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키워드
해양바이오신소재 기술개발사업
검색 페이지 목록
검색 결과 보고서내
70건
검색
Page 1...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최종보고서)201
Page 2...흥원장 귀하1. 본 보고서를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수행기간: 200
Page 4...황요 약 서총 괄 과 제 명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강릉원주대학교기 관
Page 5... 개발3. 개발결과 요약키워드 해양/
바이오
/신소재/융합기술/건강/환경해양천연물
Page 6... 필요함.○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해양
바이오
신소재의 발굴은 건강기능성 식품, 화
Page 8...모에 머무르고 있음.적용분야 ○ 해양
바이오
신소재 분야4. 기술 및 경제적 성과
Page 9...5,473백만원으로 나타났음.○ 해양
바이오
소재 생산 및 가공 기술로 지역 전
Page 10...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전체 해양
바이오
산업 시장의 45%는 미국이 차지하고
Page 12...가한 화장품(워시)○ 기타 개발 제품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검출 키트 어류 영양
Page 13...사업명 지방기술혁신사업총괄과제명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 과제번호 B000
Page 15...007.2.2 0 2차년도응용QCM
바이오
센서 시스템 12 재작 기술 및 센서
Page 16...2009.11.13 30 5차년도2.
바이오
센서에 사용되는 여러 분석물질의 검출
Page 18... 강릉지사 설립(2008년)○ (주)
바이오
트론 강릉공장 설립(2009년)○ (
Page 19... 한국식품연구원 강릉연구센터○ 한러
바이오
센터○ 독일 프라운호퍼 공정공학․포장
Page 20...만을 회(해양바이오,(김상무) (해양
바이오
집중하여 (2009.8.13)신소재
Page 21...[ 제 출 문 ][ 요 약 서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총괄과제제 1 장
Page 26...융합과 의료관광이 선정됨에 따라 해양
바이오
신소재 연구기반을 활용하여 생명ㆍ건강
Page 27...대학교에서 산학협력선도대학사업단,해양
바이오
BK21 사업단 등을 지정 받았다.
Page 28...성○ 세계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으로 인한 식량 부족,
Page 29...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해양
바이오
신소재 클러스터 사업단을 중심으로 이
Page 30... 분야이다.○ 강원도 영동권의 해양
바이오
신소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클러스터
Page 32...부가가치화에 활용이 가능하고 해양
바이오
자원의 추출에만 국한되어 사용되는
Page 34...략산업 및 차세대 핵심성장사업인 해양
바이오
신소재 분야의 산학연 네트워크를 통한
Page 41...센서, 유기물질 바이오센서, 그리고
바이오
센서용 마이크로비드 개발나. 2세부1
Page 43...발나. 2세부1) 과 제 명 : 해양
바이오
자원으로부터 기능성 소재 탐색2) 주
Page 47... 센서 칩 개발○ 다중 채널 QCM
바이오
센서 시스템 프로토 타입 개발○ 4종
Page 51...cess 기기 개발○ 해양조류 유래
바이오
에너지 기술 개발다. 3세부1) 과
Page 52... 연계한 영동 해양바이오기업과의 해양
바이오
산업 클러스터 구축나. 2세부1) 과
Page 53... 분야 등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인 Portable fieldbi
Page 54...안전성, 효율성에 대한 입증○ 해양
바이오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항비만 성분을
Page 57....03.156 1차년도 (재)강릉해양
바이오
진흥원 2006.03.157 1차년도
Page 58... 강릉지사 설립(2008년)○ (주)
바이오
트론 강릉공장 설립(2009년)○ (
Page 59... 한국식품연구원 강릉연구센터○ 한러
바이오
센터○ 독일 프라운호퍼 공정공학․포장
Page 61...007.2.2 0 2차년도응용QCM
바이오
센서 시스템 12 재작 기술 및 센서
Page 62...2009.11.13 30 5차년도2.
바이오
센서에 사용되는 여러 분석물질의 검출
Page 64... 4차년도 FUCO-AID (주)해원
바이오
테크 5(415-81-09497)조남
Page 65...(사업자등록번호)김병규23 5차년도
바이오
센서 시스템 (주)아모그린텍 0(22
Page 66...추출물 한승준48 6차년도 (주)서림
바이오
201(공정개발) (201-81-8
Page 67...출원: 1건마시와 오징어 빵(주)해원
바이오
테크 5 기술이전: 1건푸코이단 함유
Page 69...1건상표출원:2건, 등록:1건QCM
바이오
센서 키트기술이전: 1건(주)아모그린
Page 70...이전 및 기술료(주)아모그린텍 0 -
바이오
센서 시스템기술이전: 1건(주)아쿠아
Page 70...러스터구축사업)○ 과 제 명 :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 총사업기간 :
Page 72...규모로 추정할 수 있다.- 전체 해양
바이오
산업 시장의 45%는 미국이 차지하고
Page 73...되어 가는 추세를 보인다.지역별 해양
바이오
산업시장 성장률(단위: 백만불)CA
Page 74...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
바이오
소재 산업에서 건강기능 식품은 식품의
Page 75..., 매년 성장을 하고 있다.다. 해양
바이오
기능성 화장품산업(Cosmetic
Page 76...계에 2)있거나 사용하고 있는 해양
바이오
의약품은 약 50종이 있다.1) 한국
Page 77...출처 : 해양바이오정책지원센터, 해양
바이오
산업동향보고서, 2011.07)2)
Page 78...성화○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얻고 해양
바이오
제품만의 고기능성을 강조하여 지속적인
Page 80...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신소재 및 유효성분의 발굴이 중요하고
Page 87...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신소재 및 유효성분의 발굴에 중요한
Page 89...과를 가져올 해양천연물을 이용한 해양
바이오
산업은 기술집약적인 지식기반 산업으로
Page 90...들이 대부분으로 강릉원주대학교의 해양
바이오
신소재사업단이 생기면서 동해안을 중심
Page 94...품목의 제품화가 가능하다.1) 해양
바이오
성분을 함유한 1차 제형 개발
Page 95...나. 개발내용 및 개발범위1) 해양
바이오
성분을 함유한 1차 제형 개발가)
Page 97...소위탁과제1차 제형 개발(3종)해양
바이오
성분제형 안정성 실험일부 제형 제품
Page 99...추가하여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며 해양
바이오
성분이 부수적으로 효과를 더할 수 있
Page 100...다.스피어테크 기술연구소위탁과제해양
바이오
성분화장품 제형 개발 안정성 시험시
Page 153... 한다.바. 최종 제형 개발각 해양
바이오
성분 특성 및 컨셉에 맞는 주름개선
Page 157... 판단된다.2. 사업화 실적가. 해양
바이오
성분을 함유한 개발 제품 매출 실적
Page 164...어, 지난 8년간 강원 영동권의 해양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한 본 사업단의 역량
Page 182...산업진흥원에서는 강원 영동지역의 해양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하여 유관 기업 유치
Page 183..., 건조 기술은 유사한 재질의 해양
바이오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플랫폼
Page 243..., 건조 기술은 유사한 재질의 해양
바이오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플랫폼
Page 310...6034 중소기업0 2,500 (주)
바이오
메타 226-81-29312 중소기업
Page 311...81 중소기업0 2,100 (주)환경
바이오
214-87-01254 중소기업0
Page 312...9-82-03522 연구소0 0 해송
바이오
산업(주) 226-81-36093 중
Page 313...-81-32030 중소기업0 0 씨엔
바이오
텍 226-10-45082 중소기업0
Page 314...53 중소기업0 8,400 (주)서림
바이오
201-81-82623 중소기업
Page 315...0 4,800 (주)
바이오
트론 130-81-58608 중소기업
Page1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최종보고서)2013. 7. 31.총괄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세부주관기관 : (주)스피어테크(합)에스에이치해양수산개발(주)파마리서치프로덕트산업통상자원부
Page2
제 출 문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귀하1. 본 보고서를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수행기간: 2005.05.01. ~ 2013.06.30.)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2. 보고서의 내용을 관련 기관에 배포함에 동의합니다.2013. 7. 31.총 괄 주 관 기 관 : 강릉원주대학교세 부 주 관 기 관 : (주)스피어테크, (합)에스에이치해양수산개발,(주)파마리서치프로덕트세 부 참 여 기 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스에이치영어조합법인총 괄 주 관 기 관 장 : 이 형 원 (인)총 괄 주 관 책 임 자 : 김 상 무 (인)1세부과제책임자 : 이 경 식 (인)2세부과제책임자 : 이 서 해 (인)3세부과제책임자 : 김 익 수 (인)
Page4
1. 일반현황요 약 서총 괄 과 제 명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강릉원주대학교기 관 명 사업자등록번호 226-82-12220총괄주관기관산학협력단주 소 (210-702)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성 명 김상무 생년월일부 서 해양식품공학과 전 화총괄책임자직 위 교수 F A XE-mail 휴대전화총사업기간 2005년 05월 01일부터 2013년 06월 30일까지(98개월)사업기간당 해 연 도 2012년 07월 01일부터 2013년 06월 30일까지(12개월)지 방 비 주관기관 참여기관 합 계구 분국 비(단위: 천원)현금 현물 현금 현물 현금 현물 현금 현물1차년도 1,960,000 420,000 - 100,000 - 195,200 101,800 2,675,200 101,8002차년도 1,960,000 420,000 - 100,000 - 319,500 123,000 2,799,500 123,0003차년도 1,578,000 370,000 - 100,000 - 240,000 11,000 2,288,000 11,0004차년도 1,578,000 370,000 - 100,000 - 240,000 11,000 2,288,000 11,0005차년도 1,573,460 280,000 - 100,000 82,280 164,540 370,900 2,118,000 453,1806차년도 1,591,500 278,000 - 100,000 44,400 227,500 223,100 2,197,000 267,5007차년도 1,657,400 300,000 - 100,000 104,220 169,700 308,400 2,227,100 412,6208차년도 482,000 114,000 - 50,000 47,820 81,000 229,000 727,000 276,820합 계 12,380,360 2,552,000 - 750,000 278,720 1,637,440 1,378,200 17,319,800 1,656,920사업비(참여모두)업체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109,00 55,000 (주)스피어테크 이의형 227-81-07563 중소기업세부과제에스에이치수행기관67,000 29,040 우미화 226-81-27503 중소기업해양수산개발(※ 1차~7차 참여기관 (주)파마리서치정보는 부록1 참조)117,850 78,200 정상수 220-86-07450 중소기업프로덕트한국과학기술 정부출연72,250 55,960 문길주 209-82-03522연구원 연구소참여기업에스에이치(실시기업)0 10,800 이하영 226-81-38693 중소기업영어조합법인(※ 1차~7차 참여기업 정보는 부록1 참조)
Page5
2. 기술개발개요 ○ 해양바이오자원을 활용하여 유용물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약품․화장품 소재 및 제품 등을 개발○ 해양바이오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물질 발굴 및 기타 산업에 활용할 기술 개발3. 개발결과 요약키워드 해양/
바이오
/신소재/융합기술/건강/환경해양천연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고부가가치 제품 핵심기술개발해양천연물자원을 활용하여 유용물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약품․화장품 및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여 이를 최종목표통한 기업의 매출증대 및 고용창출을 유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 해양천연물자원을 이용하여 유용물질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였음.○ 개발 기술과 관련하여 국제 SCI 논문 134건, 학술진흥재단 논문80건을 게재하였으며, 국내 특허 134건, 국제 특허 15건, 실용신안 4건, 상표등록 11건 등을 출원․등록하였음.개발내용 및 결과 ○ 또한 개발된 기술을 관련기업에 40건 기술이전하여 282백만원의기술료 수입이 발생하였음.○ 분야별 개발제품은 일반 식품 및 기능성 식품 11종, 화장품 36종, 의료용기기 16종, 기타 1종 및 공정개발을 통한 개선제품2종이며, 개발 제품에 대한 매출은 현재 3,460백만원을 달성하였음.○ 강원도 전략산업은 춘천, 강릉, 원주의 세 지역을 중심으로 기술개발배경 구성되어 있으며 강릉광역권에는 해양생물, 신소재, 방재분야가핵심 산업으로 지정되어 있음.
