사항 eqts 11application during disaster 명세Y.IoT-sema Semantic related requirements IoT 지원을 위한 시맨틱 기술 관 2015/ntic-reqts-f and framework of the Internet 련 요구사항 명세 11ramework of ThingsY.IoT-app- 2015/IoT application support model IoT 응용 지원 모델model 7Y.IoT-funct IoT functional framework and IoT 지원을 위한 상세 기능 프레 2014/-framework capabilities 임워크 및 능력 명세 11Y.gw-IoT-a Functional architecture of IoT 응용 지원을 위한 게이트웨 2015/rch gateway for IoT application 이 기능 구조 제시 04사물통신과 소셜 네트워킹을 결Y.social-de Framework of the social device 2015/합한 소셜 디바이스 네트워킹을 vice networking 11위한 요구사항·기능 명세Sevice Framework of Web of 에너지 효울 관리를 위한 Web Y.sfem-Wo 2015/Objects for Energy Efficiency of Object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 O 04Management 프레임워크 제시- 97 -□ ITU-T SG13 회의에서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신규 이슈 및 논의 결과o 2014년 7월 ITU-T SG13 회의에서 신규 표준화 이슈로 제약환경 네트워킹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신규 권고 개발이 요청됨- 제약환경 네트워킹 : Q11/13에 자원 제약적인 IoT 노드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구조 및 메커니즘 등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ETRI에서 신규 권고안 작업을 제안하였으며, 권고초안(Y.IoT-cnn)을 신규로 개발하기로 함- 웨어러블 디바이스 : Q2/13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다양한 신규 응용을 지원하기 위한 상위 레벨 요구사항 문서 개발을 중국에 제안하였으며, 차기 회의에서 더 상세한 논의를 진행하기로 함o ITU-T SG13 내의 그룹 간 상충되는 이슈가 발생되지 않도록 전략적인 표준화 활동 및 관련 그룹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효율적인 표준화가 요구됨□ ITU-T, 웹기반 공격 대응 기술 국제표준 채택o 정보통신표준화총국(ITU-T), SG 17 회의를 통해 웹 공격 대응 기술을 최종 국제표준으로 채택- 한국의 제안으로 웹기반 공격에 대한 기능 요구사항, 대응기술을 국제표준으로 개발 추진하여, 국가 간(미국, 일본 등) 찬성으로 채택27)- 스마트폰 분실 대응기술(일명 킬 스위치 보안 구조), 한국 정보보호 준비도, 통신조직을 위한 개인정보관리 통제 및 구현 가이드라인 등의 제안도 신규 표준화 아이템으로 채택27) 킬 스위치(Kill Switch) : 분실 스마트폰이 네트워크에 접속시 원 소유자가 원격으로 기기를 제어, 기기 내 정보를 삭제하거나 사용 불능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기술- 98 -<표 2-29> 웹기반 공격대응 기술 주요이슈<표 2-29> 웹기반 공격대응 기술 주요이슈이 슈 내 용28)ㆍ세계적으로 드라이브-바이 다운로드(drive-by-download) 공격1. 웹기반 공격 대응 이 기승을 부리는 점을 고려하면, 이 국제표준은 선진국은 물론 관련 권고 채택개도국에서 웹 기반 대응 기술로 많은 활용 기대2.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ㆍ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다중-요소 인증 메커니즘을 다중-요소(multi-factor) 개발하고, 이를 위한 보안요구사항, 서비스 모델 및 프로토콜을 인증 메커니즘(X.1158) 정의하는 데 그 목적의 사전채택(consent) ㆍ이 표준의 완성도를 고려해 사전채택(consent)으로 추진하기로 합의ㆍ미래부 킬 스위치 관련 규제의 요구사항을 기술적으로 반영하기 3. 스마트폰 분실 대응 위해 제안신규 표준화 워크 ㆍ미국, 영국 등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 표준의 중요성을 인정, 이 아이템 채택 신규 표준화 아이템 채택으로 인해 소비자의 권익이 크게 개선되고 미래부의 정책 추진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4. 통신조직을 위한 개ㆍ이 표준은 기존 공통표준에 존재하지 않으나 통신조직에 적용할 인정보관리체계 부수 있는 추가적인 통제와 구현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강조해 속서(Supplement) 합의신규 아이템 채택ㆍ보안 영역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매우 어렵다는 주장이 있었으5. 우리나라 정보보호 나, X.805 보안 영역을 기반으로 한 기술적 구현 가이드라인으준비도 관련 신규 로 합의하고 신규 표준화 항목으로 채택표준화 아이템 채택 ㆍ이번 채택으로 미래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보보호 준비도의 국제표준 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나. One M2M□ One M2M은 M2M/IoT 분야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서비스플랫폼 표준 마련을 위해 2012년 7월 세계 지역별 대표 표준화기관이 공통으로 설립한 국제 표준화 협력기구28) 드라이브-바이 다운로드(drive-by-download) : 사용자 모르게 다운로드 되어 실행되는 악성 프로그램. 웹브라우저의 소프트웨어 버그를 악용하여 악성 코드를 실행하고 브라우저 충돌을 일으키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공격자가 원하는 작업을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도록 만드는 시스템 코드- 99 -o (주요업무) 공통 M2M 서비스플랫폼 표준 개발을 위한 사용예(Use case) 및 요구사항, 단대단(End-to-End) M2M 아키텍쳐 및 서비스플랫폼(계층) 표준, M2M 단말·모듈 측면의 공통 사용 예 및 인터페이스, API(Application Defined Interface) 등o (협력분야) 원격 건강관리(e-Health),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텔레매틱스(Telematics),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등o 지역별 표준화기구, 민간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2014년 8월 기준 총 220개로 우리나라 표준화 기구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참여하고 있음- (지역별 대표 표준화기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유럽통신표준화기구(ETSI), 미국통신산업협회(TIA), 미국통신정보표준협회(ATIS), 일본전파산업협회(ARIB), 일본전신전화기술위원회(TTC), 중국통신표준협회(CCSA)- (민간기업) AT&T, 에릭슨, 시스코, 인텔, 퀄컴, SKT, KT, LGU+, 삼성전자, LG전자 등□ 사물인터넷 글로벌표준 「One M2M 릴리즈 1.0」 승인(’14. 8)o One M2M 제 12차 기술총회에서 전 세계 및 다양한 산업직군에 상호호환성을 보장하는 서비스플랫폼 표준인 ‘oneM2M 릴리즈 1.0’ 표준(코드명 어버진, Aubergine)이 승인됨- 릴리즈 1.0 표준은 M2M/IoT 관련 다양한 산업직군 간 연관 요구사항, 아키텍쳐, 프로토콜, 보안기술, 단말관리 및 시맨틱 추상화 기술에 관련된 9개 기술규격을 패키지화해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표준 집합으로 구성o oneM2M 릴리즈 1.0 표준 승인으로 국내 M2M/IoT 표준 보급 활성화 예상- 승인된 릴리즈 1.0 표준은 다양한 분야에 공통사용이 가능해 시장파급효과가 크다며 기존 협약에 따라 적절한 절차를 거쳐 국내 TTA 표준 제정으로 산학연에 보급을 진행- 국내 표준화 대응 조직 TTA oneM2M 표준화위원회 의장(김기영 수석연구원, LG전자)은 이번 승인된 표준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플랫폼들 간 데이터 상호호환성을 실증 및 시연하는 행사인 ‘oneM2M 쇼케이스’를 12월에 개최o oneM2M 표준화에는 AT&T, 스프린튼, 화웨이, 퀄컴, 인텔 등 220여개 회원사가 참여, - 100 -M2M/IoT 단일분야 표준화 기구로는 세계 최대 규모- 국내 참여사는 SKT, KT, LGU+, 삼성전자,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부품연구원(KETI),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한국무선인터넷솔루션협회(KWISA), 모다정보통신, 엔텔스, 가온미디어, 이루온 등다. ISO/IEC JTC 129)□ ISO/IEC JTC 1/WG 7 국제표준화 회의(사물인터넷 공적표준화 )o 2014년 9월 센서네트워크와 사물인터넷(IoT) 공적표준화(De-jure Standard)를 다루는 ‘ISO/IEC JTC 1/WG 7 제10차 국제표준화 회의’가 개최됨-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국제표준화 공동기술위원회(JTC 1)는 IoT 표준 워킹그룹(WG 7)을 조직, 관련 사업을 진행함- 본 회의에서 IoT 참조모델과 구조를 위한 공적표준화 작업이 시작되며 국제표준화가 탄력을 받을 전망o 국내에서는 KETI가 플랫폼 ‘모비우스’ 등 바탕으로 공적 표준화 주도 중- 모다정보통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부품연구원(KETI)에서 개발해온 IoT 플랫폼(모비우스) 기술로 공적표준화를 주도o IoT 국제표준은 2008년부터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를 중심으로 만들어져 왔으며, 30)oneM2M이 출범(’12.7월)하면서 IoT서비스플랫폼 디팩터표준 (De-factor)을 주도하여 ‘oneM2M 릴리즈 1.0’ 승인이 완료됨(‘14.8월)29) 공적표준화 : 국가 차원의 표준화 기관이 제정하는 표준으로 개발 속도는 느리지만 내용이 명확하고 개방적이며 공통으로 쓸 수 있는 국제 표준30) 디팩터표준 : 사실상의 표준, 사적표준이지만 시장 영향력이 큰 표준- 101 -<표 2-30> 공적표준화와 디팩터표준 차이<표 2-30> 공적표준화와 디팩터표준 차이구분 공적표준화 디팩터표준◾ 국가 차원의 표준화 기관이 제정하◾ 업계 전반에 걸쳐 사실상 표준으로 설명 는 표준으로 일부 선진국의 자국 인식되는 기술기술 보호에 대비해 반드시 필요◾ 명확하고 개방적장점 ◾ 보급 속도가 빠름◾ 모든 나라에서 공통으로 사용가능단점 ◾ 개발 속도가 느림 ◾ 미국 등 일부 국가의 기업체 중심3. 국내 동향□ 삼성전자는 글로벌 주요 IT 기업들과 협력하는 오픈 인터커넥트 컨소시엄(OIC; Open Interconnect Consortium)을 구성(’14. 7)o OIC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아트멜, 브로드컴, 델, 인텔, 윈드리버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가전부터 자동차까지 광범위한 산업 분야의 각 선도 업체들도 OIC에 참여할 예정- 참여기업 확대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 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됨o OIC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해 운영체제와 서비스 공급자가 달라도 기기 간 정보관리와 무선 공유가 가능하도록 업계 표준 기술에 기반을 둔 공통 운영체계를 규정할 계획- OIC는 가정과 사무실에서 이용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첫 번째 오픈소스를 공개하며, 자동차와 의료기기 등 다른 산업에 적용될 오픈소스도 준비 중에 있음- 삼성전자와 인텔 등 OIC 참여 업체들은 사물인터넷의 발전에 필요한 기기 간 통신 규격과 오픈소스, 인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다양한 기술 자원을 투입할 방침o 삼성전자는 사물인터넷 시대는 제조사와 상관없이 모든 가전, 산업용 기기가 손쉽게 연결되고 상호 소통이 중요하다고 판단함- 따라서, 배경이나 전문 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산업분야의 선도업체들과 사물인터넷을 위한 공동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준비함- 102 -□ 삼성전자가 구글이 주도하는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컨소시엄인 스레드그룹에 참여(’14. 7)o 스레드그룹은 가정 자동화 전문회사 네스트랩스의 기술제품 마케팅 매니저인 크리스 보로스를 대표로 금번 신설된 컨소시엄- 구글이 네스트랩스를 최근 32억 달러(약 3조 4천억 원)에 인수했기 때문에 이 컨소시엄은 사실상 구글이 주도하는 것으로 해석※ 구글의 부사장이자 수석인터넷전도사인 빈트 서프도 이 컨소시엄의 조언자로 참여o 스레드그룹은 새로운 인터넷규약(IP)을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망 프로토콜을 통해 상호호환이 가능한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 설립- 이를 이용하면 여러 가정용 전자기기들이 서로 교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력으로 더 뛰어난 보안성을 갖출 수 있음o 이번 컨소시엄은 반도체 기술이 중점을 이루고 있고 프리스케일과 ARM 등 반도체 제조사들이 동참한다는 점에서 반도체 기술력이 뛰어난 삼성전자의 입지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관측- 한편, 삼성전자가 최근 사물인터넷에 역량을 집중하는 것은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성장 정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 관측- 삼성전자는 스마트기기뿐 아니라 반도체, TV, 냉장고, 에어컨 등 생활 가전제품에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사물인터넷 분야를 주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고, '삼성 스마트홈' 등 현재 실현 가능한 수준의 사물인터넷 기반도 마련해 둔 상태□ 세계 최초 글로벌 표준 적용 개방형 IoT 플랫폼 국내 개발(’14. 12)o 세계 최초 oneM2M 표준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 개발 완료- SK텔레콤‧전자부품연구원‧엔텔스 등이 공동으로 개방형 IoT 플랫폼 모비우스- 103 -(Mobius)를 국책과제로 개발- oneM2M의 IoT‧M2M 표준 후보(Release 1)를 적용하여 상용 수준의 플랫폼 개발 완료o 개방형 플랫폼 모비우스를 통해 향후 IoT 산업의 획기적인 발전 기대- B2B 영역의 M2M 단말뿐 아니라 웨어러블이나 스마트 앱세서리 등 B2C 영역의 다양한 IoT 기기 지원 및 개방형 플랫폼- IoT 기기의 폭발적 증가에도 플랫폼 등록 기기들 중 필요한 대상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검색기능 및 검색 결과에 따라 기기에 맞는 앱 다운로드 가능한 앱스토어 기능까지 제공 예정- 글로벌 표준 기반의 모비우스 상용화시 중소기업‧창업벤처 등 누구나 모비우스를 통해 IoT 서비스‧제품 개발·제공 가능하므로 산업 생태계 확대 및 글로벌 진출 가속화 등 향후 IoT 산업의 획기적 발전 기대o 프랑스 ‘oneM2M 쇼케이스 및 워크숍(12.9~11)’에서 글로벌 표준 기반 IoT 플랫폼 간 연동을 성공적으로 시연- 한국 주도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모비우스’, 독일 ‘프라운호퍼’, 미국 ‘콘비다와이어리스’ 플랫폼 간 연동 시연을 통해 IoT 기술 개발 및 국제표준 제정에서 선도자 지위 확보- 104 -제5절 사물인터넷 보안관련 동향1. 