Page6
○ 사업초기(2005년) 강원 영동지역에는 해양바이오신소재 분야에 약 180개 기업체가 운영되고 있었으나 대부분이 종업원 10인 이하의 소규모․영세기업이었음.○ 따라서, 산업기반이 약하여 인력유출현상을 유발시키고, 이는 다시 기업 유치를 어렵게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지역 경제를 침체시키는 경제의 악순환 구조가 형성되어 있었음.○ 이와 같은 악순환구조를 전환시키기 위한 연구기관 유치,기업지업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 사업, 기업 유치 등 다각적인 노력을 통합하여 지역혁신을 이룰 수 있는 해양바이오신소재 클러스터의 필요로 사업이 구성되었음.○ 세계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으로 인한식량 부족,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으로 발생하는 육지 식량 경작면적의 감소 등으로 해양천연물의 활용은 미래지향적인 첨단산업으로써의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기술의 선점이 요구되고 있음.○ 해양 생물(동물, 식물, 미생물)은 육상 생물과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서식함에 따라 화학구조와 생리활성 기전이 매우 독특한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해양천연물은 차세대 천연자원으로서 대두되고 있음.○ 특히, 강원지역은 청정해역을 가지고 있어 ‘해양 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에 있어서 원료수급의 측면에서 커다란 장점을 지님.○ 해양천연물은 지금까지 단순가공식품으로서의 생산에 국한되어 왔으나, 다양한 생체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있고, 그 작용 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환경 친화적 제품으로서의 응용 및 산업화에 대한 전망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해양바이오사업의 육성이 매우 필요함.○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해양
바이오
신소재의 발굴은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약외품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지향성 첨단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음.○ 최근 해조류(미세조류)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의 탐색과 생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있는데, 해조류는 채취에 의해 핵심개발기술의 의의 확보되지만, 미세조류는 주로 저밀도 배양에 의한 생리활성물질 탐색에 머물고 있음.○ 미세조류에서의 생리활성물질의 이용은 β-carotene과
Page8
서의 해삼 연구는 전체적으로 미흡한 편이며, 국내 연구의 대부분도 해삼 양식과 해삼의 생리활성 연구에 편중되어 있어 해삼가공 기술 개발 및 이를 통한 고부가화 연구가 절실한 실정임.○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건해삼의 제조 공정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진행 중이며, 열처리공정 중 단백질의 변성정도와 조직감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실험실적 규모에 머무르고 있음.적용분야 ○ 해양
바이오
신소재 분야4. 기술 및 경제적 성과산업재산권 논문게재 학술발표단계 국내 국제 실용신안 상표 국제학국내 국제진출원 등록 출원 등록 출원 등록 출원 등록 SCI 일반1단계 31 6 0 0 2 0 1 0 27 30 0 122 78기술적 성과2단계 30 13 4 0 0 1 4 2 29 47 4 112 1273단계 25 14 8 0 1 0 1 1 15 42 0 35 804단계 11 4 2 1 0 0 1 1 9 15 2 22 54총 계 97 37 14 1 3 1 7 4 80 134 6 291 339기술료 매출 창업화인력양성기술 기술 고용 실용화단계 (단위: (단위: (강릉 상품화지도 이전 창출 (시제품)박사 석사 학사백만원) 백만원) 광역권)1단계 190 11 0 3 34 34 - 8 7 1 20경제적 성과2단계 117 12 106.2 2 20 44 88.3 10 4 18 263단계 54 9 82.3 1 15 2 2,402.3 13 1 37 344단계 15 8 93.5 3 4 12 969.4 32 1 10 18총 계 376 40 282 9 73 92 3,460 63 13 66 98
Page9
5. 파급효과 및 기대효과※「해양바이오신소재 기술개발사업 성과분석 및 향후 추진방향 연구」용역 결과, (사)강원무역․창업연구원, 2012○ 본 사업을 통해 해양바이오신소재 산업관련 전문인력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었으며, 양성한 전문인력은 지역 내 구인 기업이 없어 주로 수도권으로 유출 되었던 것과 달리 본 사업의 R&D 개발사업에 직접 참여하여 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인력의 양석이 가능하여, 참여기업 및 관내 유관기관 등으로 연계 취업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기업의 전문인력 확보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음.○ 참여기업 분석- 참여기업의 매출액 현황 분석 결과 사업참여 년도에 비해 평균 약 174.5%의 매출증가를 나타냄.- 업체별 평균 고용 증가율은 사업참여 년도에 비해 평균 30.3%로 나타났음.파급효과 ○ 경제적 파급효과- 직접효과선행연구인 김관수(2009)에서 사용한 각 성과지표의 정량적인 가치분석 방법을 통한 해양바이오신소재기술개발사업의 직접적인 효과는 약 7,705백만원의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계측되었음.- 파급효과․직접효과에 대한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여 파급효과 산출․지역산업연관분석을 위해 한국은행 2010이 발행한 2007년 산업연관표 적용․해양바이오신소재 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49,647백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분석대상 R&D 총 투입액인 15,568백만원의 약 3.18배에 해당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남.․구체적으로 생산유발효과는 34,174백만원으로 계측되었으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5,473백만원으로 나타났음.○ 해양
바이오
소재 생산 및 가공 기술로 지역 전통 수산업을 첨단산업으로 전환시키고 해양조류 천연물 유래 신소재 개발은 제품의 기대효과 유일성과 희소성 가치를 통해 국내 뿐 아니라 세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신속한 시장선점과 사회적 요구에 따른 신수요 산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활
Page10
용이 가능할 것임.○ 향후 수산 가공 부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으로 수산 자원의 효율성 제고 및 신규사업영역 확대로 어민 소득 증대 및 신규 고용창출 기대 효과 유발○ 해양 바이오 자원 유래 유용물질 추출․공정개발로 보다 다양한 미세조류 유래 기능성 색소의 발굴과 함께 원료의 고부가가치화에 활용이 가능하고 해양바이오자원의 추출에만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닌 관련 추출기술을 확대 도입시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추출․이용에도 활용 가능○ 지연 기업에 필요한 기술 개발 및 이전을 통해 고용창출 및 매출 증대○ 해외 경쟁력이 있는 제품 생산으로 수출 활성화 및 수입 대체효과○ 현지 원료 공동생산 및 판매망을 통해 지역산업 발전 유발6. 해당기술, 제품의 시장 현황○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은 2000년 1조 1,800억 원에서 2005년 3조 5,490억 원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해 왔으며, 2010년에는 6조 7,910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음.○ 또한 수출은 2000년 4.6억 달러에서 2005년 15억 달러, 2010년 34.5국내시장 억 달러로 증가하여 2005~2010년 연평균 18.1%의 고성장을 보일것으로 전망되었음.○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바이오산업 기술 경쟁력은 선진국의 60~70%에 불과하며, 특히 핵심원천기술이 부족하고, 관련 기업들이 영세하여 우량기업이 없는 미약한 상황임.○ 해양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시장규모에 대한 자료는 조사방법과 견해에 따라 2조원~30조원으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해양바이오산업을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신흥 기술분야로 분류하고 있음.○ OECD 생명공학분과에서는 해양바이오산업 시장의 규모가 많게는 연간 10~12%, 보수적으로는 4~5% 서장하여 2011년에는 4조원(26억해외시장유로)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유럽과학재단(Europeanscience Foundation)도 이와 유사하게 해양바이오 국제 시장규모가 2010년 현재 4조 3,229억원(28억 유로)이며 원활한 산학협력을 통해연평균 12%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전체 해양
바이오
산업 시장의 45%는 미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시장의 비중은 전체의 1.5~2% 이하 정도의 작은 규모로 추정됨.
Page12
○ 기능성 화장품[바디 6종세트] [남성 스킨, 로션] [바디 세트]견운모를 이용한 해양광천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기능성 비누 [Derma-C] [CAVANOL]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감태 씨놀을 이용한 아토피 기능성 제품모자반 추출물이 함유된 불가사리, 톳 추출물을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화장품(미스트) 이용한 화장품(폼) 첨가한 화장품(워시)○ 기타 개발 제품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검출 키트 어류 영양 강화제
Page13
<연구개발사업 주요 연구성과>사업명 지방기술혁신사업총괄과제명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 과제번호 B0008559총괄주관기관명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주관책임자 김상무총수행기간 2005. 05. 01. ~ 2013. 06. 30. (98개월)지 방 비 참여기관 합 계국 비총사업비 현금 현물 현금 현물 현금 현물(천원)12,380,360 2,552,000 0 2,387,440 1,656,920 17,319,800 1,656,920한국과학기술연구원(판철호), (주)스피어테크(이경식),참여기관 (합)에스에이치해양수산개발(이서해), (주)파마리서치프로덕트(김익수),(참여기관책임자)에스에이치영어조합법인(이하영) 외(부록1 참조)성과지표 세부지표 성 과 비 고개발후 현재까지 34.6억원개발제품향후 3년간 매출 200억원매출액개발후 현재까지 200억원관련제품향후 3년간 매출 1,000억원국내 : -%개발후 현재까지국외 : -%개발제품사업화향후 3년간 매출 국내 : -%시장(2013~2016) 국외 : -%성과국내 : -%점유율개발후 현재까지국외 : -%관련제품향후 3년간 매출 국내 : -%(2013~2016) 국외 : -%세계시장현재 제품 세계시장 경쟁력 순위 -위경쟁력3년 후 제품 세계 시장경쟁력 순위 -위순위출원 97건국내등록 37건특허기술적출원 14건국외등록 1건성과국내 80건논문발표국외 140건개발 전 -명고용효과본 사업관련 직접적 개발 후 63명고용창출 실적파급효과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국산화율 100%40건기타 기술이전(기술료)(282백만원)
Page15
수입금액번호 기술이전 내역 대상국명 대상기관명 이전일시 발생차수(백만원)용존 오존수 및 3 오존가스를 이용한 대한민국 에코썸 2006.1.17 0 1차년도효율적 막오염 저감방법소입경 a-FeOOH를 4 이용한 Mn-Zn Ferrite 대한민국 태흥산업 2005.12.1 0 1차년도제작기술모래담체에 대한 산화철 5 대한민국 ㈜선진환경 2005.12.1 0 1차년도코팅기술6 Solid Modeling 설계기술 대한민국 이프로텍 2005.12.1 0 1차년도전기화학식 산소센서의 7 대한민국 ㈜센코 2006.2.10 0 1차년도전해질 개발과당올리고당첨가에의한8 대한민국 동호식품 2007.3.6 0 2차년도김치발효개선기술김치 발효시 천연물 9 첨가에 의한 발효속도 대한민국 동호식품 2007.3.6 0 2차년도조절기술10 TiO 의허니컴코팅기술 대한민국 대영케미칼 2006.9.4 0 2차년도2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11 산화티탄 필터기술의 대한민국 대영케미칼 2007.2.2 0 2차년도응용QCM
바이오
센서 시스템 12 재작 기술 및 센서 칩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8.6. 0 3차년도제작 기술푸코에이드 제품개발 및 ㈜해원바이13 대한민국 2009.4.29 0 4차년도판매 오테크해삼및 고추냉이무 추출물을 이용한 씨엔씨바이14 대한민국 2009.4.24 5.76 4차년도제품개발 관련 기술 및 오텍노하우오징어육의 효소분해에 HUDEM15 의한 기능성소재 및 그 대한민국 2009.4.16 0 4차년도(휴뎀식품)제조방법골다공증 개선에 유효한 16 무기질과 당의 배합조성 대한민국 ㈜파나시아 2009.2.8 9.12 4차년도및 비율다공성 코디어라이트 17 세라믹 허니컴 및 그 대한민국 (주)써모니크 2009.4.16 0 4차년도제조방법SC첨가7075고강도알루미늄합금제조/18 대한민국 ㈜임동 2009.5.6 7.32 4차년도Sc첨가7075고강도알루미늄합금의방향성응고이산화탄소 ㈜대진환경19 제어용입상(pellet)형 대한민국 2009.5.6 0 4차년도개발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
Page16
수입금액번호 기술이전 내역 대상국명 대상기관명 이전일시 발생차수(백만원)20 미세진공기포발생기 대한민국 ㈜이프로텍 2009.4.30 0 4차년도철코팅 불가사리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21 철코팅 불가사리 및 상기 대한민국 그린텍 2009.4 0 4차년도철코팅 불가사리를 중금속 제거제로 사용하는 방법QCM 바이오센서 시스템 22 상품화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9.4.27 10 4차년도기술-기술이전합의서지질을 이용한 표면화학 23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9.4.27 14 4차년도기술미세조류 추출물 함유 ㈜아쿠아틱24 수산양식용 동물먹이생물 대한민국 2010.4.23 1.68 5차년도피드영양강화제 개발미세조류 고밀도 배양 25 광생물반응 개발 관련 대한민국 ㈜바이오트론 2010.4.30 0 5차년도기술 및 노하우감태 유래 씨놀과 푸코이단의 혼합물을 26 대한민국 라이브 켐㈜ 2010.6.3 8.25 5차년도함유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조성물1.분석물질의 검출 방법 및 장치27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9.11.13 30 5차년도2.
바이오
센서에 사용되는 여러 분석물질의 검출 방법비소성 황토 벽돌을 ㈜지크리28 포함한 고화제 기술 및 대한민국 에이티브 2010.3.23 0 5차년도그 응용 제품 코리아미세조류 유래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리스토어29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대한민국 2011.6.15 5 6차년도랩스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미세조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30 대한민국 대상㈜ 2011.6.30 20 6차년도천연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감태(Ecklonia cava)유래 마이톨과 fucoidan의 3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대한민국 라이브켐㈜ 2011.6.15 16 6차년도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ge18
5. 사업화 계획 및 매출실적항 목 세부 항목 성 과사업화 소요기간(년) 2년소요예산(백만원) 5,306현재까지 3년후 5년후예상 매출규모(억원)34.6 200 1,000사업화 단위(%) 현재까지 3년후 5년후계획시장점유율 국내 - - -국외 - - -향후 관련기술, 제품을 응용한 개발 기술에 대하여 지속적인 제품화를 진행할 계획임.타 모델, 제품 개발계획(단위 : 억원) 현재 3년후 5년후무역수지수입대체(내수) - - -개선효과수 출 2.4 50 2006. 고용 창출항목 세부 항목 성 과연구인력 -명개발 전생산인력 -명고용효과연구인력개발 후 63명생산인력7. 기타 성과1) 사업단 운영장비세 워 과제 Cluster 컨 전심포 실무 운영 도입 커넥트년도 MOU 미 크 실행 기관 설 시지움 위원회 위원회 심의 랩나 샵 위원회 협의회 팅 회위원회1단계 15 7 35 2 44 33 5 3 2 0 0 02단계 3 5 18 4 59 19 5 4 3 20 1 13단계 9 14 30 1 35 37 4 4 0 9 3 34단계 1 6 10 0 29 11 3 1 0 18 2 5총계 28 32 93 7 167 100 17 12 5 47 6 92) 기업 및 연구소 유치가) 기업 유치○ (주)아모그린텍 강릉지사 설립(2008년)○ (주)
바이오
트론 강릉공장 설립(2009년)○ (주)리스토어랩스 창업(2009년)○ (주)파마리서치프로덕트 강릉공장 설립(2013년)
Page19
나) 연구소 유치(강릉과학산업단지)○ 한국식품연구원 강릉연구센터○ 한러
바이오
센터○ 독일 프라운호퍼 공정공학․포장연구소3) 국제 협력 연구○ (4차, 5차년도) 러시아 태평양생유기화학연구소(PIBOC) 연구 참여○ (6차년도) 캐나다 University of Saskatchewan 연구 참여
Page20
8. 변경이력 (있을 경우 기재)- 평가위원회/운영위원회를 포함한 사업변경내역을 연차별로 기재한다.(사업목표 및 내용, 주관기관, 위탁기관, 총괄책임자, 사업비 변경 등)과제명 주관기관 구 분 변경 전 변경 후 변경사유 승인근거(년도) (책임자)사업총괄 사업총괄 해양바이오연구내용 강릉원주대 연구내용 관련 평가위원변경사업목표 및 내용 5차년도 학교 변경 과제만을 회(해양바이오,(김상무) (해양
바이오
집중하여 (2009.8.13)신소재 연구) 사업 수행연구)3-5세세부 3-5세세부관동대학교 과제책임자 과제책임자 과제책임자 ITEP 승인3차년도(권오흥) 변경 변경 휴직 (2008.4.3)(권오흥) (이승목)평가위원1-6세세부 1-6세세부회과제책임자 과제책임자 과제책임자 (2008.7.28),강원대학교 및 참여기업 및 참여기업기 타 4차년도 장기해외파(장기효) 변경 변경견 운영위원(장기효, (손은화,회제일수산) 파나시아)(2008.9.11)1세부 1세부 해당 (주)스피어 관리기관 과제책임자 과제책임자 과제책임자7차년도 테크 승인변경 변경 의 기업 (전종택) (2012.1.10)(전종택) (이경식) 퇴사※ 승인 근거란에는 사안별로 지식경제부, 평가위원회, 전담기관, 관리기관, 운영위원회, 장비도입심의위원회, 임의집행 등을 기재※ 별도의 승인절차없이 시행 또는 집행한 경우 운영요령 및 사업관리지침의 해당 규정을 적용함.
Page21
목 차[ 제 출 문 ][ 요 약 서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총괄과제제 1 장 서론 제 1 절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필요성 25제 2 절 국내 ․ 외 관련 기술의 현황 29제 3 절 기술개발 시 예상되는 기술적 ․ 경제적 파급 효과 31제 2 장 기술개발 내용 및 방법제 1 절 최종 목표 및 평가 방법 33제 2 절 단계 목표 및 평가 방법 34제 3 절 연차별 개발 내용 및 개발 범위 40제 3 장 결과 및 사업화 계획제 1 절 연구개발 최종 결과 56제 2 절 연구개발 추진 체계 69제 3 절 시장 현황 및 사업화 전망 71부록 1. 참여기관 및 기업 목록 307부록 2. 지식재산권 315부록 3. 논문 325부록 4. 학술발표 351부록 5. 결과활용 보고서 409
Page26
제 1 절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필요성1. 강원도 지역산업에서의 중요성○ 강원도 지역 발전 목표 : 생명과 바이오를 테마로 기존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하고 지식기반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생명ㆍ건강산업 기반 구축 및 경제 선진도시 건설’구축○ 강원도 지역 발전 방안- 강원도 청정 자연환경의 활용과 지연산업 육성을 통한 지식기반산업인프라의 구축 및 연관 산업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생명ㆍ건강 산업 지역개발체계 확립- 강원도 전역을 개발하는 종합개발계획인 3각 테크노밸리 뉴-스타트 발전전략인 4권역 8허브 7벨트를 통한 지역전략산업 육성○ 강원도 전략산업은 춘천, 강릉, 원주의 세 지역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릉광역권에는 해양생물 산업, 신소재 산업, 방재 산업이 핵심 산업으로 지정되어 있다.○ 5+2 광역경제권에서 강원도의 선도 산업으로 의료융합과 의료관광이 선정됨에 따라 해양
바이오
신소재 연구기반을 활용하여 생명ㆍ건강 중심 선도 산업 분야를 지원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2. 강릉광역권 지역산업에서의 중요성○ 강릉시 발전목표
Page27
- 지연산업의 구조개편을 통해 경쟁력 있는 지식기반형 제조업을 육성 발전시키고 활용 가능한 잠재토지의 입지적 우위성과 성장가능성을 바탕으로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여 산업구조 고도화- 해양생물 및 해양신소재 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집적화하고 미래지향적 선도 산업으로 육성- 고부가가가치 첨단 산업인 해양바이오신소재 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혁신역량을 결집하여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 강릉 광역권은 강릉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해양생물 벨트, 남서쪽으로는 신소재 벨트가 형성되어 있다.3. 지역적 여건○ 강원 영동지역에는 해양바이오신소재 분야 약 180개 기업체가 주력 산업을 이루고 있으나 대부분 규모가 영세하여 산업 기반이 약하다.○ 취약한 산업구조는 인력유출 현상을 유발시키고, 이는 다시 기업 유치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지역 경제를 침체시키는 경제의 악순환 구조가 형성됨.○ 이와 같은 악순환 구조를 선순환 구조로 전환시키기 위해 연구기관 유치, 기업지원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 사업, 기업 유치 등 다각적인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연구 기관 유치 : 천연물, 식품소재, 환경정화를 주 연구 분야로 하는 KIST 강릉 분원 및 한국식품연구원 해양바이오연구단, 독일 브라운오토연구소 식품포장가공연구소, 러시아 과학연구소 한국분소 등이 유치되었으며, 현재 요업기술원, 화학연구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기업 지원 인프라 : 강원 테크노파크를 비롯하여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이 해양바이오 분야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인력 양성 : 지역 핵심 산업에 맞춰 강릉원주대학교에서 산학협력선도대학사업단,해양
바이오
BK21 사업단 등을 지정 받았다.
Page28
○ 이와 같은 지역적인 여건을 통합하여 지역혁신을 이룰 수 있는 해양바이오신소재 클러스터가 필요하다.○ 현재 해양바이오신소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강릉과학산업단지에 기업의 입주가 진행되고 있다.○ 강릉과학산업단지 입주 업체의 정착과 중견기업 추가 유치를 통해 강릉과학산업단지를 활성화시키고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기업을 중심으로 연구역량을 결집시키고 연구비를 투입하여 영향력이 큰 사업화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하다.4. 해양 바이오신소재 산업의 중요성○ 세계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으로 인한 식량 부족,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으로 발생하는 육지 식량경작면적의 감소 등은 육상의 식물 유래의 신소재는 한계가 있음을 제시해 주며 해양천연물의 활용은 미래지향적인 첨단산업으로써의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기술의 선점이 요구되고 있다.○ 고지대가 많아 경작면적이 적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지리학적 환경은 해양천연물의 적극적인 활용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해양 생물(동물, 식물, 미생물)은 육상 생물과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서식함에 따라 화학구조와 생리활성 기전이 매우 독특한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는 특성을 가짐. 이러한 이유로 해양 천연물은 차세대 천연 자원으로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양생물 자원이 풍부한데, 특히 해조류의 한 해 생산량은 80만 톤으로서 이는 전 세계 해조류 생산량의 1/5을 차지하는 막대한 양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해조류 생산과 섭식을 많이 하고 있다. 따라서 해조류를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며 이
Page29
의 연구개발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강원지역은 청정해역을 가지고 있어 ‘해양 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에 있어서 원료수급의 측면에서 커다란 장점을 지닌다.○ 해양천연물은 지금까지 단순가공식품으로서의 생산에 국한되어 왔으나, 다양한 생체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있고 그 작용 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환경 친화적 제품으로서의 응용 및 산업화에 대한 전망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해양바이오산업의 육성이 매우 필요하다.○ 해양생물은 종의 다양성과 더불어 진화 과정의 독자성, 해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생장과 대사 등의 요인에 의해 그 생리 활성과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이 특수하며 기존 육생생물이 생산⋅보유할 수 없는 생체분자들과 화학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신소재 및 유효성분의 발굴에 중요한 자원다.○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해양바이오신소재의 발굴은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ㆍ의약외품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지향성 첨단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해양 생물(동물, 식물 등)을 가공하고 나온 부산물은 유기 액체 비료로 활용하여, 화학비료 및 농약 남용에 따른 부작용, 집중 축산에 의한 환경오염, 그리고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 등의 위협에 의하여 대두되고 있는 친환경 농업에 기여할 수 있다.5. SWOT 분석○ 해양 바이오 분야는 지자체의 강한 의지, 풍부한 인프라, 연구인력 양성 프로그램 등이 잘 갖춰져 있고 건강 및 미용,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해양
바이오
신소재 클러스터 사업단을 중심으로 이와 같은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 첨단 미래 전략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Page30
6. 해양바이오신소재 산업 클러스터의 당위성○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고 삼면이 해양으로 둘러싸여 있어 해양 바이오자원의 활용이 쉬우나 세계적으로 집중되고 있는 해양바이오자원의 연구와 관심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하였다.○ 그러나 해양바이오신소재 산업은 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환경 친화적 액체 비료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분야이다.○ 강원도 영동권의 해양
바이오
신소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클러스터 구축은 기존의 지연산업 및 인프라를 바탕으로 사양되고 있는 수산생물 산업을 경쟁력 있는 지식기반형 제조업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지자체의 전략에 기초를 두고 강릉과학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Page32
제 3 절 기술개발 시 예상되는 기술적․경제적 파급 효과○ 해양바이오 소재 생산 및 가공 기술은 지역 전통 수산업을 첨단산업으로 전환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또한, 해양조류 천연물 유래 신소재 개발은 제품의 유일성과 희소성 가치를 통해 국내 뿐 아니라 세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신속한 시장 선점과 사회적 요구에 따른 신수요 산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향후 수산 가공 부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으로 수산 자원의 효율성 제고 및 신규 사업영역 확대로 어민 소득 증대 및 신규 고용창출 기대 효과가 예상된다.○ 다양한 수입 대체 효과(기능성 식품, 화장품, 의약품, 가공 해삼제품, 조경수, 화훼용, 과수용으로의 액체비료 등)를 기대할 수 있다.○ 해양 바이오 자원의 유래 유용물질 추출 공정개발로 보다 다양한 미세조류 유래 기능성 색소의 발굴과 함께 원료의 고부가가치화에 활용이 가능하고 해양
바이오
자원의 추출에만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닌 관련 추출기술을 확대 도입시켜 이외의 기능성 물질의 추출의 이용에도 활용 가능하다.○ 어류정소를 대량으로 추출하여 여러 기능성 식품, 다른 산업적 첨가제, 그리고 의약품 소재로 개발하기위한 기초를 마련하게 되어 고순도 및 고농축 프로타민 추출물 자체를 건강 기능 식품으로 가공 판매가 가능하다.○ 전통적으로 식품 및 약재로 사용해 온 해삼의 고품질 가공 제품 개발로 해삼 가공 및 양식기술 발전으로 대량 생산된 해삼의 고부가 가공제품의 사업화가 가능하므로 외부 인프라 유치 및 새로운 벤처산업의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 및 지역 브랜드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오징어 부산물과 비식용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유기 액체비료 소재 개발기술 확보 가능으로 환경 보호 및 친환경 농업 창출이 기대된다.○ 산업재산권(특허 등)을 확보함으로써 기술료 수입이 창출 될 것이다.○ 기술개발을 통해 강릉 과학산업단지, 동해 북평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에 관련 기업을 유치하고 사업에 참여시킴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증진 효과를 볼 수 있다.○ 혁신적인 기술을 확보하여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재)강원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등을 통해 벤처 기업 창업이 활성화 될 것이다.