사물인터넷 보안 취약성 대두□ 사물인터넷 기기가 확산되고 개인정보 유통됨에 따라 공공 안전과 개인 프라이버시가 위협받고 있음o IoT 시대에는 개인정보 유통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는 물론 자동차, 의료 등 많은 분야에서의 취약한 보안이 생명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음- IoT 활성화 관련 가장 큰 이슈는 수많은 다양한 데이터의 이동에 따른 보안과 관련한 문제임- 특히, 해킹 대상이 전 생활과 산업 영역으로 넓어져, 제조공장, 전력망, 자동차, 의료기기, 가전제품까지 광범위한 영역이 악의적인 해커들의 목표물이 될 가능성이 증대o 최근에는 IoT 도입과 관련하여 보안을 위협하는 사례가 언론에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음- 산업연구원은 국내 융합보안 위협이 국내 GDP의 1%에 달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국내 융합보안 피해액이 2015년 13.4조원, 2020년 17.7조원, 2030년 26.7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표 2-31> 최근 보안 위협 사례사례 개요인슐린 2012년 블랙햇 보안 컨퍼런스에서 해커가 800미터 밖에서 인슐린 펌프를 조작펌프 조작 하여 치명적인 복용량을 주입할 수 있음을 증명보안카메라 업체인 Trendnet의 유아용 CCTV의 경우, 자체 소프트웨어의 결함보안 카메라 으로 인터넷 주소만 알면 누구라도 쉽게 영상과 음성을 도․감청할 수 있으며, 실제 약 700개의 CCTV에서 촬영 중인 실시간 영상링크가 유포2013년 8월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스마트TV에 탑재된 카메라를 해킹해 스마트TV 사생활 영상을 유출하는 시연이 열려, 인터넷에 연결된 가정기기의 보안 취약성을 노출- 105 -사례 개요2014년 1월, 미국 보안업체 Proofpoint는 스마트TV와 냉장고, 홈네트워크 라우좀비가전 터를 해킹해 좀비가전을 만든 뒤 악성 이메일을 75만 건 발송한 사이버공격 사례를 공개스페인 출신 해커 팀이 차량네트워크에 침투할 수 있는 조립 회로보드(20달러)차량 를 공개, 이를 통해 자동차업체가 컴퓨터시스템 검사를 위해 엔진내부에 설치네트워크 한 차량용 제어구역네트워크(CAN)에 접근하여 브레이크 조작, 방향 설정, 경보장치 해제 등이 가능한 수준2014년 3월, 보안컨설팅 업체인 Team Cymru는 D-Link, Tenda, Micronet, TP-Link 등이 제조한 약 30만 개의 공유기를 해커들이 해킹했다고 경고한 바 공유기있으며, 이보다 앞선 2월에 이미 폴란드에서 온라인 뱅킹 고객들을 상대로 한 공격에 해킹된 공유기가 동원보안업체 IOActive Labs가 Sensys Networks의 도로차량 감지기술을 조사한 결과, 광범위한 설계 및 보안 결함을 발견하였는데, 특히 도로 내 센서는 데이터 도로교통 수집을 위해 사용되는 AP(Access Point)와의 통신에 보안 기능을 적용하지 않감지기술아, 이를 통해 공격자는 센서를 가장해 교통관리시스템에 위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신호등 같은 주요 인프라 통제가 가능미 국토안보부의 ICS-CERT는 최근에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나 방화벽 또는 산업용 인증접속제어로 보호되지 않은 채, 기계 장비를 운용하는 산업용 제어시스템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에 대해 경고자료: 각 언론매체 발췌, 재정리□ 글로벌 기업들의 사물인터넷 시장 공략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보안솔루션 대책은 여전히 미비한 것으로 나타남o 보안전문 업체 사이낵은 구글의 ‘드롭캠’에서 하트블리드 버그를 비롯한 여러 가지 보안 취약점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활용해 공격자가 사용자의 영상을 볼 수 있고 영상송출을 조작할 수도 있음31)- 하트블리드 버그는 전 세계 웹사이트 가운데 3분의 2정도가 사용하는 오픈 SSL에서 발견된 치명적 결함을 의미하며, 메모리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아이디,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 및 서버 비밀키 등이 유출될 수 있음31) SSL(open Secure Socket Layer) : 인터넷상에서 문자, 문서 등을 송수신할 때 이를 암호화해주는 기술- 106 -- HP의 보안 연구팀은 TV, 웹캠, 가정 온도계, 출입문 자물쇠 등 현재 널리 쓰이는 사물인터넷 기기를 10개를 조사한 결과, 6개에서 교차사이트 스크립팅, 부실한 인증데이터 등의 250여 가지 보안 취약점을 발견함o 삼성․LG등 국내 기업들이 스마트 홈을 시작으로 사물인터넷 관련 투자를 가속화 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보안 솔루션이 없음- 현재 국내 업계에서 시장하는 사물인터넷 관련 보안 시스템은 아주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개발 단계별로 유기적인 보안 솔루션 고민이 필요□ ISACA, 소비자·기업의 IoT 관련 개인정보 취약점 인식 조사(’14. 11)o 정보시스템감사통제협회(ISACA)는 2014 IT Risk/Reward Barometer 결과를 발표함o IoT관련 사업 성장과 함께 개인정보 유출·보안 문제 발생 가능성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 기업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취약점 인식에 대해 설문을 실시- 110개국 1,646명의 ISACA회원 및 호주·인도·영국·미국 4,000명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o (소비자) IoT 증가에 따른 위험에 대해 관심 대비 인지 부족- IoT을 위험(30%)보다는 이익 요인(46%)으로 인지하며, IoT 장비의 정보수집,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담당 등 세부요인 인지 부재- 미국 소비자 응답 중 ▲ 암호 변경 응답비율 50%이하 ▲ 개인정보 유출된 기업(상점)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25%, 쇼핑습관에 대해 전혀 바꾸지 않는다는 응답이 75%로 위험에 대한 인지와 행동의 괴리 보임o (기업‧전문가) IoT 증가에 따르는 위험 요인 인지 중- 기업은 IoT 증가를 이익(31%)보다는 위협 요인(35%)으로 인지- 전문가, IoT에 따른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 예측 및 부정적인 인식 보유(69%) 중으로 나타났으나 IoT관련 보안계획 설정(28%) 및 1년 이내 IoT 보안정책 수립 예정(15%) 응답비율은 낮아 대책은 미비한 것으로 평가- 107 -o 증가하는 IoT 보안 위협에 대한 맞춤형 선제적 보안정책‧기술개발 필수- 소비자들은 ▲강력하고 고유한 암호설정 ▲최신 보안 SW를 활용한 장비 보안 ▲온라인 송금활동은 패드락(Padlock) 걸린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는 등 IoT보안에 대한 개별적 유의 노력 및 맞춤 교육 필요- 기업은 네트워크에 항상 접속되어 있는 기기로 인해 새로운 공격유형이 발생하므로 지속적인 정보보안 및 위험관리 필요□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 수의 증가로 인해 접속기회가 확장, 해킹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증대하는 등 새로운 보안위협 대두o 보안카메라 전문업체 트렌드넷, 자사 유아용 CCTV의 보안 취약성 문제로 ’13년 미 연방통상위원회(FTC)로부터 제재 받음- 해당 제품에 SW결함이 존재해 인터넷 주소만 알면 누구든 보안을 우회해 온라인으로 영상 및 음성 도·감청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짐- 해당 CCTV는 악성코드에 감염되거나 해킹을 당한 것이 아니고, 누구나 쉽게 장치에 접근 가능한 취약점이 존재했다는 것o ’13년 10월, 인터넷 기반 장치 검색 엔진인 ‘쇼단(Shodan)’ 등장- 쇼단을 사용해 난방 제어시스템, 자동차, 신호등, 심장 모니터, 발전소 제어장치 등 다양한 디바이스 탐지 가능- 해커가 디바이스의 취약점을 악용해서 공격할 의도가 있는 경우 쇼단이 디바이스 탐지 작업을 수월하게 해 줄 수 있다는 이슈 존재□ IoT 보안 피해는 기존 정보보안 피해보다 범위가 넓고 피해규모 대폭 증가 예상o IoT 보안 수준 초기 단계에 머물러 공격 무방비 노출- 인터넷이 탑재된 사물의 보안은 기존 PC환경에 맞춰 설계된 다른 많은 보안 플랫폼과 불일치- 108 -- IoT 단말기기, 패스워드 정도의 낮은 보안수준만 적용되어 해킹에 취약o 직접적·금전적 피해 외에도 국가 신용도 하락 및 개인정보유출로 인한 2차 피해 등 피해규모는 예상을 상회할 것으로 추측- 국내 IoT 보안 피해*, 13조 4000억 원(’15년), 17조 7000억 원(’20년), 26조 7000억 원(’30년)으로 예상 ※ GDP규모 및 인터넷 보급률을 기초로 추정(CSIS-McAfee, The economic impact ofcybercrime and cyber espionage, 2013)o 스마트카 해킹을 통한 도난‧범죄 등 물리적 사건 발생 사례-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보안연구실‧보안업체 에스이웍스, 스마트폰으로 국내 자동차 3종에 대한 해킹 시연- 美 캘리포니아 주에서 스마트키 해킹을 통한 차량 절도사건 발생(’13년)o 스마트그리드 해킹시 대규모 정전사태 등 국가적 위험 사건 발생 가능- 블랙햇 보안 컨퍼런스에서 보안 업체 ‘아이오액티브’ 해커가 스마트 그리드로 연결된 전기 계량기에 침투, 바이러스 전파로 전기 공급 단절 및 과부하를 통해 도시 전체 정전 유발 가능함을 시연(’09년)□ 스마트홈 컴퓨팅 능력, NW 연결 등으로 다양한 보안위협 및 취약성 존재o 사물인터넷은 많은 요소기술의 통합 및 다양한 주체로 인해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책임 부재, 통합보안 문제 등 보안취약성 발생 가능- 데이터 수집·전송·저장 단계 外 가공·활용 단계에서도 기술적 조치 중요o 스마트홈 보안 위협과 취약 사례 1 : 통신 비인가 열람 및 위변조 - 스마트 TV와 웹 서버간 SSL 통신 시 침입자가 스마트 TV와 웹 서버 간 중간자 공32)격 을 시도하여 전송 데이터에 접근해 열람·변조 가능32) 중간자 공격(MITM, Man-In-The-Middle attack) : 악의적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침입하여 데이터스트림을 도청·수정하거나 거짓 생성하는 컴퓨터 보안 침입으로,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었다고 인식하는 쌍방은 사실상 중간자를 거쳐 연결된 구도 형성- 109 -o 스마트홈 보안 위협과 취약 사례 2 : 사용자의 사생활 노출 및 악용- 악성코드가 포함된 동영상 파일을 통해 스마트 TV 등 카메라 내장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사생활 노출, 스마트 가전에 침입해 저장된 메일 주소 또는 임의 메일 주소로 스팸메일 발송 우려<표 2-32> 스마트홈 보안 위협과 제품별 특징<표 2-32> 스마트홈 보안 위협과 제품별 특징종류 특 징 보안 위협▪인터넷 연결 상에서 편의 기능 제공▪해킹 시 공격자는 PC 환경에서의 거의 모 예)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TV 전용 애스마트 든 악용 행위가 가능플리케이션, 홈쇼핑, 웹서핑 등TV 예) 금융정보 탈취, 스미싱▪리눅스 등 일반 OS 기반에서 작동▪카메라/마이크 내장 시 사생활 침해 가능▪PC 환경의 보안 위협을 내재▪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 자가 학습 및 개선 ▪알려진 OS 및 인터넷에 따른 해킹 위협된 청소 기능 구현 ▪해킹 시 공격자는 로봇청소기에 내장된 카로봇▪일반적으로 임베디드 리눅스 사용 메라를 통해 사용자 집 감시 가능청소기▪카메라를 통한 장애를 인지․처리 ▪공격자는 로봇청소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인터넷 기능 내장으로, 해킹 위험 내재 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생활 침해▪기존 전화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국내․외 통화 가능인터넷 ▪유`무선 NW 디바이스 장착으로 항상 인터 ▪해킹 시 치명적인 사생활 침해전화기 넷 연결 ▪회사에서 사용 시 자산 노출 위험▪임베디드 환경과 유사하므로, 해킹 위험 존재▪해킹 시 공격자는 사진․동영상을 자신의 ▪인터넷 전화기와 결합되는 경우가 많음서버․이메일로 전송 가능▪어느 곳이든 사용자 집을 볼 수 있음가정용 ▪일반적으로 잘 보이는 곳에 설치되므로, ▪인터넷 디바이스 내장으로, 카메라를 통한 CCTV 사생활 침해 우려사진/동영상 전송 SW가 구현됨▪원격제어가 가능하므로, 공격자는 고정된 ▪해커가 공격할 수 있는 attack point 존재곳 외에 여러 곳을 훔쳐볼 수 있음 자료: 임베디드 시스템 및 스마트가전 보안 동향 분석 결과, 2013 - 110 -2. 사물인터넷 보안 관련 이슈 및 시사점□ 보안관련 기업 및 IoT 보안 취약 대비책o IoT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암호화 시스템 활성화 중- IoT 환경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힘든 암호화 작업을 현재는 보33)안칩셋 을 통해 하드웨어에서 처리<표 2-33> IoT 보안관련 기업회쇼단(Shodan) 부펜(Vupen) 리번(ReVuln)사유검색엔진 제공 보안 보안형회사 ▪보안 취약점을 연구하는 프 ▪부펜보다 공격적인 비즈▪IoT 기기‧서비스 검색 엔진설 랑스의 보안 솔루션 업체 니스 하는 미국 보안업체명▪서버, 웹캠, CCTV, 프린터, ▪쇼단 활용 외부에 노출돼있등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보 ▪쇼단을 활용, 상용화된 는 산업설비 제어 소프트웨것들의 백도어를 찾아내는 유 많은 IoT 산업 솔루션의 어 (SCADA, Supervisory 검색엔진기 보안 취약점 파악 및 결 Control And Data ▪인터넷에 새롭게 연결되는 술 과 판매 Acquisition) 약점 파악 후, 기기‧서비스에 대한 정보원격 침투를 매달 5억 개 이상 수집▪사법기관‧침입 탐지 테스터‧보안전문가‧학계 연구고 원 등이 주 고객객 ▪계정 미보유‧보유 이용자 ▪민간고객‧정부기관에 판매이 에게 검색 결과 각각 10 ▪가입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유료 고객에 한하여 보안 용 개‧50개 제공 선별된 고객들, 부펜 제공 취약점에 대한 정보 제공권 ▪쇼단 창업자에게 검색 결 정보 독점적 획득 가능한 과획득 목적에 대한 보고서 제출 후, 쇼단의 모든 정보 제공 33) 보안칩셋: 암호화 알고리즘을 구동하는 칩셋으로, 현재 시스템을 관장하는 임베디드칩과 보안칩셋을 일원화 한 제품들도 출시 중- 111 -회쇼단(Shodan) 부펜(Vupen) 리번(ReVuln)사▪웹캠, 넷캠, CCTV 등 검기 색을 통해 사생활침해범▪보안 취약점 파악 시, 민간‧정부기관의 산업 솔루션 프술 죄의 도구로 악용 가능로그램 접근 및 악용 가능파 ▪핵발전소, 입자가속기의 ▪보안 취약점, 관련 법‧규제 부재로 인해 판매‧공표‧개인급 명령·제어 시스템 위치 보관 등 판매자의 처리 가능력 파악 등 국가 안보와 직결된 문제 보유o IoT 시스템 맞춤형 융합보안 체계화 필요- 정보‧물리적 보안의 융합 또는 보안기술이 IT융합산업에 적용되어 창출되는 ‘융합보안’ 활성화 및 이를 위한 정보보안 관련 조직 관리·감독 체계 일원화 필요- 현재, 국가적인 중요 사이버사고가 발생하면 국가정보원, 국방부, 미래부 등 범정부 차원에서 ‘민‧관‧군 합동대응팀’을 임시 소집해 대응 중- 미국의 국가안보부, EU 집행위의 정보사회미디어국·정보보안청, 일본의 정보보안센터(NISC) 등 사물인터넷 선진국들은 융합보안 포함 지식정보보안 관련 총괄기구를 통해 규제‧지원 추진 중□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에 어떤 기기, 사람,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접속경로, 위치 등 접속돼 있는지 ‘가시성’ 확보가 필요함o 많은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접속돼 있어 보안이 취약해질 수밖에 없으며, 단순히 데이터 도용뿐만 아니라 사람의 생명이 포함된 안전의 문제와 관련 있음- 현재 냉장고, TV 등 집안의 가전제품이나 스마트 자동차 등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이 출시를 앞두고 있지만 이에 대한 뚜렷한 보안 대책은 없는 상황- 산업연구원은 사물인터넷 관련 국내 보안 피해규모가 2020년에는 17조 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함o 방화벽 또는 ACL(네트워크접근 제어 액세스 리스트)이 네트워크로 접근한 것에 대해서 적절하게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고도화 되어야 함- 112 --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통합적인 플랫폼 기반의 접근이 필요하며, 모든 행위에 대한 감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API에서 애플리케이션까지 공통의 보안 정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o 사물인터넷 시대의 보안 위협에 대해 공격의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한 후속조치도 중요- 시간이 지날수록 지능화되는 해커들의 공격기법으로 인해 어떠한 보안제품도 공격을 100% 차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공격 발생 후 복구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후속조치 관련 기술 필요□ 글로벌 정보보안 업체인 시만텍은 시중의 모든 웨어러블 기기들은 100% 추적가능하며 개인정보보호정책도 미흡한 것으로 분석함o 최근 사용자가 늘고 있는 다수의 셀프 트래킹(Self-tracking)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의 보안현황을 조사- 보안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미니컴퓨터를 이용한 블루투스 스캔 기기를 개발, 사람들이 밀집한 스포츠 행사장과 공공장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셀프 트래킹 기기들에 대해 조사를 진행함- 조사결과 △조사한 웨어러블 액티비티 트래킹 기기 모두 위치 추적이 가능한 것을 비롯해 △평문(Clear text) 형태로 개인 데이터 전송 △프라이버시 정책의 부재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 유출 △취약한 시스템 관리 등 개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조사됨o 개인의 심박수, 혈압과 같은 건강 상태, 감정 상태와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가 다루어지는 만큼 철저한 보안이 요구되는 분야이지만 프라이버시 정책 준수나 보안 기술 도입이 미흡함- 조사 대상 셀프 트래킹 앱의 절반이 넘는 52%가 프라이버시 정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o IoT 시대가 빠르게 도래함에 따라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이 보안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을 갖는 것이 시급함- 113 -- 제품 및 서비스 제공자는 설계부터 운영까지 전 영역에 걸쳐 보안을 고려해야 하며, 소비자는 측정 활동을 할 때 패스워드 설정 등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예방하는 자세가 요구됨34)□ 카스퍼스키랩은 네트워크스토리지(NAS) , 스마트TV, 라우터 등 가정용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사이버공격 취약점을 다수 발견함o 가정용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내재하고 있으며 기본 관리자 암호·인터넷 연결 암호와 같은 기본 보안 시스템의 부족으로 실질적으로 사이버 보안 위협에 놓여있음o NAS, 스마트TV, 위성수신기, 커넥티드 프린터, 라우터,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 홈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취약성 조사 결과,- NAS에서 14개의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스마트TV 1개, 라우터에서는 잠재적 원격제어 기능들이 다수 숨겨져 있음을 찾아냄- NAS에서는 많은 설정파일들의 권한설정이 잘못 지정되어 있으며, 공격자가 원격으로 최고 관리자 권한의 시스템 명령을 실행이 가능함- 스마트TV, DSL라우터 또한 공급업체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현된 기능으로 인해 다수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됨o 개인과 기업은 커넥티드 디바이스를 둘러싼 보안 위험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며, 강력한 암호를 설정하는 것 등과는 상관없이 결코 정보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음- 향후 디바이스 공급업체, 보안 커뮤니티 및 디바이스 사용자들이 해결해야 할 보안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파악됨- 디바이스의 제품수명 주기와 관련 없이 실제 사용 주기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보안 업데이트가 개발되어야 함34) NAS(Network Attatched Storage) :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기억장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접근권한을 제공하는 장치- 114 -□ HP의 보안 연구팀은 현재 인기 있는 10여 개의 사물 인터넷 기기가 보안 감사 결과, 사물인터넷 기기의 70%가 보안 취약점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남o TV, 웹캠, 가정 온도계, 출입문 자물쇠, 스프링클러 제어기 등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사물 인터넷 기기 10여 개를 선정, 3주에 걸쳐 조사 실시o 조사된 기기에서는 UI를 제공하는 10개의 기기 가운데 6개에서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 부실한 인증데이터 등의 문제가 발견- 특히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 결핍 △관리자 웹 인터페이스 취약점 △안전하지 않은 펌웨어 업데이트 방식 △접속 인증 데이터의 무방비한 노출 등 총 250개의 취약점 발견- 7개의 기기가 암호화되지 않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어 클라우드 서비스나 모바일 앱과 연결하는 도중 ‘중간자 공격(Man In The Middle, MITM)’의 위험에 노출- 또한, 8개의 기기는 사용자에게 충분히 길고 복잡한 비밀번호를 강제하지 않음※ 1234나 123456과 같은 쉬운 비밀번호로도 대부분의 기기 계정을 열람할 수 있었으며기기뿐 아니라 여기에 연결된 클라우드 서비스나 모바일 앱 계정 또한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있었음o 사물 인터넷 기기 제조업체들은 오픈소스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OWASP)가 공개한 ‘10대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을 참고해 제품 보안 분석이 필요함- 또한, 이 조사에서 드러난 취약점들은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지 않고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함- 115 -
제 3 장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설문 조사
제 3 장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설문 조사제1절 조사 개요1. 조사 배경 및 목적o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란 초연결사회의 기반 기술·서비스이자 차세대 인터넷으로 사물 간 인터넷 혹은 개체 간 인터넷(Internet of Objects)으로 정의되며 고유 식별이 가능한 사물이 만들어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환경을 의미o 사물인터넷은 개인, 가정, 산업, 공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되고 있으며, 삼성, 나이키, 현대자동차 등 업종과 관련 없이 다양한 분야의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음- 대표적 사물인터넷 서비스로는 스마트 홈, 스마트 팜, 스마트 쓰레기통이 있음<표 3-1> 사물인터넷 적용 분야<표 3-1> 사물인터넷 적용 분야주요 거래 수요자 내용 주요 사례관계갤럭시 기어, 나이키건강관리, 휘트니스 등을 위한 웨어러블 부퓨얼밴드, 위딩스 스마트개인 문과 커텍티비티를 강조한 자동차체중계, 현대자동차부분이 주를 이룸블루링크 등B2C가정의 시큐리티와 효율적 에너지 이용 등 고지 스마트락, 유니키,가정 이 주요 활용 목적이며, 홈네트워킹에 대한 네스트 써모스텟, LG홈챗 관심도가 다시금 높아지는 추세 등공장 자동화, 상품 및 제고의 효율적 관리, 패덱스 센스어웨어,산업 B2B 물류의 효율화, 생산성 증가 등의 목적으로 SKT 스마트 팜활용될 수 있음에너지, 주차 공간 등 공공 자원의 효율적 샌프란시스코 SFPark,이용과 범죄예방 등을 위해 활용될 수 있으공공 B2G 바르셀로나 가로등 관리 며, 정부기관이 아닌 일반 시민이 공공서비시스템 등스를 위해 활용하는 사례도 존재자료 : 하나금융경영연구소(차세대 디지털 혁명, 사물인터넷(IoT)의 가능성, 2014)- 116 -<표 3-2> 대표적 사물인터넷 서비스<표 3-2> 대표적 사물인터넷 서비스구분 서비스 내용주거환경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각종 정보를 교환하고 제어,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이스마트 홈용자의 생활 편의 및 안전을 증가 시켜주는 서비스농·축산물의 생산·가공·유통 과정의 사스마트 팜 물인터넷 접목으로 생산성향상 및 안전 유통체계 확보쓰레기 자동 압축을 통해 더 많은 쓰레기를 스마트 담을 수 있으며, 쓰레기가 가득 차면 센서쓰레기통 가 신호를 보냄으로 수거차량 운영비용을 감소o 관련 업계에서는 사물인터넷을 차세대 디지털 혁명으로 여기며, 기기 수 증가에 따라 경제적 가치가 급속하게 증가할 것이라는 긍정적 견해를 보임- ICT 인프라와 제조업 경쟁력을 갖춘 국내 시장도 세계적 추세와 마찬가지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o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제조업 및 ICT 강점을 살려 사물인터넷 사업 육성 의지를 밝혔으며,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소프트웨어와 센서 산업 육성을 포함한 지원 계획을 수립 중임- 박근혜 대통령은 ‘국내의 경우 제조업과 인프라는 튼튼해 사물인터넷의 가능성이 있는 반면, 소프트웨어 쪽에는 취약해 어떻게 메울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언급함- 미래창조과학부는 사물인터넷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사물인터넷 산업을 본격 육성하기 위해 총 244억원을 투입할 예정임-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센서 육성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2015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총 1,508억원을 투입하기로 확정됨- 117 -o 해외 주요 국가와 글로벌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글로벌 시장 선점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계획을 바탕으로 기술개발, 연구센터 설립, 산업단지 조성, 의무화 정책 등을 통해 시장 활성화 및 국민 생활 편의를 도모<표 3-3> 글로벌 기업 사물인터넷 동향<표 3-3> 글로벌 기업 사물인터넷 동향구분 주요내용·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주도하는 구글은 구글 글래스, 자동 주행 자구글 동차를 개발중에 있으며, 또한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안드로이드 웨어’를 공개하고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시장 주도·사물인터넷을 위한 저전력, 소형 칩을 통해 데이터 분석과 기기의 클라우드 연결을 지원인텔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화된 소형 프로세서 ‘쿼크’ 발표 및 2014년 CES에서는 쿼크 CPU와 wifi, BT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Edison이라는 SD Card 형태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런칭·사물인터넷의 기술 표준을 주도하기 위해 ‘SAMI(Samsung Architecture for Multimodal Interactions)’이라는 사물인터넷 전담팀을 구성삼성 ·사물인터넷 관련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을 보유한 스웨덴 나노라디오와 영국 CSR 모바일부문을 인수하였으며, 구글, 시스코와 각종 특허를 공유하는 ‘3각 동맹’을 맺음·국가 간 사물인터넷 제공을 위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10개 주요 이동통신SKT 사와 ‘브리지 사물통신 얼라이언스를 출범·ARM과 사물인터넷 공동 연구 추진 계획o 본 조사의 목적은 사물인터넷 관련 기업체의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현황을 파악하고 사물인터넷 이용기업의 도입효과를 분석해 사물인터넷 시장 활성화 및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있음- 118 -[그림 3-1]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조사의 목적[그림 3-1]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조사의 목적2. 조사 설계o 사물인터넷 도입현황 및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본 조사에서는 ①사물인터넷 도입기업 현황조사와 ②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심층조사로 구분하여 진행함o (사물인터넷 도입 기업 현황조사) 200개 표본을 대상으로 제조, 출반, 영상 등 사물인터넷 활용기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조사를 실시함- 기업일반현황, IoT 도입현황, 정부지원방안, 애로 및 건의사항을 기본으로 조사하며, 세부적인 경영개선효과, 기술수준, 기술확보방법 등을 세부적으로 조사함- 사물인터넷 활용 기업은 ‘사물인터넷 산업 실태조사 및 시장분석 연구 (미래부, 2013)’를 참고하여 선정함- 119 -<표 3-4> 사물인터넷 도입 기업 현황조사 개요<표 3-4> 사물인터넷 도입 기업 현황조사 개요구분 사물인터넷 도입 기업 현황조사조사 대상 사물인터넷 활용 기업(제조업,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조사 방법 방문면접조사 (Face-to-Face-Interview)(※ 필요 시 E-mail, Fax 조사 병행)표본 규모 200표본표본 추출 표준산업 분류별 제곱근 비례할당 추출방법구분 세부조사항목·기업명, 주소, 업종, IoT 분야 종사자 수 (2014년 총 종사자 수, 기업일반 경영/관리, 생산, 영업/마케팅, R&D, ICT, 기타)현황 ·매출액 (2014년 매출액-매출구조, 영업이익, 매출액대비 R&D투자비율),·수출현황 (주요 수출국, 수출액)·사물인터넷 도입 목적별 중요도(기존제품 대체, 제품의 다양화, 시장환경 변화), ·사물인터넷 투자분야(인력채용, 교육훈련, 장비/자재구입, R&D, 외부기술도입), ·분야별 사물인터넷 기여도IoT (신제품출시, 비즈니스모델 수립, 인력채용, 매출액 증가),조사 내용도입현황·성과개선효과 (매출액, 영업이익, 수출증가, 운영비절감, 업무시간 단축, 생산능력 증대, 고객만족도, 신제품개발, 특허출원 및 등록, 제품 재구매 비율), ·사물인터넷 기술수준 (세계수준, 국내수준), ·관련기술 확보방법·정부의 IoT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만족도(개선사항), 정부지원·정부지원 수혜현황, 방안·투자 저해요인별 어려움 강도(투자 자금조달, 기업 정보화 역량)애로 및·기타 애로 및 건의사항건의사항- 120 -o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심층조사) SKT, 삼성, LG등 사물인터넷 대기업을 포함한 30개 대표 기업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 도입 후 매출액 증대효과를 심층면접형식으로 조사- IoT 도입계기 및 과정, 도입 애로사항, 도입효과, 정부지원방안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사업전반의 효과 등에 대해 파악함<표 3-5>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심층조사 개요<표 3-5>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심층조사 개요구분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심층조사조사 대상 사물인터넷 기업 현황조사 참여기업 중 사물인터넷 도입 후 매출액 증대기업조사 방법 심층면접조사 (In-Depth-Interview)표본 규모 30표본 (SKT, 삼성, LG 등 사물인터넷 대표기업 포함 – Booster Sample)표본 추출 매출액 증대 상위 30개 기업 유의 추출방법구분 세부조사항목·IoT 도입 시기 및 도입계기IoT 도입계기 및 ·도입과정 (도입 결정단계, 기술 및 시장정보획득, 과정인력채용, 기술 및 서비스 도입, 안정화)·도입 애로사항IoT 도입 애로사항·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노력조사 내용·사업전반의 효과(매출액, 수출, 인력채용, 고객만족도)·IoT 도입 후 기업 전반의 변화IoT 도입효과·신제품 개발사례·향후 투자 증/감 이유·성공적인 IoT를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과정정부지원방안·정부지원 내용- 121 -3. 설문응답 현황o 총 213개 기업이 본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응답기업 중 제조업과 출판업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임- 사물인터넷 도입분야는 서비스 분야가 53.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제품기기, 네트워크, 플랫폼 순으로 나타남- 기업의 매출액 규모는 10~30억 미만 기업이 가장 많았으나, 전반적으로 각 범위당 10~20% 사이의 고른 비중을 보임- 종사자 수 기준 응답기업의 규모는 10~30명이 가장 많았으며, 10명 미만, 100명 이상 기업에서 응답에 적극 참여함[그림 3-2] 조사 응답자 특성[그림 3-2] 조사 응답자 특성- 122 -제2절 설문조사 결과1. 기업 일반현황□ 응답기업의 종사자수o 사물인터넷(IoT) 도입 효과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종사자 수를 살펴보면 10-30명 미만이 37.6%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10명 미만(23.5%), 100명 이상(22.1%), 30-50명 미만, 50-100명 미만(각각 8.5%) 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3] 응답 기업의 종사자 수[그림 3-3] 응답 기업의 종사자 수o 응답 기업의 인력 구성은 R&D 연구인력이 기업당 25.