Page34
제 1 절 최종 목표 및 평가방법1. 사업의 목표강원도 전략산업 및 차세대 핵심성장사업인 해양
바이오
신소재 분야의 산학연 네트워크를 통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전․사업화를 추진하여 과학기술혁신역량 강화, 연구기관 및 기업체 상호협력 네트워크 강화, 지역 산업구조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등 지역산업 발전을 도모한다.2. 정량적 목표(단위: 건)논문 산업재산권 기술단계별 기업화 상품화국내 국제 기술 기술 기술료국내 국제(학진) (SCI) 지도 이전 (백만원)1단계 46 42 23 - 162 4 40 5 102단계 48 42 27 - 170 12 210 6 143단계 18 35 22 5 40 9 100 2 154단계 24 40 25 6 80 10 100 3 30계 136 159 97 11 452 35 450 16 69
Page41
제 3 절 연차별 개발 내용 및 개발 범위1. 1차년도가. 1세부1) 과 제 명 : 바이오센서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최석정)3) 개발내용○ 수산물 안정성 확보용 바이오센서, 환경감시용 가스 센서, 유기물질 바이오센서, 그리고
바이오
센서용 마이크로비드 개발나. 2세부1) 과 제 명 : 기능성 해양복합신소재 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양은익)3) 개발내용○ 기능성 인공어초 재료의 다양한 특성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어초의 성능 및 활용성 검증○ 해양환경 및 어초의 투하방법과 내구성, 해양생물 종에 따른 생활공간으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여 기능성 복합신소재 인공어초의 연안관리 효율성을 높이며 해양환경 복원 및 해중림 조성을 위한 최적의 기능성 복합신소재를 개발다. 3세부1) 과 제 명 : 신소재 촉매 개발 및 응용 수처리 공정 실용화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김종오)3) 개발내용○ 청정지역의 환경보존을 위한 신소재 촉매 개발 및 저감 시스템 개발라. 4세부1) 과 제 명 : 해양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소재 및 기능성 식품 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신일식)3) 개발내용○ 해양미생물유래 생리활성소재 개발 및 상용화○ 해양자원생산성 증대를 위한 기능성 먹이생물 및 사료개발○ 해양자원유래 생리활성소재 개발 및 상용화○ 생리활성소재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 및 상용화○ 수산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능성물질 개발 및 상용화○ 신물질 창출에 필요한 신물질 탐색기술을 선진국 대비 70% 이상으로 높임마. 5세부1) 과 제 명 : 환경친화적 재료공정 및 기능재료의 개발2) 주관기관 : 강원대학교(석명진)
Page43
2. 2차년도가. 1세부1) 과 제 명 : 해양바이오자원으로부터 건강기능성식품 및 환경 친화적 향장제품 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정동화)3) 개발내용○ 해양바이오자원 유래 유용성분의 건강기능 활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환경친화성 향장제품 개발○ 해삼 및 고추냉이무의 향균, 항산화 물질을 이용한 멀티기능성 천연화장품 및 건강기능 해수두부 제조기술 개발○ 동해안 특산 수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향장소재 및 미용식품 개발○ 다시마로부터 기능성 다당류 및 정미성분의 효율적 추출공정 개발○ 골다공증유발 쥐 동물모델을 이용한 해양유래 물질의 효능 확인○ 패류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나. 2세부1) 과 제 명 : 해양
바이오
자원으로부터 기능성 소재 탐색2) 주관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엄병헌)3) 개발내용○ 강원지역해양천연물로부터 HTSEB시스템 구축을 통한 생리활성 기능성 천연물 소재 탐색○ 해양자원으로부터 노화억제 및 노인성질환 예방 기능성소재 및 제품개발○ 해양자원(키틴 및 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 및 기능성 소재 개발○ 해양생물자원을 이용한 물성 및 생리기능 소재화 기술개발다. 3세부1) 과 제 명 : 인프라구축사업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박흠기)3) 개발내용○ 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를 연차적으로 구축하여 보다 편리하고 실용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구입장비 : 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 detector- 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 photodiode의 장착으로 인해 식품 및 화장품 주요 구성 분자들의 absolut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분자의 size(radius gyration), second virial coefficients 측정가능- 분자량의 측정범위는 분자량 1,000이하와 수 ㎛범위 까지 측정가능-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와 연결하여, 분자량 분포, 분자의 size andconformation, 분자의 polydispersity 측정 가능라. 4세부1) 과 제 명 : 환경정화용신소재 및 응용공정 개발
Page47
○ 폐기물 특성을 고려한 고형제 설계 및 제작기술 개발○ 폐 콘크리트의 재활용 기술 확보○ Bottom-Ash이용한 콘크리트 재활용 기술 개발카. 3-4세부1) 과 제 명 : 환경친화적 재료공정 및 기능재료의 개발2) 주관기관 : 강원대학교(석명진)3) 개발내용○ 국산 무연탄과 유기성폐기물을 원료로하는 합금철용 코크스의 제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우수한 용접성을 갖는 친환경 고강도 알루미늄합금 소재의 개발○ 이산화탄소 분리 및 분해를 위한 기능성 소재개발 및 회부 이산화탄소의 에너지변환○ 수질정화를 위한 진공미세기포 발생기의 개발타. 3-5세부1) 과 제 명 : 해양신소재 부품개발 및 응용2) 주관기관 : 관동대학교(권오흥)3) 개발내용○ 셀룰로스 파이버를 이용한 붕소제거용 전자이온교환수지 시소재를 이용하여 flow rate 10~20BV/h로 해양심층수내에 용존하는 4.9mg/l(정동진해양심층수기준)농도의 붕소를 0.3mg/l이하로 제거하는 성능을 갖는 붕소제거용 시스템의 개발○ 소, 돼지, 참치 등의 뼈로부터 Hydroxyapatite 추출하고 그 추출된 물질을 이용하여 환경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응용소재 개발○ 건축물의 전자파 차폐 신소재 개발○ 전자파 차폐/흡수 성능의 응용 연구분야 개척파. 4세부1) 과 제 명 : 환경 유해 미생물 다종 동시 검출용 바이오센서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최석정)3) 개발내용○ 초정밀/초소형 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 복합 환경 미생물 감시 센서 개발○ 어에리 센서 칩 개발○ 다중 채널 QCM
바이오
센서 시스템 프로토 타입 개발○ 4종류 병원균에 대한 항체 개발○ 4개의 전극을 갖는 어레이 QCM 개발
Page51
○ 미립화된 견운모의 표면처리 기술 및 캡슐화 기술을 개발하고 캡슐화된 과립견운모를 이용하여 환경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응용소재를 개발○ 유해중금속제거 및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견운모 미쇄분 제조와 이를 이용한 기능성 견운모 비누의 상용화○ 마이크로파용 신소재 기판 개발○ 마이크로파용 신소재 공진기, 필터 개발파. 4세부1) 과 제 명 : 환경 유해 미생물 다종 동시 검출용 바이오센서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최석정)3) 개발내용○ 초정밀/초소형 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 복합 환경 미생물 감시 센서 개발○ 어에리 센서 칩 개발○ 4가지 병원균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칩 개발○ 위 센서칩을 적용할 수 있는 다 채널 바이오센서시스템 개발5. 5차년도가. 1세부1) 과 제 명 : 해양바이오자원으로부터 HTSEB시스템을 활용한 항피로(항노화)식품소재 개발2) 주관기관 : 한국과학기술원(엄병헌)3) 개발내용○ 강원지역 해양천연물로부터 HTSEB(High throughput structure elucidation/bioassay) 을 활용한 건강 관련 항피로(항노화) 기능성 식품 및 소재 개발○ 항피로(항노화) 시품 소재 개발○ 건강기능성을 가지는 일반식품/조미식품의 개발나. 2세부1) 과 제 명 : 해양조류를 활용한 유용물질 상용화 기술 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김상무)3) 개발내용○ 해양조류 유래 생리활성물질 상용화 기술(식품, 화장품, 항균제 및 양어사료)개발○ 미세조류 맞춤형 Bio-process 기기 개발○ 해양조류 유래
바이오
에너지 기술 개발다. 3세부1) 과 제 명 : 감태 씨놀과 수용성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항노화 및 항당뇨/항비만생리활성 증진과 기능성 제품 개발
Page52
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유상권)3) 개발내용○ 감태 씨놀과 수용성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항노화 및 항당뇨/항비만조절 생리활성 증진과 기능성 제품 개발○ 감태 유래 기능성 소재들의 혼합에 따른 물성 및 항산화/항노화 연구○ 기능성 혼합 소재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최적의 혼합비율 선정○ 최적의 혼합비율을 가지는 새로운 기능성 복합소재 개발○ 복합 신소재를 바탕으로 항산화/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미백,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개발마. 4세부1) 과 제 명 : 질병 진단 및 식품 검사용 바이오센서 상용화 기술 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최석정)3) 개발내용○ 액체 시료를 측정하는 고감도 다 채널 바이오센서와 기체 상태의 유기화합물을 분석하는 e-nose를 개발하여 질병 진단 워크스테이션, 식품 검사 워크스테이션,환경 모니터링 워크스테이션 등을 상용화 함.○ 식중독균 검출 센서 칩 개발 및 식품 시료 전처리 방법 개발○ 혈청 단백질 수용체 및 센서 칩 개발○ 가스센서 표면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신호분석○ TiO 나노튜브의 최적형상 및 표면 제어2○ PMN-PT 제조 및 전극 코팅 기술 개발6. 6차년도가. 1세부1) 과 제 명 : 해양바이오자원으로부터 항피로 식품소재 개발2) 주관기관 : (주)풀무원홀딩스(김태석)3) 개발내용○ 강원지역 해양천연물로부터 건강 관련 항피로(항노화) 기능성 식품 및 소재 개발○ 동해안 해양생물소재를 활용한 해양브랜드식품의 개발- 영동해양 바이오기업과 연계한 해양생물소재의 브랜드화- 풀무원과 연계한 영동 해양바이오기업과의 해양
바이오
산업 클러스터 구축나. 2세부1) 과 제 명 : 해양조류를 활용한 유용물질 상용화 기술 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김상무)3) 개발내용
Page53
○ 해양조류(미세조류 및 거대조류) 유래 생리활성물질 상용화 기술(식품, 화장품,항균제, 천연물의약품) 개발○ 기존 원료물질(Fucoxanthin) 독성실험, 대량생산, 상품화 기술개발○ 미세조류 고밀도 배양 및 특정 생리활성물질 고농도 배양기술○ 미세조류 유래 유용물질을 이용한 식품 및 화장품○ 해양조류 및 해양 방선균 유래 유용물질을 이용한 항균제, 항알러지 및 항생 물질 개발○ 적조 미세조류 유래 생물독소(Biotoxin)작용기구 구명 및 안전성 검사, 구조 분석○ 해양조류 유래 유용물질을 이용한 천연물 의약 선도물질 개발다. 3세부1) 과 제 명 : 감태 씨놀과 수용성 추출물을 활용한 항산화/항노화 및 항당뇨/항비만생리활성 증진과 기능성 제품 개발2)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유상권)3) 개발내용○ 감태 씨놀과 수용성 추출물 활용 항산화/항염증 생리활성 증진과 항산화 기능성 제품 및 항염증 topical 제품 개발○ 감태 씨놀과 푸코이단의 혼합소재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 조사○ 마우스의 혈액학적 특성 및 항산화효소의 변화를 관찰하여 감태 씨놀과 푸코이단의 혼합소재에 의한 항산화/항염증활성 평가○ 감태 씨놀과 푸코이단의 혼합소재의 rheological properties 연구○ 감태 씨놀과 푸코이단의 혼합소재의 대량 생산에 따른 용해성 및 processingoptimization 연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Topical 제품 각 1건 개발 및 판매마. 4세부1) 과 제 명 : 질병 진단 및 식품 검사용 바이오센서 상용화 기술 개발2) 주관기관 : (주)아모그린텍(송용설)3) 개발내용○ 범용 바이오센서인 High-performance biosensor(HP biosensor)와 Automatedhigh-performance biosensor (AHP biosensor) 및 센서 칩 제품화○ 식품과 의료 분야 등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인 Portable fieldbiosensor (PF biosensor) 와 High-throughput field biosensor (HTF biosensor)및 검사 키트 제품화7. 7차년도가. 1세부
Page54
1) 과 제 명 : 해양천연물을 활용한 경피흡수 및 피부조직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2) 주관기관 : (주)스피어테크(전종택)3) 개발내용○ 각질 제거 전용 화장품 개발 :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특허 기술인 파우더 성상 또는 그레뉼 타입으로 각질제거에 효과적인 효소를 이용한 클렌징 그래뉼 화장품 개발○ 피부노화개선용 화장품 개발 : 해양천연물로부터 얻어진 지표 성분을 약물전달체계에 응용되고 많이 사용되고 유효성분을 최적화할 수 있고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리포좀을 이용한 마이크로에멀전포뮬라 제형의 화장품 개발○ 아토피 화장품 개발 : 녹조식물로부터 얻어진 성분 중 면역 기능이 뛰어난 지표 성분을 함유하고 이에 피부 지질과 유사하며 피부 보호 능력이 뛰어난 리퀴드크리스탈 포뮬라를 적용한 화장품 개발나. 2세부1) 과 제 명 : 해조류에서 추출한 Fucoxanthin 성분의 항비만 제품 개발2) 주관기관 : (주)리스토어랩스(임태준)3) 개발내용○ 해양 바이오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항비만 성분의 함유량이 높고 고수율로 얻을 수 있는 대량 생산공정 개발○ 개발 생산된 고기능 항비만 성분의 기능성 소재와 이를 이용하여 개발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기능성을 동물실험을 통해서 분석 비교를 통해서 제품의 안정성, 안전성, 효율성에 대한 입증○ 해양
바이오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항비만 성분을 함유한 고 기능성 화장품 개발다. 3세부1) 과 제 명 : 고품질 염장 건해삼 제품 개발 및 산업화2) 주관기관 : (합)에스에이치해양수산개발(이서해)3) 개발내용○전처리 공정(자숙, 염장공정)과 건조공정 등 제조공정의 규격화와 제품 품질의 규격화를 통한 염장 건해삼 개발○ 강원도 동해안 돌기 해삼과 타 지역 해삼의 비교○ 염장 건해삼 제조 공정의 규격화○ 1차 염장 건해삼 제품 개발○ 염장 건해삼 제품의 이화학적 특성 규명라. 4세부1) 과 제 명 : 어류 정소 및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산업화2) 주관기관 : (주)파마리서치(김익수)3) 개발내용○ 어류 정소 유래 조직수복 의료기기(filler)개발
Page57
제 1 절 연구개발 최종 결과1. 사업 성과가. 사업 성과 총괄표장비세 워 과제 Cluster 컨 전심포 실무 운영 도입 커넥트년도 MOU 미 크 실행 기관 설 시지움 위원회 위원회 심의 랩나 샵 위원회 협의회 팅 회위원회1단계 15 7 35 2 44 33 5 3 2 0 0 02단계 3 5 18 4 59 19 5 4 3 20 1 13단계 9 14 30 1 35 37 4 4 0 9 3 34단계 1 6 10 0 29 11 3 1 0 18 2 5총계 28 32 93 7 167 100 17 12 5 47 6 9나. 주요 사업 성과1) 업무협약(MOU) 체결 현황번호 차년도 업무제휴협약 체결기관 체결일College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1 1차년도 2005.11.05.(Ocean University of China, 중국)2 1차년도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2005.12.13.3 1차년도 경기도 지능형센서연구센터 2006.02.07.4 1차년도 관동대학교 RRC 2006.03.155 1차년도 한림대학교 RRC 2006.03.156 1차년도 (재)강릉해양
바이오
진흥원 2006.03.157 1차년도 강원 세라믹 신소재 산업 클러스터사업단 2006.03.158 1차년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2006.03.159 1차년도 강릉정보산업진흥원 2006.03.1510 1차년도 한․중 신소재 협력센터 2006.06.0811 2차년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강릉출장소 2006.09.14
Page58
번호 차년도 업무제휴협약 체결기관 체결일Seafoods laboratory12 2차년도 2006.09.30.(Oregon State University, 미국)Advanced Materials Research Institute13 2차년도 2006.10.15.(University of new Orleans, 미국)Pacific Scientific Research Fisheries Centre14 2차년도 2007.04.05.(TINRO-Centre, 러시아)Pacific Institue of Bioorganic Chemistry15 2차년도 2007.04.06.(러시아)강원도립대 주문진오징어 16 3차년도 2008.03.12지역연고산업진흥사업단계명대학교17 4차년도 2009.05.14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고려대학교18 4차년도 2009.05.14건강기능성식품연구센터이화여자대학교19 5차년도 2009.08.10바이오푸드네트워크사업단전북대학교병원20 5차년도 2009.08.18기능성식품 임상시험지원센터SINTEF Building and Infrastructure21 5차년도 2009.11.02(노르웨이)Faculty of Agro-Industy22 5차년도 2010.01.08(Chiang Mai University, 태국)경동대학교23 5차년도 2010.03.26해양심층수RIS사업단동의대학교24 6차년도 2010.08.19블루바이오 소재개발 및 실용화 지원 센터25 6차년도 (재)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2010.12.03(재)부산테크노파크26 6차년도 2011.04.01해양생물산업육성센터강원대학교27 6차년도 2011.05.20의료․바이오신소재융복합연구사업단Faculty of Fisheries28 8차년도 2013.05.07(Kasetsart University, 태국)2) 기업 및 연구소 유치가) 기업 유치○ (주)아모그린텍 강릉지사 설립(2008년)○ (주)