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생산인력(13.8명), 영업/마케팅(10.3명), 경영관리(6.8명), ICT(5.8명) 순으로 나타남[그림 3-4] 응답 기업의 인력구성[그림 3-4] 응답 기업의 인력구성□ 응답기업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o 사물인터넷(IoT) 도입 효과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14년도 매출액은 10-30억 미만 기업이 30.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10억 미만(19.2%), 300억 이상(18.8%), 100-300억 미만(13.1%), 30-50억 미만(11.3%), 50-100억 미만(7.0%)의 순으로 나타남- 123 -[그림 3-5] 응답기업 매출규모[그림 3-5] 응답기업 매출규모o 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14년도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을 조사한 결과 평균 10.0%의 영업이익률을 보였으며, 그 중 5.0%초과~10.0%이하(48.4%)를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음[그림 3-6] 응답기업 영업이익률[그림 3-6] 응답기업 영업이익률□ 응답기업의 수출현황o 조사에 참여한 213개 기업 중 수출을 하고 있는 기업은 34.7%로 나타났으며, 업종별로 통신업(66.7%)의 수출비중이 높게 나타남- 주요 수출국으로 미국을 응답한 기업이 47.1%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유럽(15.9%), 중국(11.5%), 일본(10.8%), 동남아(10.2%) 등의 순으로 나타남- 국가별 평균 수출액은 미국이 283억 3,83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유럽(103억 5,170만원), 일본(108억 4,320만원), 동남아(100억 6,100만원), 중국(71억 2,070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남- 124 -<표 3-6> 응답기업 수출유무<표 3-6> 응답기업 수출유무구분 사례수 수출함(%) 수출안함(%)전체 (213) 34.7 65.3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92) 44.6 55.4출판업 (75) 29.3 70.7 통신업 (3) 66.7 33.3업종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16) 6.3 93.8정보서비스업 (5) 0.0 100.0기타 (22) 36.4 63.6[그림 3-7] 수출기업의 주요 수출국가[그림 3-7] 수출기업의 주요 수출국가[그림 3-8] 국가별 평균 수출액[그림 3-8] 국가별 평균 수출액□ 사물인터넷 도입분야 및 서비스 유형o 사물인터넷(IoT) 도입 분야를 살펴보면, 제품기기 분야가 32.1%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서비스(25.2%), 네트워크(23.2%), 플랫폼(19.4%) 순으로 나타남- 125 -[그림 3-9] 사물인터넷 도입분야[그림 3-9] 사물인터넷 도입분야o 조사 참여기업의 사물인터넷(IoT) 도입 서비스 유형을 살펴보면, 자동화/안전 분야가 20.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물류/유통 (11.8%), 건설/시설관리(11.2%) 등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10] 사물인터넷 도입 서비스 유형[그림 3-10] 사물인터넷 도입 서비스 유형o 향후 사물인터넷(IoT) 도입 예정 서비스 유형으로 환경(14.2%)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이어서 재해/재난(13.4%), 개인화 서비스 (12.6%), 에너지/검침(11.8%) 등의 순으로 나타남- 126 -[그림 3-11] 향후 사물인터넷 도입예정 서비스 유형[그림 3-11] 향후 사물인터넷 도입예정 서비스 유형2. 사물인터넷 도입현황□ 사물인터넷 도입 목적별 중요성o 사물인터넷(IoT) 도입의 주된 목적으로 제품의 다양화(37.4%)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이어서 시장환경의 변화(36.8%), 기존제품 대체(25.8%) 순으로 나타남[그림 3-12] 사물인터넷 도입 목적[그림 3-12] 사물인터넷 도입 목적o 사물인터넷(IoT) 도입 목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제품의 다양화(70.3점)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시장환경의 변화(69.7점), 기존제품 대체(57.6점)의 순으로 나타남- 127 -[그림 3-13] 사물인터넷 도입 목적 중요도[그림 3-13] 사물인터넷 도입 목적 중요도.□ 사물인터넷 투자분야 및 비용o 사물인터넷 투자분야 중 R&D분야에 투자했다는 응답이 92.0%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장비/자재구입 (79.8%), 교육훈련(78.9%), 사물인터넷 관련 인력채용(78.4%), 외부기술도입(45.5%)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14] 사물인터넷 투자분야[그림 3-14] 사물인터넷 투자분야o 분야별 투자비용으로는 전체 투자비용의 42.7%가 R&D에 투자되었으며, 이러서 인력채용 및 양성(23.4%), 기기/장비/자본재도입 (23.3%), 외부기술도입(8.7%) 등의 순으로 나타남- 128 -[그림 3-15] 사물인터넷 투자비용 비율[그림 3-15] 사물인터넷 투자비용 비율o ‘14년도 대비 ’15년도 사물인터넷 분야 투자액은 모든 분야에서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R&D분야에서는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67.3%로 가장 많았음[그림 3-16] 2015년 사물인터넷 투자액 증가 전망[그림 3-16] 2015년 사물인터넷 투자액 증가 전망□ 사물인터넷 제품 기술수준o 세계 최고수준 대비 자사 기술수준으로 약간 미흡이 42.7%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세계최고수준과 동일(31.9%), 미흡(14.1%) 등의 순으로 나타남- 세계 유일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을 한 기업은 8.9%에 불과함- 129 -[그림 3-17] 세계수준 대비 자사 기술수준[그림 3-17] 세계수준 대비 자사 기술수준o 국내 최고수준 대비 자사 기술수준으로 동일하다는 응답이 44.1%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약간 미흡(24.9%), 국내 유일기술(21.6%) 등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18] 국내수준 대비 자사기술 수준[그림 3-18] 국내수준 대비 자사기술 수준o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 확보방법으로 자체개발(53.1%)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이어서 공동/위탁개발(17.8%), 기술이전(3.3%), 통합솔루션 구매(1.4%) 등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19] 관련기술 확보방법[그림 3-19] 관련기술 확보방법□ 투자 저해요인o 사물인터넷(IoT) 분야 투자 저해요인으로 ‘기업 정보화 역량문제’(46.0점) 대비 ‘투자 자금조달 문제’(48.4점)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130 -o 자금조달문제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투자비용 대비 성과의 불확실성(51.1점)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자금확보의 어려움(47.7점), 자금부족으로 인한 재무 안전성 결여(46.5점)의 순으로 나타남o 기업 정보화 역량문제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적합한 인력 확보의 어려움(59.4점), 사물인터넷 기술 및 시장 정보의 부족(51.8점), 경영진의 사물인터넷에 대한 인식부족(27.0점)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20] 사물인터넷 분야 투자저해 요인[그림 3-20] 사물인터넷 분야 투자저해 요인* 배점기준 : 전혀 어렵지 않음(0점) –보통(50점) –매우 어려움(100점)3. 사물인터넷 도입효과□ 사물인터넷 도입으로 인한 기여도o 사물인터넷 도입이 인력채용에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89.7%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매출액 증가(89.2%),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수립(79.3%), 신제품 생산(73.2%) 순으로 나타남[그림 3-21] 사물인터넷 도입으로 인한 영향[그림 3-21] 사물인터넷 도입으로 인한 영향- 131 -o 분야별로 사물인터넷 도입의 기여도를 살펴보면 신제품 생산의 기여도가 62.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수립(58.1점), 인력채용(47.1점), 매출액 증가(44.5점)의 순으로 나타남[그림 3-22] 분야별 기여도[그림 3-22] 분야별 기여도□ 분야별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매출액 증가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77.0%로 나타났으며, 그 중 52.4%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 132 -[그림 3-23] 매출액 성과개선 효과[그림 3-23] 매출액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76.1%로 나타났으며, 그 중 57.4%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24] 영업이익 성과개선 효과[그림 3-24] 영업이익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수출액 증가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44.1%로 나타났으며, 그 중 55.3%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25] 수출액 성과개선 효과[그림 3-25] 수출액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업무시간 단축으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39.4%로 나타났으며, 그 중 47.5%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26] 업무시간 단축 성과개선 효과[그림 3-26] 업무시간 단축 성과개선 효과- 133 -o 사물인터넷 도입이 운영비 절감으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37.6%로 나타났으며, 그 중 50.0%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27] 운영비 절감 성과개선 효과[그림 3-27] 운영비 절감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생산능력 증가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49.8%로 나타났으며, 그 중 53.8%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28] 생산능력 성과개선 효과[그림 3-28] 생산능력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고객만족도 증가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64.8%로 나타났으며, 그 중 41.3%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29] 고객만족도 성과개선 효과[그림 3-29] 고객만족도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신제품 개발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66.2%로 나타났으며, 그 중 41.8%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 134 -[그림 3-30] 신제품 개발 성과개선 효과[그림 3-30] 신제품 개발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특허출원 및 등록으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58.2%로 나타났으며, 그 중 41.9%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31] 특허출원 및 등록 성과개선 효과[그림 3-31] 특허출원 및 등록 성과개선 효과o 사물인터넷 도입이 고객의 제품 재구매 증가로 이어졌다는 응답은 61.5%로 나타났으며, 그 중 44.3%는 도입전과 비교하여 20%미만의 매출액 증가가 나타남[그림 3-32] 제품 재구매율 성과개선 효과[그림 3-32] 제품 재구매율 성과개선 효과4. 정부지원방안□ 정부지원사업 수혜 경험o 조사 참여 기업은 정부지원사업 중 ‘직접 자금지원’(50.7%)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어서 기술정보제공, 기술이전 지원(각각 49.8%) 시장 정보제공(37.6%), 인력 및 연수지원(35.7%) 등의 순으로 나타남- 반면, 간접자금지원(조세감면)에 대한 내용의 인지율(31.5%)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135 -[그림 3-33] 정부지원사업 인지율[그림 3-33] 정부지원사업 인지율o 직접자금지원 사업 인지기업의 88.0%는 사업 수혜경험이 있었으며, 53.8%의 기업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해 정부지원사업 분야 중 원활한 사업운영에 가장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남5. 기타 애로 및 건의사항o 정보통신기술 도입을 위한 정부지원정책으로 ‘자금지원’이 46.9%로 가장 많음- 이어서 홍보강화(8.2%), 마케팅 영업지원(6.1%), 국책사업 확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시범사업을 통한 시장창출(각각 4.1%)등의 순임- 기타 의견으로 실제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원정책, 해외진출분야 지원, 사물인터넷 시장 확대, 인증사업지원, 정보제공, 사물인터넷 교육, 관련법규 제정 등의 의견이 도출됨- 136 -[그림 3-34] 정보통신기술 도입을 위한 정부지원정책 의견[그림 3-34] 정보통신기술 도입을 위한 정부지원정책 의견o 기타 애로 및 건의사항으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도출됨-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산학연 연계강화- 사물인터넷 관련 학계 보유 특허를 기관과 연계- 위치정보서비스 등록부분 절차 간소화- 보안관련 제도 강화- 자금지원- 홍보강화- 제품 마케팅 지원(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 구매)- 서류 간소화- 전문 멘토 매칭- 관련 지적재산권의 적극적 보호- 특허 등을 통한 사업선점 보호 필요- 다양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중소기업 육성- 세금 감면- 137 -6. 심층 인터뷰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업 중 매출 증대효과가 우수한 기업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함- IoT 도입계기 및 과정, IoT 도입 애로 사항, IoT 도입효과, 정부지원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인터뷰를 진행o 인터뷰 진행 기업 중 주요 업체는 (주)링네트, (주)비트앤펄스, (주)아이렉스넷, (주)이큐브랩, (주)씨앤피인스트루먼스 등 5개 기업이었음- 138 -기업명 (주)링네트사물인터넷 도입계기 및 과정·각 교육청이 주관하는 스마트캠퍼스 구축사업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2014년에 처음으로 사물인터넷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대학 및 교육기관에 사물(교육 기자재)이 접촉할 수 있는 무선 환경을 구축하는 국가주관 사업으로서 입찰을 통해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무선랜과 장비 인터페이스 분야 등의 기술 및 서비스는 미국계 네트워크 장비업체인 시스코를 통해 획득했습니다. 현재는 무선랜, 스위치 라우터 설치, 그리고 컨설팅 부문에 새로 인력(R&S)을 채용하여 캠퍼스를 구축한 뒤 안정화를 꾀하고 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성과·2014년의 총 매출액이 전년 대비 15% 가까이 성장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특히 무선 부문에서 큰 증가폭을 보였습니다. 그 결과 자사에서는 유선장비부문의 투자가 감소하고 무선장비부문은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구체적인 예로 기존에는 유선 방식이었던 IP Telephony에 스마트폰을 연동해 무선으로 진화시킨 제품이 있습니다. 여기서 매출이 5%나 증가했습니다. 인력채용도 기존에 비해 19% 증가했고 고객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향후 IoT부문에 대한 투자비율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국가사업의 성공을 계기로 일반 기업들의 투자도 증가하고 당사의 솔루션공급량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애로사항·아직 사물인터넷이 국내에서는 발달된 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적인 컨설팅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원들을 위한 혜택을 강화하는 방안을 취했습니다. 대표적으로 2010년 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한 우리사주조합 제도를 채택했습니다. 또한 사내 근로복지기금 강화(주택자금 5천만 원까지 무이자 대출), 인센티브제 차등 적용 등을 통해 고급인력을 확보하고 인력활용의 효율성을 꾀했습니다.원활한 사물인터넷 도입을 위한 개선사항·가장 중요한 것은 고급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기업들이 IoT분야에 뛰어들면서 최근 들어 우수한 인재의 채용이 전보다 더 어려워졌습니다. 정부에서 IoT전문 인력의 교육 등을 수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공공부문에 시범사업을 확대하여, 기업에서 구체적으로 IoT사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충분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계획, 도입할 수 있게 되었으면 합니다.- 139 -기업명 (주)비트앤펄스사물인터넷 도입계기 및 과정·당사의 사물인터넷 도입은 2009년입니다. 본래 SW개발만 하던 회사였는데 매출적인 부분에 한계가 있어 하드웨어를 개발할 필요성을 느끼고 사물인터넷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도입은 하드웨어 관련 회사를 인수하면서 시작했습니다. 인력이나 기술 등은 인수한 회사의 것을 그대로 수용해 추가적인 충원이나 도입은 없었습니다. 원래 SW개발회사이다 보니 SW분야에는 어느 정도 기초지식이 있었고, 어렵지 않게 관련 업계 모니터링이나 기존 바이어들과의 컨택 등을 통해서 HW분야의 시장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 SW와 HW사업은 개발을 제외하고는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영업방식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시스템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성과·매출액은 현재 매년 35억(수출)+15억(내수) 정도로 사물인터넷 도입 이후로 계속 증가(10%)하고 있습니다. 미주, 남미, 아프리카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꾸준한 수출을 통해 바이어들과의 관계를 견고히 하고 만족도도 향상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물인터넷을 도입하면서 관련 전문인력을 5-6명 충원도 했습니다.·기존에 비해 제품개발의 비중이 커지다 보니 연구원들보다 기술자들이 더 많은 형태로 바뀌었습니다. 특히 IoT를 도입하여 개발한 하드웨어 “비콘(Beacon)"은 2013년 말부터 개발을 시작해서 2014년 완료했고, 서울시청, 문화재청 등에 성공적으로 납품해오고 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애로사항·원래 SW만 개발하던 회사이다 보니 HW, 특히 사물인터넷 기반 HW에 관한 기초지식이 부족했고 따라서 소비자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제품을 생산해 판매했는데 바이어들의 요구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채워주지 못해 아쉽다는 의견이 몇 차례 발생했습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마케팅 관련 경력자들을 영입해서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나가고 있습니다.원활한 사물인터넷 도입을 위한 개선사항·사물인터넷 시장은 빠르게 변화, 진화하고 있고 고객의 요청사항도 나날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신속한 캐치와 대응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정보획득을 게을리 하지 않고 변화하는 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IoT사업을 시작한다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정부에서는 비콘 등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했으면 합니다. 아직까지 정부는 IoT시장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적은 예산으로도 충분히 개발이 가능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140 -기업명 (주)아이렉스넷사물인터넷 도입계기 및 과정·당사는 2012년 회사 창립과 동시에 IoT 도입방안을 검토하였으며, 2013년에 IoT를 실질적인 사업으로 채택했습니다. 아직 국내 사물인터넷시장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경쟁이 본격화되기 전에 시장에 진입함으로써 초기 시장선점을 노리고자 도입하게 되었습니다.·IoT도입은 먼저 충분한 시장조사를 통해 유망한 분야임을 확인한 뒤 본격적으로 착수했습니다. 국내 및 국외의 IoT관련 전시회, 박람회 등을 순회하며 기술 및 시장정보를 획득했고, IoT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사업부를 신설해 전문성을 제고하고자 했습니다. 국외 IoT기업 총판과 동시에 자사에서 자체적으로 솔루션을 개발함으로써 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해왔으며, 꾸준한 검증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를 검증하는 등 기술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성과·도입 후 2년도 안 됐고 회사 창립과 거의 동시에 시작한 사업이기 때문에 매출액에서 큰 변화폭을 느끼기엔 이른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매출액은 소폭이지만 증가(10%)하는 추세입니다. 가장 큰 효과는 인력채용에 있었습니다. 신규사업부를 신설하면서 기존 인력 대비 100%이상 새로운 인력을 증원하게 되었으며, 또한 맞춤형 고객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도가 향상되었습니다.·결론적으로 자사의 IoT도입은 성공적으로 보고있으며 앞으로도 신규인력을 채용하고 마케팅에 주력하는 등 투자비율을 더 높일 생각입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애로사항·IoT도입 초기에 겪었던 가장 큰 문제는 인력확보였습니다. 신규사업부를 신설했는데 기존 인력 대비 100%이상 충원해야 했기 때문에 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아직 IoT시장이 걸음마 단계에 있었기 때문에 이렇다 할 정형화된 서비스를 구성하는 데 애로사항이 많았습니다. 초기 마케팅도 쉽지 않았습니다.원활한 사물인터넷 도입을 위한 개선사항·치밀한 시장조사는 기본이고 참신한 아이디어까지 바탕이 된다면 충분히 가능성 있다고 봅니다.·원활한 IoT 도입을 위한 정부의 지원에는 특정한 분야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실질적으로 기업체가 IoT서비스를 도입한 후에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적용할 수 있다는 정부/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의사 표시가 있어야 합니다. 유망한 분야라고는 하지만 아직 미래가 수익성이 보장될 정도로 안정된 시장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141 -기업명 (주)이큐브랩사물인터넷 도입계기 및 과정·IoT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우선 해외 전시회에서 고객들과 경쟁 업체들을 많이 만나면서 최대한 많은 고객을 만나고 유치했으며 인터넷을 통해서도 정보습득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술 및 시장정보 역시 해외의 전시회들을 통해서 얻었으며, 인력채용은 직접 채용사이트에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인재에게 연락하거나, 지인들의 소개로 다양한 사람들을 채용했습니다.·도입 초기에는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구현하는 것이 어려워 외주를 통해 기술 등을 습득하고 후에 직접 제작으로 방식을 변환했으며 현재는 꾸준한 피드백을 통해 제품 안정화 단계에 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성과·사업 초창기이기 때문에 샘플 위주로 판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샘플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또한 초기에는 중동에 한정한 수출이 여러 차례 해외박람회를 다니며 고객을 확보함으로써 현재는 호주, 유럽, 중남미까지 확장되었습니다. 그리고 창업 당시 5명이었던 인원은 지금 20명으로 4배 정도 증가했습니다. 주로 마케팅이나 기술을 담당하는 인력들이 늘어났고, 공장에서도 생산, 관리 부문 인력을 충원했습니다.·제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아졌고(50%향상) 앞으로도 만족도제고를 통한 매출증대를 추구할 것입니다. 제품 수요의 증가에 따라 설비부문 투자를 점차 늘릴 전망이고, 또 제휴통신사나 해외 서버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고객관리 부문에도 투자를 확대할 것입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애로사항·가장 큰 문제는 인력확보에 있었습니다. 특히 초기의 외주개발 방식을 자체제작방식으로 바꿀 때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해 충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력채용사이트에 모집공고를 올렸지만 별로 효과가 없었습니다. 나중에는 회사 사이트를 보고 직접 연락을 통해 적극적으로 인력을 채용하고자 했고, 주로 주변 지인들의 소개로 인력을 확보했습니다원활한 사물인터넷 도입을 위한 개선사항·원활한 IoT도입을 위해서는 정확한 시장조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지자체는 따라서 기업들과의 정보교류를 활발하게 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 지원이 필요한지 알려주면 그와 관련된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개발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그것에 대한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시장에 대한 정보를 지자체에서 어느 정도 제공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142 -기업명 (주)씨앤피인스트루먼트사물인터넷 도입계기 및 과정·2009년에 RFID 특수TAG 개발 및 생산을 전문으로 하기 위한 일환으로 자사를 설립했습니다. 도입 당시 특수태그 분야의 패키징기술은 국내에서 아직 낙후되어 있어 성장 가능성이 매우 컸습니다. 특히 2009년 공공기관의 RFID자산관리도입으로 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되는 상황에서, 미리 시장을 선점하고 향후 특수태그 분야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RFID/US 전시회에 참가하고 사물인터넷협회에 가입하여 시장동향 등의 정보를 획득했습니다. 2012년부터는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인력을 충원하는 등 사업을 확장했으며, 안테나설계기술과 제조설비를 구축하여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성과·IoT 도입으로 매출액이나 수출이 점진적으로 증가(50%향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외 시장의 활성화로 신규투자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의 제조기반 생산에서 연구개발이 중요시되면서 기업의 인지도가 향상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RFID시장에서의 기업입지를 키우고 새로운 이윤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개발 인력충원의 일환으로 10명을 새로 채용했으며 신규개발의 다양성을 확보했습니다.사물인터넷 도입 애로사항·정보통신부에서 2006년부터 실시한 RFID/USD 시범사업이 확산사업으로 정착되지 않아서 정보습득이나 고객유치가 어려웠고, RFID시장이 예상했던 만큼 활성화되지 않아서 시장의 다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워 개발 또한 쉽지 않았습니다. 또한 고가의 기초설비비용으로 인해 초기 IoT 도입자금을 마련하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기청, 중진공, 기보, 신보 등을 통하여 다방면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해외시장을 공략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일본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여 매출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원활한 사물인터넷 도입을 위한 개선사항·IoT시장이 보다 활성화되려면 무엇보다도 기술개발 및 단가인하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직은 시장에서 확실하게 정립된 것이 없고 미숙하기 때문에 초기 비용도 많이 들고 기술을 습득하기도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정부의 정책자금지원이 활성화된다면 더 많은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IoT를 도입해 입지를 넓혀갈 수 있을 것입니다. 시범 및 확산사업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주도하여 시행했으면 합니다.- 143 -
제 4 장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분석