바이오
트론 강릉공장 설립(2009년)○ (주)리스토어랩스 창업(2009년)○ (주)파마리서치프로덕트 강릉공장 설립(2013년)
Page59
나) 연구소 유치(강릉과학산업단지)○ 한국식품연구원 강릉연구센터○ 한러
바이오
센터○ 독일 프라운호퍼 공정공학․포장연구소3) 국제 협력 연구○ (4차, 5차년도) 러시아 태평양생유기화학연구소(PIBOC) 연구 참여○ (6차년도) 캐나다 University of Saskatchewan 연구 참여다. 고가장비 구입현황1) 3천만원 이상 고가장비 구입현황번호 NTIS장비등록번호 장비명 구입년도 금액 보유기관광산란분자량 측정기NFEC-2008-08-1 (Muli-angle light 2007.04.06 96,362,290원 강릉원주대학교064261scattering detector)대용량 회전 진공 농축기NFEC-2011-01-2 (Large Scale Rotary 2010.05.10 37,500,000원 관동대학교135046Evaporator System)NFEC-2011-11-3 B/H analyzer 2007.05.29 48,570,000원 관동대학교150935NFEC-2011-01-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한국과학기술4 2005.10.28 81,512,932원135169 (HPLC System) 연구원NFCE-2011-01- 초소형 주사전자현미경5 2009.01.30 47,927,660원 관동대학교135244 (Mini-SEM)NFCE-2011-01- 네트워크 아날라이저6 2008.05.14 50,000,000원 관동대학교150809 (Network Analyzer)
Page61
3) 학술대회※ 부록 4 참조4) 기술이전 및 기술료수입금액번호 기술이전 내역 대상국명 대상기관명 이전일시 발생차수(백만원)1 횟대를 이용한 식해제조 대한민국 풍미식품 2006.1.17 0 1차년도2 알긴산 추출액 점도저하 대한민국 바램제약 2005.8.9 0 1차년도용존 오존수 및 3 오존가스를 이용한 대한민국 에코썸 2006.1.17 0 1차년도효율적 막오염 저감방법소입경 a-FeOOH를 4 이용한 Mn-Zn Ferrite 대한민국 태흥산업 2005.12.1 0 1차년도제작기술모래담체에 대한 산화철 5 대한민국 ㈜선진환경 2005.12.1 0 1차년도코팅기술6 Solid Modeling 설계기술 대한민국 이프로텍 2005.12.1 0 1차년도전기화학식 산소센서의 7 대한민국 ㈜센코 2006.2.10 0 1차년도전해질 개발과당올리고당첨가에의한8 대한민국 동호식품 2007.3.6 0 2차년도김치발효개선기술김치 발효시 천연물 9 첨가에 의한 발효속도 대한민국 동호식품 2007.3.6 0 2차년도조절기술10 TiO 의허니컴코팅기술 대한민국 대영케미칼 2006.9.4 0 2차년도2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11 산화티탄 필터기술의 대한민국 대영케미칼 2007.2.2 0 2차년도응용QCM
바이오
센서 시스템 12 재작 기술 및 센서 칩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8.6. 0 3차년도제작 기술푸코에이드 제품개발 및 ㈜해원바이13 대한민국 2009.4.29 0 4차년도판매 오테크해삼및 고추냉이무 추출물을 이용한 씨엔씨바이14 대한민국 2009.4.24 5.76 4차년도제품개발 관련 기술 및 오텍노하우오징어육의 효소분해에 HUDEM15 의한 기능성소재 및 그 대한민국 2009.4.16 0 4차년도(휴뎀식품)제조방법
Page62
수입금액번호 기술이전 내역 대상국명 대상기관명 이전일시 발생차수(백만원)골다공증 개선에 유효한 16 무기질과 당의 배합조성 대한민국 ㈜파나시아 2009.2.8 9.12 4차년도및 비율다공성 코디어라이트 17 세라믹 허니컴 및 그 대한민국 (주)써모니크 2009.4.16 0 4차년도제조방법SC첨가7075고강도알루미늄합금제조/18 대한민국 ㈜임동 2009.5.6 7.32 4차년도Sc첨가7075고강도알루미늄합금의방향성응고이산화탄소 ㈜대진환경19 제어용입상(pellet)형 대한민국 2009.5.6 0 4차년도개발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20 미세진공기포발생기 대한민국 ㈜이프로텍 2009.4.30 0 4차년도철코팅 불가사리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21 철코팅 불가사리 및 상기 대한민국 그린텍 2009.4 0 4차년도철코팅 불가사리를 중금속 제거제로 사용하는 방법QCM 바이오센서 시스템 22 상품화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9.4.27 10 4차년도기술-기술이전합의서지질을 이용한 표면화학 23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9.4.27 14 4차년도기술미세조류 추출물 함유 ㈜아쿠아틱24 수산양식용 동물먹이생물 대한민국 2010.4.23 1.68 5차년도피드영양강화제 개발미세조류 고밀도 배양 25 광생물반응 개발 관련 대한민국 ㈜바이오트론 2010.4.30 0 5차년도기술 및 노하우감태 유래 씨놀과 푸코이단의 혼합물을 26 대한민국 라이브 켐㈜ 2010.6.3 8.25 5차년도함유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 조성물1.분석물질의 검출 방법 및 장치27 대한민국 ㈜아모그린텍 2009.11.13 30 5차년도2.
바이오
센서에 사용되는 여러 분석물질의 검출 방법비소성 황토 벽돌을 ㈜지크리28 포함한 고화제 기술 및 대한민국 에이티브 2010.3.23 0 5차년도그 응용 제품 코리아
Page64
5) 상품화가) 상품화 목록(단위: 백만원)대표자번호 차년도 상품명 업체명 매출액(사업자등록번호)정진순1 1차년도 청어알 젓갈 풍미식품 0(227-09-60076)유송국2 4차년도 FUCO-AID (주)해원
바이오
테크 5(415-81-09497)조남현3 4차년도 마시와 오징어빵 휴뎀식품 14.4(109-06-15025)전제원4 4차년도 금진수 페이셜 미스트 (주)옥용물산(226-81-33927)전제원5 4차년도 금진수 샴푸 (주)옥용물산(226-81-33927)전제원6 4차년도 금진수 린스 (주)옥용물산(226-81-33927)61.9전제원7 4차년도 금진수 바디로션 (주)옥용물산(226-81-33927)전제원8 4차년도 금진수 바디클렌져 (주)옥용물산(226-81-33927)전제원9 4차년도 금진수 폼워시 (주)옥용물산(226-81-33927)전제원10 4차년도 메이 바디로션 (주)옥용물산(226-81-33927)1전제원11 4차년도 메이 바디미스트 (주)옥용물산(226-81-33927)전제원12 4차년도 금진 옴므 스킨 (주)옥용물산(226-81-33927)2.7전제원13 4차년도 금진 옴므 로션 (주)옥용물산(226-81-33927)김원기14 4차년도 세리수 비누 그린텍 3.3(227-05-29873)김병규15 4차년도 Easy-Q cell kit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16 4차년도 Easy-Q QCM-Gold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17 4차년도 Easy-Q QCM-Lipo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18 4차년도 Easy-Link Biotin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19 4차년도 Easy-Link Hydrazide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이충열20 5차년도 LP Power-Marine (주)아쿠아틱피드 23(226-81-36415)권오익21 5차년도 레쥬맥스 라이브켐(주) 90(305-81-43524)권오익22 5차년도 벨시아 라이브켐(주) 70(305-81-43524)
Page65
대표자번호 차년도 상품명 업체명 매출액(사업자등록번호)김병규23 5차년도
바이오
센서 시스템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24 5차년도 QCM-AM 센서 칩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25 5차년도 QCM-CA 센서 칩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26 5차년도 QCM-BT 센서 칩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김병규27 5차년도 QCM-NTA 센서 칩 (주)아모그린텍 0(226-85-27253)박현미28 5차년도 해조 미역비누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29 5차년도 해조 모자반비누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30 5차년도 해조 다시마 비누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31 5차년도 해조 감태 비누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32 5차년도 해조 수제미역 비누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33 5차년도 다미마 워시오프 팩 (주)해조나라 6.6(226-81-38790)박현미34 5차년도 미역 워시오프 팩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35 5차년도 미역 수면 팩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36 5차년도 미역 훼이셜 클렌징 폼 (주)해조나라(226-81-38790)박현미37 5차년도 미역 바디워시 (주)해조나라(226-81-38790)미역바디워시 박현미38 5차년도 (주)해조나라아토플러스 (226-81-38790)자연은 맛있다 남승우39 6차년도 (주)풀무원홀딩스생라면(깔끔한 맛) (214-85-03641)1,113자연은 맛있다 남승우40 6차년도 (주)풀무원홀딩스생라면(진한 맛) (214-85-03641)남승우41 6차년도 얼큰 고추 우동 (주)풀무원홀딩스 252(214-85-03641)남승우42 6차년도 토마토소스 스파게티 (주)풀무원홀딩스 76.5(214-85-03641)남승우43 6차년도 크림소스 스파게티 (주)풀무원홀딩스 62.7(214-85-03641)박현미44 6차년도 미역썬블럭 (주)해조나라 0.3(226-81-38790)박현미45 6차년도 미역멀티비비크림 (주)해조나라 0.4(226-81-38790)해조 마린 마이크로 박현미46 6차년도 (주)해조나라 0미스트 (226-81-38790)
Page66
대표자번호 차년도 상품명 업체명 매출액(사업자등록번호)클로렐라 추출물 박성칠47 6차년도 대상(주) 500.9(공정개발) (109-81-14886)해양조류 추출물 한승준48 6차년도 (주)서림
바이오
201(공정개발) (201-81-82623)권오익49 6차년도 Derma-C 라이브켐(주) 0.3(305-81-43524)권오익50 6차년도 CAVANOL 라이브켐(주) 5.1(305-81-43524)AMO-BD I PS 김병규51 6차년도 (주)아모그린텍 0(Pretreatment System) (226-85-27253)AMO-BD I LDS 김병규52 6차년도 (주)아모그린텍 0(Lumino-Detection System) (226-85-27253)식중독균 검출 키트 김병규53 6차년도 (주)아모그린텍 0(살모넬라 검출 키트) (226-85-27253)식중독균 검출 키트 김병규54 6차년도 (주)아모그린텍 0(비브리오균 검출 키트) (226-85-27253)식중독균 검출 키트 김병규55 6차년도 (주)아모그린텍 0(병원성대장균 검출키트) (226-85-27253)식중독균 검출 키트 김병규56 6차년도 (주)아모그린텍 0(포도상구균 검출키트) (226-85-27253)황영재57 7차년도 Cell Renewable (주)리스토어랩스 7(226-81-40239)에스에이치해양수산 우미화58 7차년도 한국자삼 “야생” 271.4개발 (226-81-27503)(주)파마리서치프로 정상수59 7차년도 D+cell 350 TRA I 395덕트 (220-86-07450)(주)파마리서치프로 정상수60 7차년도 D+cell 350 TRA II 50덕트 (220-86-07450)(주)파마리서치프로 정상수61 7차년도 D+cell 350 TRA W 33.7덕트 (220-86-07450)D+cell 350 TRA (주)파마리서치프로 정상수62 7차년도 110Cream 덕트 (220-86-07450)이의형63 8차년도 Papaya Powder Wash (주)스피어테크 1.6(227-81-07553)Millerule Gentle Facial 이의형64 8차년도 (주)스피어테크 1.4Cleansing Foam (227-81-07553)Tonipack Ocean Anti이의형65 8차년도 Wrinkle & Whitening (주)스피어테크 16.5(227-81-07553)Mist이의형66 8차년도 Trasphere Foundation (주)스피어테크 82.7(227-81-07553)
Page67
나) 주요개발 제품(단위: 백만원)개발제품 개발기업 매출 기술이전 및 기술료풍미식품 0 -청어알 젓기술이전: 1건휴뎀식품 14.4 기술료: 31특허출원: 1건마시와 오징어 빵(주)해원
바이오
테크 5 기술이전: 1건푸코이단 함유 기능성 음료기술이전: 1건라이브켐(주) 90기술료: 8.25씨놀 함유 기능성 식품(주)풀무원홀딩스 1,504 기술료: 31.4황태액기스를 이용한 일반식품 들
Page69
개발제품 개발기업 매출 기술이전 및 기술료(주)해조나라 7.3 -메르보떼 해조 화장품기술이전: 3건(주)리스토어랩스 7기술료: 34.5푸코이단 기능성화장품기술이전: 1건(주)스피어테크 19.5기술료: 9.9해양천연물이용 화장품(주)파마리서치프로덕트 588.7 -피부제생, 탄력증가 메디칼 화장품기술이전: 2건기술료: 24(주)아모그린텍 0특허출원:7건, 등록:1건상표출원:2건, 등록:1건QCM
바이오
센서 키트기술이전: 1건(주)아모그린텍 0기술료: 30식중독균 검출 키트
Page70
개발제품 개발기업 매출 기술이전 및 기술료(주)아모그린텍 0 -
바이오
센서 시스템기술이전: 1건(주)아쿠아틱피드 23 기술료: 1.74특허출원: 2건어류 영양 강화제
Page70
제 2 절 연구개발 추진 체계1. 사업 현황○ 사 업 명 : 지방기술혁신사업(지역R&D클러스터구축사업)○ 과 제 명 : 해양
바이오
신소재 기술개발사업○ 총사업기간 : 2005.05.01 ~ 2013.06.30[98개월]○ 주관기관 : 강릉원주대학교○ 총사업비 : 약 190억원○ 총 수행과제수 : 52개 과제○ 참여지자체 : 강원도, 강릉시, 삼척시, 동해시, 양양군○ 협동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외 9개 기관○ 참여기업 : (주)스피어테크 외 81개 업체
Page72
제 3 절 시장 현황 및 사업화 전망1. 해양바이오 시장 현황가. 해양바이오산업 현황○ 해양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시장규모에 대한 자료는 조사방법과 견해에 따라 2조원 ~ 30조원으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해양바이오산업을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신흥 기술분야로 분류하고 있다.- OECD 생명공학분과에서는 해양바이오산업 시장의 규모가 많게는 연간 10 ~12%, 보수적으로는 4 ~ 5% 성장하여 2011년에는 4조원(26억유로)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유럽과학재단(European Science Foundation)도 이와 유사하게 해양바이오 국제 시장규모가 2010년 현재 4조 3,229억원(28억 유로)이며 원활한 산학협력을 통해 연평균 12%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민간에서 작성한 시장의 규모는 다소 차이가 있어서, ‘해양바이오세계시장동향보고서(2009)’는 글로벌 시장규모가 약 3조원 규모에 연평균 4.2% 성장률을 보이는 것으로 산정하고 있으며, ‘해양생명공학:글로벌 전략비즈니스 보고서(2008-GIA)’는 국제 해양바이오시장 규모가 2조원(22억 달러) 규모로 산정하고, ‘2009~2014년도 국제 해양생명공학전망(2008)’에서는 약 6조원(57억 달러)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GIA가 산정한 국제 해양바이오 시장 변화 추이(단위: 백만불)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세계 1,850.07 1,979.42 2,054.00 2,154.41 2,256.53 2,361.68 2,466.91 2,575.07미국 907.53 947.85 987 1,025.90 1,064.35 1,102.25 1,138.95 1,175.4038.95 44.29 49.07 52.92 56.93 62.87 69.07 73.73한국(%)(1.4%) (1.5%) (1.6%) (1.6%) (1.7%) (1.8%) (1.9%) (1.95%)(출처: Global Industry Analysis, Inc., Marine Biotechnology: a global strategic businessreport,2008)- 한편, 해양산업전체 시장 대비 비중을 산정한 자료와 비교하여 해양바이오산업의 규모가 약 1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며, 해양생물 유래 물질의 기여도가 큰 건강기능성 식품시장과 화장품 시장 등을 고려하여 해양바이오산업 시장을 30조 384억 원에 이르는 큰 규모로 추정할 수 있다.- 전체 해양
바이오
산업 시장의 45%는 미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시장의
Page73
비중은 전체의 1.5~2% 이하 정도의 작은 규모로 추정한다.○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시장으로는 2010년 세계 해양바이오산업의 50%를 점유하고 있는 생체활성물질(bio-active substance) 관련 시장으로 호르몬, 효소 및 억제제, 해양천연물신약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의 매출을 고려할 때, 가장 큰 생명공학 시장은 2009년 현재 1조 6천억원 가량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의약품이며, 향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분야는 미래대체에너지와 바이오폴리머(고분자) 소재일 것으로 예상되므로, 해양바이오 분야도 이와 유사하게 의약품 시장과 바이오에너지 및 바이오 고분자 소재 쪽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Biz Acumen에서 산정한 해양바이오 세계시장 현황(단위: 백만불)CAGR2007 2008 2009 2010 2011 2012(%)Biomaterials 1,468.38 1,497.06 1,524.21 1,550.18 1,574.35 1,596.88 1.69Bioactive1,384.96 1,478.69 1,575.69 1,676.25 1,780.67 1,889.65 6.41SubstancesOthers 90.75 103.21 114.83 125.48 134.88 143.32 9.57Total 2944.09 3078.96 3214.72 3351.91 3489.90 3629.86 4.28(출처: biz Acumen Marine Biotechnology : worldwide market trends, 2009○ 지역별로 보면 시장 전체의 규모는 매년 4%가 넘는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미국 이외의 시장이 점차 확대되어 가는 추세를 보인다.지역별 해양