제 4 장 사물인터넷 도입 효과 분석제1절 연구 방법론1. 사물인터넷과 혁신의 정의가. 사물인터넷(IoT)의 개념 정립o 개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에는 무엇보다도 사물인터넷을 어떠한 목적으로 범위를 설정하는가가 중요- 또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도 개념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o 사물인터넷이란 -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교류하고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인프라를 의미함(사물인터넷 활성화 종합계획, ’13)- 연결이 모든 것을 좌우하는 초연결 세상이 수년내로 올 것이며,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된다면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일이 현실이 될 것(Dave Evans)- 가까운 미래에 상식을 갖춘 컴퓨터가 도래하며, 통신 인프라를 통하지 않고서도 사물 간 직접 송수신 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Nicholas Negroponte)- 모든 기기의 스마트화에 따라 사람이 중심이던 인터넷에서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사물인터넷으로 빠르게 진화o 사물인터넷 산업이란- 사물인터넷 산업은 전화, 초고속망서비스, 부가통신, 정보서비스, 소프트웨어개발- 144 -공급, 컴퓨터관련서비스, 기타사업서비스 등 서비스와 전선 및 케이블, 전기공급 및 제어장치, 유선통신기기, 무선통신단말기, 무선통신시스템, 통신시설, 자동조정 및 제어기기, 측정 및 분석기기 등 장비(기기)를 포괄하는 산업으로 정의(정우수외,‘13)- 사물인터넷 산업은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과 융합이 빠르게 가속화되고 있음. - 한국은 지속적이고 과감한 R&D 투자를 통해 ICT 강국으로서의 높은 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물인터넷을 창조경제의 핵심사업으로 추진 중에 있음※ 정부는 2015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에서 사물인터넷 분야에 19개 사업에 대해 692억원을 투자 예산으로 책정하였음나. 혁신의 개념□ 혁신활동의 정의o 슘페터(Schumpeter, 1934)의 혁신활동에 대한 정의- 혁신과 관련하여 슘페터가 처음으로 혁신활동에 대한 정의를 내림- 새로운 제품개발, 새로운 생산과정 개발, 새로운 시장개발, 원자재의 새로운 루트개발, 새로운 기업조직 개편 등 기업이 할 수 있는 5가지 행동을 말함- 이러한 혁신 활동을 통해 기업은 경쟁제품 보다 앞서 나가며, 시장점유율 증가를 통해 매출을 증대할 수 있다고 하였음o OECD의 혁신활동에 대한 정의(2005)- 혁신(Innovation)은 새롭거나 획기적으로 개선된 제품/서비스나 공정, 새로운 마케팅 방법 또는 사업수행과정, 업무조직, 외부와의 관계 등에서 새로운 조직적 방법을 실행한 것을 의미- 이러한 혁신의 정의는 비기술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것으로서 혁신을 규정하기 위한 전제로는 시행주체가 기업차원에서 새롭거나 크게 개선되고 실- 145 -행되어야 하는 것을 들 수 있음- 혁신활동(Innovation Activity)은 혁신을 수행할 목적으로 혹은 실질적으로 혁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모든 단계의 활동을 의미- 혁신활동은 그 자체가 혁신이 될 수 있으며, 혁신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 활동이 될 수 있음※ 혁신활동은 구체적으로 지식과 기술도입, 장비 및 자본재 구입, 그리고 혁신활동을추진하기 위한 준비활동을 모두 포함o 경제활동과 혁신활동과의 관계- 경제활동의 변화들은 혁신활동의 중요성을 더해주고 있음- 기술혁신 활동을 통해 전반적 제조기업 과정인 새로운 제품 개발부터 제품 판매에 이르는 과정을 효율적이게 함- 한국의 경우 정보통신(ICT)은 대표적인 혁신활동으로 자원제약적인 단점을 극복하고 빠르게 경제성장을 달성하는데 기여하였음2. 혁신과 생산성에 대한 연구□ 개요o 혁신과 생산성과의 관계- Cobb-Douglas의 생산함수에서는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노동투입량이나 자본투입량의 증가를 언급- Solow(1956)의 연구에서는 자본, 노동 투입량에 의한 생산함수 최대 산출량은 생산자의 기술적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지음※ Cobb-Douglas 생산함수를 발전시킨 Solow의 연구에서는 기술수준의 증가가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음- 이러한 연구에서는 어떠한 세부요인들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근거가 미약함- 146 -- 사물인터넷 이라는 혁신의 도입을 통해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나타내었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됨□ CDM 모형o CDM 모형 개요- Crepon et al.(1988)은 혁신을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하였음. - 투입요인인 혁신투자가 결과지표인 혁신에 영향을 미치며, 혁신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을 설정- 투입요인과 결과지표를 혁신투자활동-혁신-생산성으로 나타내어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한 모형을 CDM 모형이라고 함- 이 모형은 과거 혁신투자활동, 혁신, 생산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각각 분석하였거나 혹은 두 변수의 관계만을 연구해왔던 것과 다르게 세 변수를 하나의 혁신 과정으로 보고 설명하였음o 사물인터넷 도입의 효과 분석 모형- 사물인터넷(IoT) 도입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CDM 모형은 적합한 분석모형이라 할 수 있음- 사물인터넷(IoT) 도입이라는 혁신투자활동과 생산성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음 - CDM 모형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음(1) 단, 는 기업의 혁신활동 유무이며, 는 보이지 않는 요인들 (2) (3) 단, 는 혁신으로서 혁신투자활동인 에 영향을 받으며, 그 밖에 다른 요인들인 에 영향을 받음- 147 -(4) 단, 는 기업의 생산성o 모형식의 설명- (1)식은 기업의 혁신활동 유무관계로 혁신활동을 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만 분석을 함- (2)식은 투입요인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며, 는 혁신투자활동- 기업이 혁신활동을 하는 경우, 기업이 혁신투자를 얼마나 하는지와 그에 미치는 요인들을 볼 수 있음- (3)식은 결과지표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 (4)식에서 생산성 는 혁신인 에 영향을 받으며, 다른 요인들인 에 영향을 받음 - 연구개발을 통해 노하우나 기술과 같은 지적자원의 축적은 기술혁신을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함o CDM 모형을 이용한 기존 연구- CDM 모형을 응용한 연구로 Loof and Heshmati(2002), Griffith et al.(2005), Chundnovsky(2006), Masso and Vahter(2007) 등이 있으며, 이들은 연구개발, 혁신, 생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임 - 통계분석방법으로 Crepon et al.(1998)은 Asymptotic Lesat Square(ALS)를 사용- Loof and Heshmati(2002)는 혁신투자활동 분석을 위해 로짓모형을 사용하였고, 혁신과 생산성 분석을 위해서 2단계 최소제곱법(2setp Least Square)을 사용- Chundovsky et al.(2006)은 제품혁신/공정혁신/전체혁신을 다중로지스틱모형을 사용- Griffith et al.(2005)은 혁신투자활동/혁신/생산성을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 148 -3. 연구모형o 연구모형 개요-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투자활동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투자활동의 도입성과에 대한 영향력과 이러한 도입성과가 생산성을 증가시키는지에 대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CDM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함 - 특히 혁신과정과 각각의 혁신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개념적 연구모형을 설계하도록 함- 이를 기반으로 기업들을 대상으로 혁신투자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혁신에 미치는 요인, 생산성에 미치는 요인들로 구분하여 혁신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관계를 분석하도록 함o 개념적 연구모형- 아래의 연구모형은 세부적으로 혁신투자활동, 혁신, 생산성 증가라는 과정을 포괄- 이러한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서 개별적인 단계 또한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개별단계에 대한 분석이 요구됨[그림 4-1] CDM모형에 따른 개념적 연구모형[그림 4-1] CDM모형에 따른 개념적 연구모형- 149 -o 혁신투자활동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 혁신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기업요인, 정부요인, 혁신저해요인 등이 혁신투자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냄 ([그림 4-2] 참조)o 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 기업이 지출한 혁신투자활동은 혁신이 실제 일어나게 하며, 세부요소로 기업특성, 혁신투자활동, 혁신저해요소, 혁신전략 등을 들 수 있음([그림 4-3] 참조) - 실제 혁신의 유형은 제품혁신, 공정혁신, 전체혁신으로 나누어 분석함o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모형 - 제품혁신이나 공정혁신이 이루어지면 결과적으로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줄 것임([그림 4-4]참조) - 세부요소로 기업특성 및 혁신을 들 수 있음[그림 4-2] 혁신투자활동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그림 4-2] 혁신투자활동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 150 -[그림 4-3] 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그림 4-3] 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그림 4-4]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모형[그림 4-4]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모형- 151 -4. 변수의 정의가. 기업특성 변수o 기업특성 변수에는 기업규모, 기업수출 규모, 기업집단 소속(계열사) 등이 있음o 기업규모 변수- Schumpeter(1934)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더 많이 투자를 한다고 주장하였음- 기업규모와 투자활동과의 관계에 대해 기존의 국내외 논문에서는 양(+)의 관계일 35)가능성이 높다고 함- Syrneonidis(1996)은 기업규모와 혁신투자의 관계가 양(+)인 이유에 대해 다각화된 기업일수록 여러 종류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동시에 추진할 수 있어서 유리하며, 기업규모가 클수록 필요자금 조달 및 연구인력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음- 기업규모를 산정하는 방법은 종업원수, 매출액, 자산규모 등을 적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매출액을 적용하도록 함o 기업수출 규모- 기업수출 규모는 혁신투자활동과 양(+)의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됨- Loof and Heshmati(2002)는 수출이 증가할수록 혁신투자활동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인바 있음- 이는 수출을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해외에 연계된 기업일 가능성이 높고 혁신투자활동을 많이 할 것으로 판단됨- 기업수출 규모를 산정하는 방법은 수출액 또는 전체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수출액 비중을 적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체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수출액 비중을 적용하도록 함35) Syrneonidis(1996), Crepon et al.(1998), Loof and Heshmati(2002), Griffith et al.(2005), 황재식(1998), 성태경(2003)- 152 -o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사-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사는 혁신투자활동과 관련하여 양(+)의 관계 예상됨 - 손원길(2010)의 연구에서는 대기업의 경우 혁신투자활동을 더 많이 하므로 양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하였음. - 그렇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의 경우 계열사를 보유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를 수 있으며, 김석현(2008)은 기업집단 소속 여부가 혁신에 비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하였음- 본 연구에서는 계열사를 기업특성 변수로 사용하지 않도록 함나. 정부지원 변수o 정부지원 변수에는 조세감면, 연구개발지원(보조금), 사업화자금지원(융자) 등이 있음o 정부지원 - 혁신투자활동과 관련하여 양(+)의 관계 예상됨 - Loof et al.(2001), Mairesse and Mohnen(2003), masso and Vahter(2007) 등은 정부지원이 혁신투자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분석하였음- 그러나,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정부자금지원이 큰 도움이 되지만 많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정부지원의 혜택여부가 혁신투자활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됨- 본 연구에서는 정부지원 변수의 경우 중소기업이 지원 혜택이 실제 사업운영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에 대하여 6점 척도를 적용하도록 함다. 혁신저해요인 변수o 혁신저해요인 변수- 혁신저해요인 변수에는 시장의 독과점환경, 산업내 과도한 경쟁, 혁신에 대한 수요 없음, 투자비용 대비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 자금부족으로 인한 재무안정성 결여, 적합한 인재부족, 기술 및 시장정보 부족 등이 있음. - 153 -- 중소기업에 해당되는 부분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는 자금부족, 인재부족, 기술 및 시장정보부족 등을 반영하도록 함 - 어려움의 강도에 따른 5점 척도를 적용하도록 함라. 혁신투자활동 변수o 혁신(제품, 공정, 전체)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혁신투자활동 변수에는 내부 연구활동(R&D), 외부 연구활동, 기기장비 및 여타 자본재 도입, 외부지식도입, 기타 혁신활동 등이 있음o 혁신투자활동 변수- 혁신투자활동 변수들은 혁신에 양(+)의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Loof and Heshmati(2002), Chudnovsky et al.(2006), Masso and Vahter(2007) 등의 연구에서 혁신투자활동들이 혁신에 양(+)의 영향을 준다고 분석하였음-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해 내부 연구활동, 외부 연구활동, 기기장비 및 여타 자본재 도입 등을 고려하였음 - 예/아니오의 여부에 따라 1 또는 0을 선택하도록 함마. 혁신전략 변수o 혁신(제품, 공정, 전체)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혁신전략 변수에는 제품대체, 제품다양화, 생산능력증대, 시장환경변화 등이 있음o 혁신전략 변수- 혁신전략들의 중요성 증가는 혁신에 양(+)의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 전략은 기업의 나아갈 목표 및 방향을 제시해주며, 투자의 효율성을 높여 혁신을 가능하게 함-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략에 대해 설문을 통해 6점 척도를 적용하도록 함- 154 -바. 종속변수o 종속변수에는 투자활동을 나타내는 투자집약도, 성과요인에 해당하는 혁신(제품, 공정, 전체), 기업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노동생산성 등이 있음o 투자집약도 - 투자집약도는 종업원수 대비 혁신투자액을 의미함- 혁신투자액은 연구개발 업무와 비연구개발 업무에 관련된 투자지출액의 합계를 나타냄- 투자집약도 산정은 기업규모 효과를 없애기 위하여 혁신투자액을 종업원 수로 나누어 산정함- 혁신의 달성여부와 관련하여 혁신을 제품, 공정, 전체 등 세 가지 범주로 분류- 전체혁신의 경우 제품혁신과 공정혁신 모두를 이룬 기업에 해당됨- 혁신변수는 혁신의 달성여부에 따라 설문에서 1 또는 0을 선택- 생산성 지표에는 부가가치율, 노동생산성 등이 있음※ 부가가치율은 자료 한계로 정확한 산정이 어려움- 본 연구에서는 기업성과를 노동생산성으로 측정하는 대용변수로 종업원수 대비 매출액을 설정함※ 다른 변수들과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Log를 취함- 155 -제2절 분석 결과1. 