바이오
산업시장 성장률(단위: 백만불)CAGR(지역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미국 947.5 984.9 1021.8 1058.2 1093.4 1128.4 3.56세계(미국제외) 1996.6 2094.1 2192.9 2293.7 2396.5 2501.5 4.61전체 2944.1 3079.0 3214.7 3351.9 3489.9 3629.9 4.28(출처: biz Acumen Marine Biotechnology : worldwide market trends, 2009)○ 시장 규모면에서는 제약 산업이 2009년 현재 2조 469억원으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건강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등의 소비재산업이 1조 2,787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Page74
해양바이오 산업 분야별 시장규모 현황 및 예측(단위: 백만불)CAGR(응용분야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산업소재 60.91 61.51 62.06 62.57 63.05 63.48 0.83의약품 1510.78 1595.54 1682.66 1772.18 1864.33 1959.03 5.33소비재 1039.84 1073.64 1107.13 1140.67 1173.18 1205.32 3.00공공서비스 및 295.69 298.68 301.33 303.69 305.69 307.56 0.79인프라기타 36.86 49.60 61.54 72.80 83.64 94.46 20.71합계 2944.09 3078.96 3214.72 3351.91 3489.90 3629.86 4.28(출처: biz Acumen Marine Biotechnology : worldwide market trends, 2009)○ 국내 바이오산업은 지난 10여 년간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에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며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해 왔다.-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은 2000년 1조 1,800억 원에서 2005년 3조 5,490억 원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해 왔으며 기초과학 역량의 축적을 바탕으로 세계적 신약 창출 등 최근 산업적 성과가 가시화 되어, 2010년에는 6조 7,910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수출은 2000년 4.6억 달러에서 2005년 15억 달러, 2010년 34.5억 달러로 증가하여 2005~2010년 연평균 18.1%의 고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바이오산업 분야에 대한 정부지원도 2000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02년에는 4,500억원, 2003년에는 약 5,600억원이 지원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바이오산업 기술 경쟁력은 선진국의 60~70%에 불과하며, 특히 핵심원천기술이 부족하고, 관련 기업들이 영세하며 우량기업이 없는 미약한 상황이다.나. 해양바이오 건강기능성 식품산업(Nutraceutical Industry)○ 바이오산업의 주요 대상은 그동안 쉽게 접근이 가능한 육상생물이 주를 이루었으나,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국한된 소재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해양생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
바이오
소재 산업에서 건강기능 식품은 식품의 영양적 기능, 기호적 기능과 더불어 생체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을 말하며, 일상적으로 섭취 가능한 식품으로서 신체방어, 신체리듬 조절 등의 기능이 생체에서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설계된 식품을 의미한다. (변희국 외, 2005)○ 기능성식품은 질병의 치료가 주목적인 의약품과는 달리 질병예방과 건강유지가 주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생체조절형 인자들의 특징인 비 영양성 미량성분으로 이들을 소재화 할 시 약리활성도 및 정제도에 따라 효능 면에서 의약품에 가깝고, 형태와 기능면에서는 식품에 가까운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Page75
○ 이미용 해양소재 산업은 해양가공 폐기물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가공부산물로부터 식품첨가 소재의 개발을 지칭하는 것으로 칼슘보조식품, 항산화식품, 기능성 식품첨가물 등이 이에 속한다.- 해양칼슘보조식품 : 칼슘보조식품, 골다공증 보조식품, 어린이용 칼슘강화식품- 항산화식품 : 타우린, 베타카로틴(아스타산틴)- 기능성 식품첨가물 : 콜라겐/젤라틴, 콘드로이틴 황상, 글루코사민, 아미노산 소재 전통해양식품소재 산업은 예전부터 전통적으로 해양생물자원 유래의 식품소재로서 이용되어온 식품군을 지칭.- 젓갈 :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류, 극피동물류 등의 근육, 내장 또는 생식소 등을 원료로 하여 다량의 식염을 첨가한 후 장기간 발효, 숙성시킨 발효식품- 액젓 : 젓갈을 여과 분리한 액- 해류 :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류, 극피동물류 등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주원료로 하여 식염 및 곡류 등 부원료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것○ 기능성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가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캅셀·분말·과립·액상·환 등의 형태로 제조·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건강식품에 관한 법률;2004.3.22) 기능별로 비만방지 가능, 면역증강 기능, 웰빙식품으로서의 가능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소재별로는 해양조류, 해조 올리고당, 고도불포화지방산, 미세조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역 바이오 기업의 상당수가 주력하여 생산하는 제품이 해양바이오융합기술을 활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이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와 만성질환으로 인한 보건의료비용 부담 해소를 위해 각국 정부는 웰빙 문화 확산과 국민 건강정책을 강화하고 있어 건강기능성 식품시장이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바이오산업동향보고서(2011)에 따르면 주요 8개국(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스페인, 이탈리아, 일본, 중국)의 건강기능성 식품 시장규모는 2007년 967억 달러(100조원)에서 2012년 1.350억 달러(15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해양천연물 유래 건강기능성 식품시장은 비타민 및 미네랄, 카로티노이드,Fish Oil 등으로 구성되며, 해양생물유래 건강기능 식품의 국제 시장 규모는 약 20 ~ 30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건강기능식품 품목별 판매현황(식약청, 2005)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해양생물유래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규모는 매출액(국내 판매액 2,600억원 + 수출액 110억원) 기준으로 2,710억원 정도이며, 우리나라 전체 건강기능식품 시장(1조 3,712억원)의 1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년 성장을 하고 있다.다. 해양
바이오
기능성 화장품산업(Cosmetic Industry)○ 국내외적으로 화장품 시장은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와 기능적인 요구로 인해 의약품과 화장품의 합성어로 세정과 미용 목적 이외의 생리활성이 강조된 기능성 화장품 시장으로 변화하여 2001년 미백, 주름개선 및 자외선 차단의 3가지 효과에 한
Page76
정된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국내에서는 본격적으로 일반소비자에게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기능성화장품은 치료 물질을 첨가한 제품 및 다기능성을 함께 가지는 다기능성 제품들이 최근 출시되면서 더욱 다양해지고 있고, 2007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산업백서에서 2006년 제품 유형별 화장품 생산 비중을 조사한 것을 보면 기능성화장품 1장에서 기초화장품 제품군이 전체의 4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기초화장품 제품군 총 생산금액은 1조 7천억원 정도로 전년도에 비해 5.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령인구의 증가 및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주된 요인으로 먹는 화장품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미용 화장품의 시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확대와 함께 화장품의 유통구조 및 사업 참여 주체들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다당류, 카로틴, 키토산 등과 같은 해양생물 대사체의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추진되어 왔으며, 글로벌 화장품기업인 에스티로더는 산호추출물로부터 항염증 효과가 있는 Pseudopterosin를 활용하여 기능성 화장품 Resilience를 개발하였으며, 프랑스 Clarins는 해양식물인 Durvilliea antarctica추출물을 활용하여 노화 피부 치료를 위한 Venoceane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해양바이오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로는 영진약품의 코엔자임Q10 마스크팩, 대웅제약의 EGF 성분을 이용한 셀리시스, 한국화이자의 클리어워시 등의 다양한 제품이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2010년 현재에는 많은 중소기업들도 해양바이오 소재를 활용한 제품을 산 · 학 · 연 연계로 개발 · 생산하고 있다.해양유래 기능성화장품 세계시장 규모 예측구분 2009 2015 비고Personal Care 403조원 494조원 CAGR 3.4%Skin Care 37조 4천억원 49조 4,400억원 CAGR 4.8%기능성 천연소재 7,990억원 1조 187억원 CAGR 5.0%기능성화장품 소재시장해양유래 313억원 713억원시장점유율 5~7%20(출처 : 해양바이오정책지원센터, 해양바이오산업동향보고서, 2011.07)라. 해양바이오 제약산업1)○ 세계적으로 보고된 해양 신물질의 수는 약 14,000종에 달하고 있으며 임상단계에 2)있거나 사용하고 있는 해양
바이오
의약품은 약 50종이 있다.1)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유래 신규 생리활성물질 및 생물소재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2003년
Page77
- 현재 해양바이오 의약품은 출시되어 성장하고 있으며, 임상단계에 있는 신규 물질들이 많아 향후 해양바이오 의약품이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큰 폭으로 증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육생생물로부터 신규 생리활성물질 확보에 대한 한계로 인해 해양생물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해양생물은 다양하고 특수한 생활환경으로 인해 그 동안 육상생물에서 발견하지 못한 신규 생리활성물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양바이오산업동향보고서(2011)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시장 성장의 핵심인 신약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1981년 ~ 2002년 개발된 877개 신약 중에서 천연물 비중은 61%로 매우 높다.○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글로벌 의약품 시장규모는 해양천연물 유래 약물전달체,진단 및 R&D시장 등을 제외하고는 2009년 14조 6,988억 원에서 2015년에 18조 4,490억 원 규모로 연간 3.9%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현재 판매중인 대표적인 해양바이오 의약품으로 Elan사의 Ziconotide가 있는데,바다달팽이의 독소로부터 추출된 강력한 진통제로써 2004년 미국 FDA 승인을 획득하여, 2012년 12억 5,000만 달러 정도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으며, 심해생물, 해양미생물 등을 활용한 해양바이오 의약품의 미래는 해양이 가지고 있는 무한함만큼 밝다고 볼 수 있다.해양천연물신약 글로벌 시장규모 예측(단위: 억원)구분 2009 2015 %CAGR항암제 1,918 9,729 31.1%항생제 137,445 167,978 3.4%진통제 372 602 8.6%항바이러스제 5,692 4,443 -4.0%항산화제 1,561 1,738 1.8%합계 146,988 184,490 3.9%(출처 : 해양바이오정책지원센터, 해양
바이오
산업동향보고서, 2011.07)2) The Institute of Marine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Prospects for Marine BioTechnology in the UK, 2005
Page78
2. 사업화 전망가. 마케팅 전략1) 체계적인 시장분석 및 전략수립○ 해양바이오제품의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시장공략을 위하여 해양바이오제품 시장분석, 해양바이오제품에 대한 니즈 분석, 해양바이오제품의 중장기 비전 수립, 단계별 마케팅 및 시장진입전략, 지역기업 실정 및 역량을 감안한 전략적인 마케팅 전략수립과 체계적인 실행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2) 마케팅전략 실행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및 이미지 제고○ 해양바이오 제품의 관련 기업의 공동 브랜드 도입 및 개발의 추진과 통합적 브랜드 관리를 통한 브랜드 자산의 강화가 이루어 질 수 있어야 하며, 신제품 개발을 통한 다양한 해양바이오 관련 제품의 출시로 소비자들에 해양바이오 제품의 다양성을 알릴 수 있도록 통합적인 마케팅 및 홍보 전략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강원도의 청정 이미지와 동해의 이미지를 활용한 공동 브랜드 개발 및 공동마케팅 수행이 대안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단일 기업에서 특정 제품에 집중한 생산을 하고, 상생관계의 제품을 구성하여 세트 상품으로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3) 해양바이오제품의 활성화○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얻고 해양
바이오
제품만의 고기능성을 강조하여 지속적인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마케팅과 철저한 고객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제품의 판매에 따른 사후관리 및 피드백의 수용을 통한 다음 단계의 전략 수립 등이 필요하며, 유럽의 협동조합 형태의 운영 방안의 벤치마킹도 필요하다.나. 주요 개발 제품○ 기능성 식품 및 일반 식품청어알 젓 마시와 오징어빵 푸코이단 기능성 제품
Page80
모자반 추출물이 함유된 불가사리, 톳 추출물을 불가사리 부화효소를 화장품(미스트) 이용한 화장품(폼) 첨가한 화장품(워시)○ 기타 개발 제품바이오센서 시스템 및 검출 키트 어류 영양 강화제다. 사업화 전망○ 해양천연물은 지금까지 단순가공식품으로서의 생산에 국한되어 왔으나, 다양한 생체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있고 그 작용 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환경 친화적 제품으로서의 응용 및 산업화에 대한 전망이 높다.○ 해양생물은 생리활성과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이 특수하며 기존 육생생물이 생산․보유할 수 없는 생체분자들과 화학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신소재 및 유효성분의 발굴이 중요하고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약외품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본 사업을 통하여 개발된 제품은 대부분 해양천연물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제품들로 노령화 인구 증가 및 건강에 대한 인식 확산, 미에 대한 열망에 따른 식품 및 화장품 분야의 고기능성 시장 확대에 맞추어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판단된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정처의 기능성 개별인증을 받기 위하여 몇몇 기업이 현재 인증을 신청하였으나 많은 준비와 시간이 필요한 관계로 기능성 개별인증을 받은 제품이 없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제품임에도 그만큼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추후 기업 자체적으로 기능성 개별인증을 받기위하여 꾸준히 노력할 예정이며, 이를 통하여 고경쟁력을 갖춘 제품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개발 제품에 대한 매출은 3,460백만원이나, 지속적인 매출액 증가 추세로 추후 기업의 매출향상에 공헌할 것으로 판단된다.