기술적 분석 o 기술적 통계자료 분석- 본 연구의 표본에 대해 언급한 변수들에 대한 기술적 통계자료는 <표 4-1>과 같음- 2014년 기준 혁신활동을 하는 기업의 평균기업규모(매출액)는 366만 원이며, 평균36)수출액은 약 713만 원 으로 다른 변수들과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Log를 취하였음-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정부자금 지원과 혁신전략은 6점 척도(활용않음 0, 매우낮음 1~매우높음5)를 사용하였으며, 혁신저해요인은 5점 척도를 사용하였음. - 정부지원관련 변수들의 평균은 각각 1.31, 1.67, 0.73으로 중간인 2.5보다 매우 적었으며, 이는 모든 기업들이 정부자금 지원을 받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임. - 혁신저해요인은 평균인 2.5보다 높은 2.82, 3.33, 3.04로 나타남. - 2014년 기준 평균 혁신 투자집약도는 약 3,887만 원으로 종업원 1인당 투자금액에 해당됨- 노동생산성에 Log를 취한 값의 평균은 253만 원으로 나타남36) 202개 기업 중 수출한다고 응답한 기업 73개 기업에 대한 평균임- 156 -<표 4-1>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량<표 4-1>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량구분 항목 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기업규모(매출액) 3.66 0.86 0.23 기업특성수출액 7.13 2.80 0.39 기술정보 제공 1.31 1.95 1.49 정부자금 지원 직접자금지원 1.67 2.00 1.20 간접자금지원 0.73 1.37 1.88 교육훈련 0.84 0.41 0.49 혁신투자활동 장비/자재구입 0.82 0.39 0.48 R&D 0.95 0.23 0.24 자금부족 2.82 1.11 0.39 혁신저해요인 인재부족 3.33 1.09 0.33 기술정보부족 3.04 0.98 0.32 제품대체 2.90 1.68 0.58 혁신전략 제품다양화 3.76 1.26 0.34 시장환경 변화 3.76 1.07 0.28 생산성 노동생산성 2.53 1.20 0.47 제품혁신 0.32 0.47 1.47 혁신 공정혁신 0.12 0.33 2.75 전체혁신 0.41 0.49 1.20 혁신투자 투자집약도 38.87 63.77 1.64 o 혁신기업 분류- 2014년 혁신활동을 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제품혁신만 하는 기업, 공정혁신만 하는 기업, 전체혁신(제품 및 공정)을 하는 기업과 혁신활동을 하지만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을 이루지 못한 기업들을 분류- 기업이 혁신활동을 한다고 해도 반드시 혁신을 이룩하는 것은 아닐 수 있음- 혁신활동을 한 기업 중 제품혁신만 이룩한 기업은 32.2%, 공정혁신만 이룩한 기업은 12.4%, 전체혁신을 이룩한 기업은 41.1%,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을 이루지 못한 비혁신 기업은 14.4%로 나타남- 157 -[그림 4-5] 혁신기업 분석[그림 4-5] 혁신기업 분석2. 모형분석 결과o 혁신투자활동 결정요인 분석 결과- 혁신투자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 - 분석결과 기존의 유사연구와 비슷하게 기업특성 변수인 기업규모의 경우 클수록 혁신투자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그 결과도 통계적으로 각각 1% 신뢰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수출규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정부지원의 경우 기업이 지원받은 기술정보 제공이 사업운영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지 대하여 기술 정보제공의 증가에 따라 혁신투자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이는 기술정보 제공을 통해 도움이 되지 않았거나 혜택을 받지 못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 기술정보 제공의 경우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직접자금 지원과 간접자금 지원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혁신저해요인 변수의 경우 자금부족으로 인한 재무 안정성 결여의 어려움 강도가 클수록 혁신투자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158 -※ 자금부족으로 인한 재무 안정성 결여의 경우 통계적으로 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나타남- 인재부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사물인터넷 기술 및 시장 정보의 부족은 혁신투자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과 부합했으며,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표 4-2> 혁신투자활동 결정요인 분석결과 <표 4-2> 혁신투자활동 결정요인 분석결과 변수 계수(t-값)상수 -126.6148(-4.76)*기업규모 40.4611(7.44)*기업특성수출규모 -30.4221(-1.53)기술정보 제공 -5.9969(-2.29)**정부지원 직접자금 지원 3.6124(1.52)간접자금 지원 -5.1760(-1.46)자금부족 14.6262(3.64))*혁신저해요인 인재부족 6.8549(1.59)기술 및 시장정보 부족 -12.3935(-2.52)**주: ( )안은 t-Statistic *:1% 유의수준 **:5% 유의수준 ***:10% 유의수준o 혁신 결정요인 분석- 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를 제품혁신, 공정혁신, 전체혁신으로 구분하고 다항로짓 분석을 이용함- 독립변수는 기업특성, 혁신투자활동, 혁신저해요소, 혁신전략 변수들을 적용함o 제품혁신 결정요인 분석- 제품혁신의 경우 기업특성 변수 중 기업규모인 매출액 증가가 커질수록 제품혁신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음(-)의 결과로 나타남. 이는 매출액의 증가가 제품혁신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음※ 기업규모의 경우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159 -- 혁신저해요인 변수로 사물인터넷 기술 및 시장 정보의 부족이 증가할수록 제품혁신에 저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남※ 사물인터넷 기술 및 시장 정보의 부족의 경우 통계적으로 10%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o 공정혁신 결정요인 분석- 공정혁신의 경우 기업특성 변수 중 기업규모인 매출액 증가가 커질수록 공정혁신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남※ 기업규모의 경우 통계적으로 10%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혁신투자활동, 혁신저해요소, 혁신전략 변수의 경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o 전체혁신 결정요인 분석- 전체혁신의 경우 기업특성 변수 중 기업규모인 매출액 증가가 커질수록 전체혁신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남※ 기업규모의 경우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혁신투자활동 변수 중 교육훈련은 실시할수록 전체혁신이 일어날 확률이 클 것으로 나타나 가설과 부합한 것으로 나타남. ※ 교육훈련의 경우 통계적으로 10%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혁신저해요소 변수와 혁신전략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160 -<표 4-3> 혁신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 <표 4-3> 혁신 결정요인에 대한 다항로짓 분석결과 제품혁신 공정혁신 전체혁신변수 계수(z-값) 계수(z-값) 계수(z-값)상수 0.1387(0.09) -4.0145(-1.85)*** -2.4697(-1.75)***기업규모 -0.5419(-2.45)** 0.5000(1.83)*** 0.3692(1.97)**기업특성수출규모 0.0609(0.08) 0.4544(0.46) 0.0152(0.20)교육훈련 0.0367(0.09) -0.7460(-1.24) 0.7624(1.77)***혁신투자 장비/자재구-0.3104(-0.69) 0.6220(0.82) 0.5142(1.12)활동 입R&D 0.7709(0.86) 0.5427(0.44) 0.3052(0.38)자금부족 0.0850(0.52) 0.0831(0.37) -0.1550(-1.03)인재부족 0.0854(0.50) 0.3299(1.36) -0.0955(-0.58)혁신저해기술 및 요인시장정보 -0.3787(-1.90)*** -0.2459(-0.88) 0.2401(1.29)부족제품대체 0.0397(0.39) -0.0328(-0.23) 0.0006(0.01)혁신전략 제품다양화 0.0486(0.36) 0.0440(0.23) -0.0379(-0.30)시장환경변화 0.2227(1.34) -0.2735(-1.31) -0.1241(-0.84)주: ( )안은 z-Statistic *:1% 유의수준 **:5% 유의수준 ***:10% 유의수준o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생산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기업특성과 혁신 변수를 적용- 종속변수로는 1인당 영업이익을 생산성 결정변수로 사용함※ 노동생산성 종속변수로 1인당 매출액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독립변수에 기업규모로 매출액을 사용하였기 때문임- 기존의 유사연구와 비슷하게 기업특성 변수인 기업규모가 클수록 생산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기업규모의 경우 통계적으로 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161 -- 수출규모의 경우 양(+)의 결과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 - 혁신 변수 중에 제품혁신과 전체혁신의 경우 기업이 혁신을 하였을 경우 생산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음. ※ 제품혁신의 경우 1%, 전체혁신의 경우 10%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남- 공정혁신의 경우 음(-)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표 4-4>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결과 <표 4-4>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결과 변수 계수(t-값)상수 -1.1031(-3.48)*기업규모 0.8977(11.39)*기업특성수출액 0.1036(0.33)제품혁신 0.6088(2.95)*혁신 공정혁신 -0.0942(-0.37)전체혁신 0.3681(1.84)***주: ( )안은 t-Statistic *:1% 유의수준 **:5% 유의수준 ***:10% 유의수준3. 사물인터넷 도입에 따른 개선효과o 매출액 개선효과-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매출액 부분의 개선효과로 139개의 기업이 성과개선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음- 분석결과 2014년의 경우 평균 22.2%의 매출액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반면, 개선효과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7개 기업에 해당되었으며, 16개 기업은 성과개선 효과가 전년도 이하라고 응답함- 162 -[그림 4-6] 매출액 개선효과 응답기업 현황[그림 4-6] 매출액 개선효과 응답기업 현황[그림 4-7] 매출액 개선효과 분포[그림 4-7] 매출액 개선효과 분포 주) 범주형 응답결과의 중간값으로 평균값을 산출함 (20%미만10%, 20~40%미만30%, 40~60%미만50%, 60~80%미만70%, 80%이상90%)- 163 -o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내부프로세스 부분의 개선효과로 운영비 절감, 업무시간 단축, 생산능력 확대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함- 분석결과 운영비 절감은 평균 9.9% 개선되었다고 68개 기업이 응답함- 업무시간 단축은 평균 8.2% 개선되었다고 60개 기업이 응답함- 생산능력 확대는 평균 11.8% 개선되었다고 86개 기업이 응답함- 운영비 절감, 업무시간 단축, 생산능력 확대 등을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를 종합적으로 산정해보면 총 10%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그림 4-8]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그림 4-8]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 주) 내부프로세스 개선효과 산정을 위한 가중치는 각 지표별 1/3을 가중치로 적용함o 신제품 개발 개선효과- 사물인터넷 도입 전과 비교할 경우 2014년 신제품 개발개선효과로 평균 24.3% 개선되었다고 124개 기업이 응답함- 164 -[그림 4-9] 신제품 개발 개선효과 분포[그림 4-9] 신제품 개발 개선효과 분포 주) 범주형 응답결과의 중간값으로 평균값을 산출함 (20%미만10%, 20~40%미만30%, 40~60%미만50%, 60~80%미만70%, 80%이상90%)- 165 -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제1절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중앙정부 및 유관 기관의 관련 역할정립 및 정책수행 능력 확보o 사물인터넷의 가치 창출 극대화를 위해서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역할 정립 및 정책수행 능력 확보가 필수적- 사물인터넷을 거시적인 경제 발전 정책의 일부로 포함시켜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장려하는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고 관련 R&D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함- 최소 행정구역 단위에서 중앙정부에 이르기까지 공공 차원에서 사물인터넷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민 서비스 전반에 대한 정책마련 필요- 이 외에도 사물인터넷 활성화 및 활용촉진을 위해서는 주파수의 효율적 할당과 개인정보보호 정책 등 사물인터넷 도입 부작용에 대비하기 위한 관련 정책 및 규제 마련이 필요□ 사물인터넷 보안관련 정책 및 인프라 마련o 사물인터넷 수요용도 및 이슈현황 조사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해 우선 개발·구축되어야 할 우선 분야로 ‘보안 시스템 구축’이 59.0%로 가장 중요한 분야로 선정되었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14)- 이어서 서비스(45.7%), 네트워크(40.7%), 플랫폼(29.3%), 디바이스(25.0%), 안전관리(0.3%)의 순임- 1순위 응답에 한정하여 살펴보면 보안(35.7%), 네트워크(21.3%), 서비스(20.0%), 플랫폼(15.0%), 디바이스(7.7%), 안전관리(0.3%)의 순으로 나타났음- 166 - ․ (서비스) 개인, 산업, 공공부문의 다양한 정보와 편익제공을 위한 서비스개발 ․ (플랫폼) 누구나 서비스 개발·제공을 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 환경 제공 ․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활성화로 급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구축 ․ (디바이스) 스마트폰, PC, 스마트TV,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 개발 ․ (보안) 사물인터넷 활성화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 강화[그림 5-1] 사물인터넷 우선 개발 및 구축 분야 응답결과[그림 5-1] 사물인터넷 우선 개발 및 구축 분야 응답결과(n=300, 단위=%) 자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2014)o IoT 시스템 맞춤형 융합보안 체계화 필요- 정보‧물리적 보안의 융합 또는 보안기술이 IT융합산업에 적용되어 창출되는 ‘융합보안’ 활성화 및 이를 위한 정보보안 관련 조직 관리·감독 체계 일원화 필요- 현재, 국가적인 중요 사이버사고가 발생하면 국가정보원, 국방부, 미래부 등 범정부 차원에서 ‘민‧관‧군 합동대응팀’을 임시 소집해 대응 중- 미국의 국가안보부, EU 집행위의 정보사회미디어국·정보보안청, 일본의 정보보안센터(NISC) 등 사물인터넷 선진국들은 융합보안 포함 지식정보보안 관련 총괄기구를 - 167 -통해 규제‧지원 추진 중□ 사물인터넷 전문 인력양성 및 교육인프라 개선o 사물인터넷의 본격적인 산업화 지원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정책적 과제로는 전문 기술인력의 양성 및 지원이 50.7%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음- 이어서 전후방산업 및 관련 인프라 지원(41.7%), 규제 완화 등 시장친화적인 경쟁시스템 구축(30.7%), 시장 형성을 위한 표준 및 특허 강화(26.7%) 등의 순임[그림 5-2]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제[그림 5-2]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제 자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2014)- IoT 산업 인력양성을 위해 디바이스 산학연관 프로젝트 및 IoT 분야 석․박사급 우수인재 양성 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 ․ 사물인터넷 등 인터넷 신산업, ICT와 타 산업과의 융․복합 등 새로운 융합기술 및 서비스 분야에 대한 전문성 강화를 위해 새로운 교과목 개발․신설이 필요- 맞춤형 교육 시스템 강화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융합형 교수 인력에 대한 보강 지원체계 마련 ․ 산업체 전문가의 산학겸임교원채용으로 사물인터넷 분야의 전문교육 및 현장 실무교육 강화- 168 - ․ 사물인터넷 분야에 특화된 학과 개설 대학과 기능대학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교환교육 시행으로 산업인력 전문성 기능 강화 추진□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글로벌 생태계 조성o 모든 산업을 사물인터넷 관련 서비스로 제공하는 생태계 조정자 - 글로벌 제조사 등 대‧중소기업을 연결하고, 창조적 융합 서비스를 개발하여 중소기업 성장 및 대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 주도- 서비스 제공방식이 SI(System Integration)에서 클라우드 방식으로 변화하는 환경 하에서는 서비스의 보안, 신뢰성, 안정성 등의 확보를 위한 서비스 주도- ICT 기술의 융복합화를 통해 전통산업을 새로운 융합산업으로 전환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원으로 부상o 국내시장에서 검증된 서비스(디바이스 포함)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패스파인더 역할 수행 -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2013년 2조 2,827억원에서 2,022년 22조 8,2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Stracorp, 2013)- 2022년 전망치를 보면, 칩셋을 포함한 제품기기 시장은 10조 2,200억 원으로 44.8%, 애플리케이션/서비스 시장은 7조 5,400억 원으로 33%를 차지- 국내 사물인터넷 시장규모는 작지만 발전 가능한 분야로 검증된 서비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진출 지원- 169 -<표 5-1> 국내 사물인터넷 부문별 시장 현황 및 전망<표 5-1> 국내 사물인터넷 부문별 시장 현황 및 전망(단위 : 억원)자료: Stracorp, 2013.□ 사물인터넷 정책 추진의 구심점 마련o 정부 주도로 비영리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협업을 이끌어내는 정책이 필요- 독일은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인공지능센터의 리더십을 통해 산재돼 있는 요소기술을 종합하고 협업을 이끌어내면서 효율적으로 추진되고 있음- 반면 많은 국가에서는 개별 기술들이 구심점 없이 연구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추진력과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실정- 170 -o 대기업이 중심의 사물인터넷 생태계가 조성될 경우 중소 협력업체들이 참여하지 못하여 성과가 반감되는 경우가 발생- 정부는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동반 참여와 중․소기업이 관련 정책에서 제외되는 등 정책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기위한 조정자 역할 수행이 요구됨- 아울러, 독일의 경우와 같이 정부가 주도하고, 비영리 연구기관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냄과 동시에, 생태계 전반의 협업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정책적 고민 필요[그림 5-3] 제조 생태계의 협력 사각지대 사례 자료: 이정아⦁김영훈(2014)- 171 -
참 고 문 헌
참 고 문 헌국내 문헌김석현(2008), “한국기술혁신체제의 특성과 변화: 기업의 기술혁신과 성과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자료 2008-20.김수진 외 (2014),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전략 및 시사점』, KT경제경영연구소.성민현 외 (2014), 『스토리가 있는 IoT, ‘IoTainment’에 주목하라』, 디지에코 Issue&Trend 보고서(2014.7.18.)성태경(2003), “기업규모와 기술혁신활동의 연관성: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실증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5권, 제2호, pp.305-325.손원길(2010), “혁신투자, 혁신, 생산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CDM 모형을 중심으로”, 세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염흥열 (2014) 『ITU-T, 웹기반 공격 대응 기술 국제표준 채택 및 킬 스위치 국제표준으로 개발키로 합의』, ICT Stanard Weekly(2014.10),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규명 (2014) 『ITU-T SG13에서의 사물 인터넷 표준화』, ICT Stanard Weekly(2014.8),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임양수 외 『IoT 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 디지에코 Issue & Trend(2014.10.17.)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4), 『해외 ICT R&D 정책동향』, 동향보고서(2014년 04호).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4) 『IoT 전개 동향 및 주요 이슈』, 주간기술동향(1657호)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4.8) 『IoT 전개 동향 및 주요 이슈』, 2014 ICT Spot Issue(2014-6호)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4.9) 『미 교통부, 2016년 차량 간 통신 기능 의무화 추진』, 최신ICT동향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4) 『영국의 사물 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동향』, 해외ICT R&D정책동향(2014년 04호)조희진, 조근식(2013), “기술혁신의 영향요인 분석: 조직의 혁신역량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2권, 제4호, pp.165-195.- 17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영국 지적재산사무처, IoT 분야 특허 검토 보고서 발표』, ICT Issues Weekly(2014.8.29.)한국정보화진흥원 (2014.10)『EU, 최근의 사물인터넷 발전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의견서 발표』, 개인정보보호 주간동향(2014.10.10.)한국정보화진흥원 (2014.11), 『정보시스템감사통제협회(ISACA), 2014 IT Risk/Reward Barometer 결과 발표』, Internet & Security Biweekly(2014년 11월 2회차).황재식(1998), “연구개발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회계정보연구, 제10권, pp.129-142.홍원균 외 (2014) 『IoT시대,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맞선 글로벌 Telco의 대응 전략』, 디지에코 Issue&Trend(2014.12.9.)해외 문헌Chudnovsk, D., Lopez, A. and Pupato, G.(2006), “Innovation and Productivity in Developing Countries: A study of Argentine Manufacturing Firms’ Behavior(2996-2001)”, Research Policy, Vol. 35, pp. 266-288.Crepon, B., Duguet, E., and Mairesse, J.(1998), “Research Innovation and Productivity: An Econometric Analysis an the Firm Level”,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Vol. 7, pp. 115-158.Garthner (2014), “Gartner's Hype Cycle Special Report for 2014”Griffith, R., Huergo, E., Mairesse, J. Peters, B.(2005), “Innovation and Productivity Across Four European Countries”,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Vol. 22, pp.483-498.Loof, H., Heshmati, A.(2002), “Knowledge Capital and Performance Heterogeneity: A Firm-Level Innov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 76, pp.61-85.Loof, H., Heshmati, A., Asplund, R. and Naas, S.(2001), Innovation and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a Comparison of the Nordic Countries, SSE/EFI Working - 173 -Paper Series in Economics and Finance.Mairesse, J. and Mohnen, P.(2003), “R&D and Productivity: A Reexamination in Light of the Innovation Survey”, DRUID Summer Conference 2003, Copenhagen, Denmark, Working Paper.Masso, J. and Vahter, P.(2007),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a Catching-up Economy, UNU-MERIT.OECD(2005),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Paris.Schumpeter, J. A.(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 Capital, Credit, Interest, and Business Cycle,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Solow, R.(1956),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0, pp. 65-94.Symeonidis, G.(1996), Innovation, Firm Size and Market Structure: Schumpeterian Hypotheses and Some New Themes,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언론보도 자료중소기업신문(2014.7.4.), “MS, 사물인터넷 프로젝트 ‘올씬얼라이언스' 회원사로 합류”, (http://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723)Newstomato(2014.7.13.), “사물인터넷 보안, 네트워크 가시성 확보가 중요”,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83227)서울경제(2014.7.21.), “IT신시장 패권 경쟁… 열쇠는 합종연횡”, (http://economy.hankooki.com/lpage/it/201407/e20140721180928117700.htm)디지털데일리(2014.7.21.), “SK텔레콤·에릭슨, 5G 선행기술 ‘개인화셀’ 시연 성공”,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20620)보안뉴스(2014.7.25.), “사물인터넷 발목잡는 난제 BIG 3”,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2182&kind=3)- 174 -ITWORLD(2014.7.31.), “사물 인터넷, 수많은 취약점 있다”, (http://www.itworld.co.kr/news/88733)전자신문(2014.8.20.), “통신사 IoT 표준전쟁 시작...LGU+, 홈네트워크 IoT 통신규격 `Z-웨이브` 쓴다”, (http://www.etnews.com/20140819000269)아시아투데이(2014.8.21.), “보안 위협 커지는 사물인터넷 시장, 대책 마련 언제쯤?”, (http://www.etnews.com/20140819000269)미디어펜(2014.8.20.), “삼성전자, 잇딴 M&A로 사물인터넷 분야 역량 강화…‘스마트홈’ 성장 견인 기대”, (http://www.mediapen.com/news/articleView.html?idxno=44856)헤럴드경제(2014.8.26.), “미래부, 사물인터넷(IoT) 활용한 스마트콘텐츠 개발 활성화 지원”,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826000222&md=20140828004732_BK)미디어잇(2014.9.3.), “소니, 퀄컴 주도 ‘올신 얼라이언스' 진영에 합류”, (http://www.it.co.kr/news/article.html?no=2730023&sec_no=181)아주경제(2014.9.3) “삼성-LG-애플, 스마트홈 ‘스마트기기 패키지' 승부 ”, (http://www.ajunews.com/view/20140903161407984)머니투데이뉴스(2014.9.4.) “사물인터넷·인터넷금융 도입 장애물 걷어낸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090317412779346&outlink=1)한국경제(2014.9.11.) “이번엔 IoT·스마트홈…글로벌 전자업계 3차 표준大戰”,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91101861)디지털타임스(2014.9.10.) “인텔, IoT용 모듈 ‘에디슨’으로 IoT·웨어러블 ‘두마리 토끼’ 잡는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91002109932102002)ITWORLD(2014.10.6.) “구글, ‘URL 표준’ 사물 인터넷 개발 착수”, (http://www.itworld.co.kr/news/89801)아이뉴스(2014.10.10.) “KT, 아시아 9개 통신사와 함께 사물인터넷 협력”,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855055&g_menu=020200&rrf=nv)아이뉴스(2014.10.20.) “사물인터넷, 세계 최대 단말기 시장으로 성장”,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857256&g_menu=020600&rrf=nv)ZDNet(2014.5.29.) “반도체 업계, 폰→웨어러블로 눈돌려”,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529175442)- 175 -머니투데이뉴스(2014.11.5.) “구글과 특허공유… 스마트·사물인터넷 날개 달았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110507232586605&outlink=1)보안뉴스(2014.11.11.) “스마트홈 보안의 선결과제, 프라이버시 보호”,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3970&kind=3)전자신문(2014.11.11.) “애플-구글도 비콘이 미래”, (http://www.etnews.com/20141111000343)아주경제(2014.11.16.) “중국 사물인터넷 시장 2020년 5조 위안 넘어설 듯 ”, (http://www.ajunews.com/view/20141116153757361)조선비즈(2014.11.16.) “이통3社, 사물인터넷 연합군 결성에 속도 낸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1/16/2014111600976.html)파이낸셜뉴스(2014.12.17.), “위기의 제조업, 새 성장엔진은 ‘사물인터넷'”, (http://www.fnnews.com/news/201412171709540414)- 176 -저 자 소 개조 동 군 박 수 우․건국대 법학과 졸업 ․경희대 경영학과 졸업․현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책임연구원 ․현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선임연구원정 우 수․동국대 경제학과 졸업․동국대 경제학과 석사․동국대 경제학과 박사․현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책임연구원방송통신정책연구 14-진흥-110사물인터넷(IoT) 도입효과 분석 연구 2015년 2월 16일 인쇄 2015년 2월 16일 발행발행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발행처 미래창조과학부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정부과천청사TEL: 02-2110-2824Homepage: www.msip.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