Page87
어 사용되어 왔으며, 육상의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원료 개발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세계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으로 인한 식량 부족,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으로 발생하는 육지 식량경작면적의 감소 등은 육상의 식물 유래의 신소재는 한계가 있음을 제시해 주며 해양천연물의 활용은 미래지향적인 첨단산업으로써의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기술의 선점이 요구되고 있다.○ 해양천연물은 단순 식량자원의 차원을 넘어 고기능성 화장품 및 의약품용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크게 기대되어 선진국에서는 신물질의 원천으로 해양생물자원 및 해양천연물을 확보하려는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고 21세기 생명공학의 핵심 분야에 해양천연물을 포함하고 있다.○ 해양생물은 지구 전체 생물 종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면서, 그 종의 수는 약 50만종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해양자원개발 중⋅장기 실천계획, 해양수산부, 2000).○ 또한, 해양생물산업의 가장 큰 특성이자 장점은 해양생물자원의 다양성이며, 현재까지 알려진 생물의 종수는 육상생물이 해양생물에 비해 많지만, 분류학상의 상위단계에 있는 과 (family)와 목 (order)의 종류는 해양생물이 2배 가까이 많다.○ 이러한 해양생물은 종의 다양성과 더불어 진화 과정의 독자성, 해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생장과 대사 등의 요인에 의해 그 생리 활성과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이 특수하며 기존 육생생물이 생산⋅보유할 수 없는 생체분자들과 화학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
신소재 및 유효성분의 발굴에 중요한 자원이다.○ 아울러 이들의 생합성⋅분해 등에 관여하는 특이한 신종 효소(novel enzyme)와 보조인자(cofactor)들도 존재하고 있으며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기능성 신물질⋅신소재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신약 개발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세계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해양동물 중 난생을 하는 대부분의 생물들은 어란 내부, 특히 배세포에서 분비되는 난막분해효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난막분해효소는 단일단백질이며 트립신 모양의 단백질에 2종의 활성단백질이첨가되어 부화 시 수정막을 녹이는 특수한 효소로써 모두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난막분해효소(부화효소)는 죽은 세포에 기질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죽은 세포를 분해하기 때문에 피부 상피의 죽은 조직의 선택적 분해가 가능하여 기존 합성 화합물 및 물리적 각질제거방법에 비하여 피부의 자극을 줄이고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주름의 제거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알러지란 이물질(항원, Allergen)에 대한 특이하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이며, 이 때 방출된 물질이 증상을 일으키게 되면 알러젠(Allergen)이라 하고 그 결과 생긴 질환을 알러지 질환이라고 한다.
Page89
능성 화장품의 제품화에 국내외적으로 많은 화장품 제조업체들이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한 생물들을 탐색하고 제품화하는 연구를 위해 많은 투자를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이 주로 약용식물추출물이나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원료 및 화장품 개발에 집중되어 있으며 해양천연물에 관한 연구는 화장품산업에서는 기초적인 단계에 있고, 상업화된 제품도 보습제 정도 밖에 없으며 해양천연물을 이용한 기능성 원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양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화장품 개발은 충분히 국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장성이 크고, 수입대체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해양 생물종의 다양성과 함께 해양생물 소재로부터 상품화 성공률이 1/6,000으로서 육상생물 소재의 1/13,000 보다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해양생물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 육상 천연물 소재 위주로 국한되었던 기존의 바이오산업이 직면한 소재 문제를 해결하면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파급효과를 가져올 해양천연물을 이용한 해양
바이오
산업은 기술집약적인 지식기반 산업으로 새로운 기능성을 지닌 신물질 및 신소재의 확보로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신약 개발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고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미래 유망산업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유효성분을 피부 진피세포에 유용하게 전달하는 제품은 국내에서 생산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국제 경쟁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해양천연물의 원료 활용은 국내의 지리학적 환경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첨단 산업으로 발전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성공적 결과는 궁극적으로는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의 국내 시장성을 크게 넓히고, 나아가서는 높은 경쟁력에 의한 수출 실적을 향상 시켜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90
프레사 추출물(Green Seaweed, 자극완화)등이 있다.○ 일본의 경우는 해양성보다는 동양에서 자생하는 약용식물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있는 상태이고 MARUZEN의 감초추출물이 대표적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아모레퍼시픽의 닥나무 추출물, 코리아나의 빈낭추출물 등 약용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원료를 개발하여 기능성원료로 등재하여 현재 사용 중이지만 해양성 기능성원료 개발은 국내화장품회사에서 개발된 적이 없다.○ 국내 대학에서는 해양성 생물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제약이나 식품에 관련된 것들이 대부분으로 강릉원주대학교의 해양
바이오
신소재사업단이 생기면서 동해안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으로 다시마를 이용한 식품, 관동대학교의 해면을 이용한 항생제연구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해양성추출물은 추출물 자체를 화장품에 단순히 첨가하여 섞여진 상태로 디자인되고 제품화되었기 때문에,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효과가 invitro 실험에서는 우수하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세포 수준의 배양실험이라던가 임상 실험에서는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며 그 원인이 바로 낮은 침투력과 생리활성 성분이 불안정하여 변화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되어지는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 화장품에서는 생리활성 물질이 피부 세포에 들어가서 작용할 수 있도록 세포 내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전달 기술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시 되고 있다.○ 유효성분의 세포 내 전달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은 화장품 제조회사들에 의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나, 제품 개발에는 아직 초기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제형 기술 개발 및 신원료 탐색은 앞으로 기능성 화장품 개발이 성공할 시에는 화장품 업계에 있어 한 차원 높은 기술도입에 의한 해양성 생물 유래의 화장품 원료 개발로부터 제품 개발에 이르기까지 화장품 산업의 활성화가 유도될 것이며, 이로 인하여 국내적으로는 수입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국외적으로는 화장품 원료 및 제품 수출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피부의약산업은 1980년대부터 축적된 일반 신약기술의 경험으로부터 선도화합물의 도출, 제형화 기술측면에서 선진국의 기술과 대등한 수준에 도달한 상태이다.○ 난막분해효소의 생산은 노르웨이에서 노르웨이산 연어알을 활용하여 zonase X라는 효소를 분리해냈으나 고원가로 인하여 산업화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난막분해효소에 대한 생산 및 제품화는 원료 등의 문제로 많은 제약이 존재함에 따라 zonase X를 활용한 화장품 이외의 제품화에 대하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해양조류는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고 기능성 물질의 생산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Dunaliella salina의 β-carotene은 식품의 보조색소, 산화방지제, 화장품용 노화방지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Earthries Farm, USA; Cyanothch Corporation, USA,Ballarpur Industries Ltd., India, Siam Algae Co., Tahailand, Wuhan MicroalgaBiotechnology Compony, China, Western Biotechnology Ltd, Australia; Betatene
Page94
제 2 절 연차별 개발 내용 및 개발 범위1. 1차년도가. 개발목표참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강릉분원) 및 강릉원주대에서 얻어진 해양바이오 성분들의 유효성을 가지면서 화장품 제형에 접목하기란 쉽기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 성분들이 유효성을 가지면서 화장품에 접목할 수 있는 1차 제형들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며 제형에 대한 소재 개발 및 개발되어진 1차 제형들에 대한 안정성 검토 및 일부 품목의 제품화가 가능하다.1) 해양
바이오
성분을 함유한 1차 제형 개발
Page95
가) 각질제거 화장품 1차 제형 : 파우더 또는 그레뉼 타입의 제형나) 피부노화개선용 화장품 1차 제형 : 리포좀을 이용한 마이크로에멀전 제형다) 트러블 전용 화장품 1차 제형 : 지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 보습 및 보호 능력이 뛰어난 리퀴트크리스탈포뮬라 제형2) 1차 제형 안정성 확보제형에 따른 안정도실험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최적의 제형 조건을 확립한다.3) 일부 품목의 시제품화최적의 제형 조건을 확립한 품목에 대해 일부 시제품화하여 제형의 제품성 및 완성도를 검토하고 높인다.나. 개발내용 및 개발범위1) 해양
바이오
성분을 함유한 1차 제형 개발가) 각질제거 화장품 1차 제형① 다공성 파우더 제형다공성 실리카 파우더에 유효성분을 언캡슐레이션하는 기술로서 피부 도포 시 언캡슐레이션이 깨어지면서 파우더 상태에서 파우더 에멀젼, 즉 에센스 상태로 변화하면서 피부에 침투하여 작용한다.유효성분다공성 실리카 파우더언캡슐레이션된 상태[다공성 실리카 파우더의 모식도]② 그레뉼 타입 제형파우더 상태의 고형 계면활성제에 보습 액상 및 유효성분들을 함유시켜 에어스프레이 처리를 하여 비드를 만든 후 만들어진 비드에 계면활성제를 코팅처리 하여 만들어진 파우더 상태의 클렌징 비드를 만들 수 있다. 유효성분들이 함유된 기본 비드에 코팅 처리를 함으로써 유효성분들에 대한 안정성 확보 및 효능을 확보한다.
Page97
F-127, PEG-400, Mono Olein등 있다.Cubicsome의 안쪽은 물과 오일이 3차원 Network을 이루고 있어 수용성, 유용성 양쪽성 유효성분을 모두 Encapsulation 할 수 있어 기존의 Liposome 과는 다른점이 있으며 유효성분의 안정화면에서도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가) 트러블 전용 화장품 1차 제형인지질(Phospholipid)과 같이 친유부분을 2개 가지고 있는 물질을 물에 분산 시켰을때 구상이 아닌 2분자막(Bilayer)를 형성하고 생체막과 유사한 리퀴드크리스탈포뮬라는 친수성, 친유성 물질을 모두 함유할 수 있는 천연적인 지질구조를 가진 성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다중막 구조가 된다.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피부각질층 지질의 최적화를 통해 친화성이 뛰어나고 손상된 피부장벽회복 및 보습효과가 탁월한 피부 트러블(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품 제형 개발2) 1차 제형 안정성 확보1차 제형으로 최적화된 유효성분들을 함유하는 1차 제형에 대한 반복적인 안정성실험을 진행하여 최적의 제형을 개발한다.3) 일부 품목의 제품화최적의 제형 조건을 확립한 품목에 대해 일부 시제품화하여 제형의 제품성 및 완성도를 검토하고 높인다.스피어테크 기술연구소위탁과제1차 제형 개발(3종)해양
바이오
성분제형 안정성 실험일부 제형 제품화
Page99
피부 테스트를 통한 경피흡수율 평가. 평가 방법은 테입스트리핑 Method 이용 한다.*테입스트리핑 Method① 팔뚝안쪽을 깨끗하게 씻고 완전히 말린 다음 3*4cm의 크기로 각 3개씩 6개의 구획을 마스킹한다.② 마스킹 된 부위에 테스트용 제품을 골고루 바른다③ 15분후 실험용 Tape을 제품을 바른 부위에 붙인 후 30분후 떼어낸다.④ 떼어낸 실험용 Tape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다.다) 시험 생산자체 설비를 이용한 시험생산을 통해 제품화에 필요한 데이터 및 공정 확보 한다.라) 기능성 인증(피부노화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왜모자반 추출물)화장품법상 기능성 인증이 가능한 원료를 추가하여 기능성화장품 제품화 한다.3) 시제품 개발, 제품화 및 마케팅 기본 전략 수립안정성 및 유효성이 확보된 제형들의 제품화를 위한 대량 시험 생산 및 제품화와 이렇게 연구 개발되어진 제품에 대한 마케팅 기본 전략 수립 한다.가) 시험 생산제품의 대량화 및 공장 설비 적용화를 위해 자체 설비를 이용한 시험생산 및 스케일 업 테스트를 통해 필요한 대량 생산 시스템의 데이터와 공정 확보 하며,이에 따른 제품화 구현을 한다.나) 기능성 인증본 연구에서 개발되어질 피부노화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의 경우 주름 개선과 밀접한 영향이 있으므로 국내 화장품법상 주름개선이 가능한 성분을 추가하여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며 해양
바이오
성분이 부수적으로 효과를 더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제품화하여 주름 개선 기능성화장품으로 식약청에 기능성 개별인증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나 연구일정 및 허가기간 등을 고려하여 2013년 하반기에 추진할 예정이다.다) 마케팅 기본 전략 수립본 연구에서 개발되어지고 제품화된 제품에 대한 기본 모델 및 마케팅 전략 수립① 부화효소를 이용한 각질제거 화장품현재 자사에서 연구개발되어 생산하고 있는 LG생활건강의 “숨 화이트어워드 파우더 워시”를 모델로 하여 해당 제품의 리뉴얼 또는 제품 컨셉 적용 한다.② 녹조식물 성분을 이용한 트러블 전용 화장품 미국에 위치한 자사 거래처인 ARGAN(U.S.A)를 활용하여 현재 ACNE 컨셉의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품 샘플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HERBALLIFE라는 바이어와 상담이 진행중에 있음. 이를 바탕으로 해외 영업 진행 한다.③ 피부노화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주름개선 기능성 인증을 통해 제품의 상품화를 높이고 국내 영업망 및 해외
Page100
영업망을 통해 주름개선 아이크림 또는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로션, 크림 등) 등으로 고객의 요구와 필요한 제품군으로 마케팅 실시한다.④ 자사 영업망을 이용한 다양한 마케팅 및 영업 실시국내 : AP(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리아나, 다미다코리아, 후너스 바이오등 국내 거래처를 통한 제품 홍보 및 영업을 실시한다.국외 : ARGAN 등 자사 거래처에 시제품 제시 및 컨셉원료 홍보를 통한 마케팅을 실시한다.스피어테크 기술연구소위탁과제해양
바이오
성분화장품 제형 개발 안정성 시험시제품 제작제품화
Page153
마. 1차 제형 안정도1차 제형에 따른 안정도를 온도별 및 cycling test를 통하여 진행하며 HPLC를 통하여 유효성분의 변화정도를 체크하고 안정도가 낮을 시 1차 제형의 재검토 및 최종 제형에서 다시 검토 한다.바. 최종 제형 개발각 해양
바이오
성분 특성 및 컨셉에 맞는 주름개선 화장품, 각질제거 클렌징 화장품, 항알러지 화장품 등의 제형 개발 한다.사. 최종 제형 안정도개발되어진 각 제형들의 상품성 및 완제품화를 위하여 제형 안정성 시험 및 제품화 데이터를 위한 시험생산을 실시하여 최종 화장품의 제조품질 및 데이터를 확보한다.아. 제품 제조 및 판매망 확보해양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은 스피어테크의 유통 라인을 이용하여 국내는 물론 국외로 판매될 것이다. 유통 라인은 크게 국내 및 국외 구분 되 다음과 같다.1) 국내 : 해양 천연물의 효능, 효과를 기능적 제품화를 통하여 로드 샵, 오프라인 매장, 온라인 (인터넷 쇼핑몰), 방문 판매등에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소비자에 우수한 제품을 쉽게 접근 및 체험 할수있는 체험의 공간 확보 및 판매등의 계획을 갖고 있다.2) 국외 : 기존 유통라인의 적극적 홍보를 통해 미국 ARGAN, LOLAC, KEYESINTERNATIONAL, 유럽 Deynuque, Bellewave, 동남아시아 Lovite, Lica,중국 세포라등의 완제품 판매 계획을 진행 하고 있다.
Page157
로 활용이 가능하다.○ 해양조류 천연물 유래 신소재 개발은 제품의 유일성과 희소성 가치를 통해 국내 뿐 아니라 세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신속한 시장 선점과 사회적 요구에 따른 신수요 산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기존의 제제와 기전적 차별이 확보된 신기술 신기능 소재 개발로 국외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피부 면역질환 시장에 경쟁력을 갖춘 신소재 제품 출시로 FTA와 고환율 시대에 외화 절감뿐 아니라 시장개척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해적생물 및 어류분란을 활용한 부화효소를 활용한 각질제거용 화장품 소재 개발, 해양조류를 활용한 항아토피 소재의 개발은 피부가 약한 유아 혹은 피부 노화가 진행된 중-노년의 소비자들에게 생리활성 화장품으로 사업화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2. 사업화 실적가. 해양
바이오
성분을 함유한 개발 제품 매출 실적1) 해적 생물의 부화효소를 이용한 각질 제거 화장품
Page164
제 1 절 개발기술의 중요성 및 필요성1. 해삼 가공 연구의 클러스터링 필요성○ 해삼은 그 자체로도 고가이지만 가공을 통하여 그 가치를 몇 배는 높일 수 있으며, 최대 시장인 중국이 이웃하여 있어 판로 또한 걱정이 없다. 그리고 강원 영동권 최고의 해양바이오산업 신소재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원활한 산업화를 위하여 종묘 생산, 양식, 가공, 판매의 일련의 과정에서 산 학 연 관의 긴밀한 협조가 요청되어, 지난 8년간 강원 영동권의 해양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한 본 사업단의 역량을 활용하는 것이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확보할 수 있는 첩경으로 판단된다.2. 식품으로서 해삼○ 해삼은 그 효능이 인삼에 필적한다고 하여 “바다의 인삼”으로 불리며, 골격형성에 필요한 칼슘, 철분 등이 풍부하고,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최고의 천연 강장제로 알려져 있다.
Page182
④ 생해삼의 조직감 보전에 대한 초고압 효과5. 지역 내 관련 정부지원 연구센터 현황○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강원도 수산자원연구소 등은 동해 지역 해양바이오 자원 확보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수산자원의 양식 및 대량생산 계획을 가지고 있어 해삼 종묘 생산 및 양식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릉원주대, 관동대, 강원대 삼척 캠퍼스 등은 주로 해조류를 중심으로 한 해양 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식의약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일부에서는 수산자원의 양식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였다.○ 강릉과학산업진흥원에서는 강원 영동지역의 해양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하여 유관 기업 유치, 창업 지원 및 보육을 지원하고 있으며, 일부 생산 시설도 지원하고 있다.
Page183
○ 국내외적으로 가공 해삼 시장의 크기가 매우 크며 가공품에 대한 부가가치는 매우 높으나 과학적 원천기술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가공제품 및 가공 설비(공정)에 대한 원천적 기술 확보로 국가기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해삼 가공 및 양식기술 발전으로 대량 생산된 해삼의 고부가 가공제품의 사업화가 가능하므로 외부 인프라 유치 및 새로운 벤처산업의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 및 지역 브랜드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차별화된 품질의 고부가 가공제품은 주 고객인 중국시장과 동남아시장에 대한 수출이 가능하므로 해외수출로 신시장개척이 가능함. 특히 중국과 FTA 체결 시 강력한 수출품목으로서 역할을 기대 할 수 있다.○ 생산 공정의 규격화와 제품 품질의 규격화를 통화여 브랜드화가 성공한다면, 중국 소비자를 강원 영동권으로 유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양공항 활성화, 알펜시아 활성화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막대할 것으로 기대된다.2. 활용방안○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된 해삼의 자숙, 염장, 건조 기술은 유사한 재질의 해양
바이오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하여, 이를 이용한 일련의 고부가 수산 가공 제품 개발 연구로 확장, 발전 가능하다.○ 고품질의 해삼 가공 공정을 개발함으로써 해삼 최대 소비국인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화교가 있는 전 세계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제품으로 개발이 가능하다.○ 고품질 해삼 가공 제품의 개발 및 판촉을 통하여 브랜드화 함으로써 해삼을 관광자원화하여, 강원지역의 영동권을 해삼과 연계한 관광지로 개발 가능하다.
Page243
화 및 지역 브랜드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차별화된 품질의 고부가 가공제품은 주 고객인 중국시장과 동남아시장에 대한 수출이 가능하므로 해외수출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특히 중국과 FTA 체결 시 강력한 수출품목으로 성장이 가능하다.○ 생산 공정의 규격화와 제품 품질의 규격화를 통화여 브랜드화가 성공한다면, 중국을 비롯한 외국의 소비자를 강원 영동권으로 유치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나. 기술적 파급효과○ 염장 건해삼 제조를 위한 복합공정의 설계기술은 전처리 공정과 건조공정에 대한 복합설계로, 해삼에 대하여 1)공정비용의 경제성, 2)품질 상승 및 균일화, 3)안전성 확보, 4)탄소배출량 저감, 5)신기술의 지적재산권확보 및 원천기술확보를 가능하게 된다.○ 건조시간을 단축하여 건조 시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의 직접적인 절감이 가능하며, 미생물의 2차 오염 등에 의한 부패를 최소화하며 미량원소의 방출 최소화로 차별화된 품질의 해삼 가공제품 확보 가능하다.다. 경제 산업적 파급효과○ 전통적으로 식품 및 약재로 사용해 온 해삼의 고품질 가공 제품 개발로 식문화를 풍성하게 하며, 해삼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증가 및 해삼 소비 촉진이 기대되어진다.○ 국내외적으로 가공 해삼 시장의 크기가 매우 크며 가공품에 대한 부가가치는 매우 높으나 과학적 원천기술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가공제품 및 가공 설비(공정)에 대한 원천적 기술 확보로 국가기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해삼 가공 및 양식기술 발전으로 대량 생산된 해삼의 고부가 가공제품의 사업화가 가능하므로 외부 인프라 유치 및 새로운 벤처산업의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 및 지역 브랜드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차별화된 품질의 고부가 가공제품은 주 고객인 중국시장과 동남아시장에 대한 수출이 가능하므로 해외수출로 신 시장개척이 가능하며, 특히 중국과 FTA 체결 시 강력한 수출품목으로서 역할을 기대 할 수 있다.○ 생산 공정의 규격화와 제품 품질의 규격화를 통화여 브랜드화가 성공한다면, 중국 소비자를 강원 영동권으로 유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양공항 활성화, 알펜시아 활성화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막대할 것으로 기대된다.라. 활용방안○ 본 과제를 통하여 개발된 해삼의 자숙, 염장, 건조 기술은 유사한 재질의 해양
바이오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하여, 이를 이용한 일련의 고부가 수산 가공 제품 개발 연구로 확장, 발전 가능하게 된다.
Page310
※ 사업비는 참여기관 배정 사업비임.운영비 제외 함.1. 1차년도사업비(천원)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1,127,500 73,30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279,100 5,000 강원대학교 221-83-01195 대학40,100 0 포항공과대학교 506-82-02384 대학230,900 8,000 관동대학교 226-82-00011 대학223,400 10,500 한림대학교 221-82-05646 대학439,500 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부출연209-82-03522 연구소39,700 5,000 CBS 소프트(주) 314-81-59466 중소기업0 4,800 (주)엠씨바이오텍 206-81-97572 중소기업0 9,000 (주)센코 226-81-32985 중소기업0 2,000 코디아이 226-07-58063 중소기업0 2,500 (주)피비아이 133-81-22977 중소기업0 5,200 (주)에이티맥스 104-81-80042 중소기업0 5,000 (주)우성슬라텍 506-81-49330 중소기업0 2,400 동성해양개발(주) 226-81-02986 중소기업0 2,400 한중환경21(주) 226-81-33043 중소기업0 17,800 (주)에코썸 128-81-58056 중소기업0 2,500 21세기 해양개발 226-02-71057 중소기업0 3,000 금영식품 226-01-32912 중소기업0 0 마이크로오즈 135-16-88230 중소기업0 5,000 대양수산 206-90-42281 중소기업0 5,000 한국매디 226-81-16034 중소기업0 2,500 (주)
바이오
메타 226-81-29312 중소기업0 2,500 풍미식품 227-09-60076 중소기업0 2,500 (주)국순당 215-85-08881 중소기업0 2,500 바램(주) 227-81-06840 중소기업0 2,000 동부한농화학(주) 222-85-04258 대기업0 0 (주)이프로텍 222-81-18550 중소기업0 3,800 태흥산업 132-81-41554 중소기업0 1,400 (주)위드원 226-8-29189 중소기업
Page311
0 1,400 (주)셀본 227-81-12319 소기업0 1,400 (주)선진환경 227-04-61099 소기업0 10,500 (주)바이오뉴트라 221-81-25591 소기업2. 2차년도사업비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1,603,200 65,10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정부출연916,300 57,90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9-82-03522 연구소0 3,500 (주)우진식품 226-81-32234 중소기업0 750 해우물산 227-20-91521 중소기업0 1,000 프린세스 226-09-36947 중소기업0 1,000 미소(Miso)1004 226-09-42075 중소기업0 1,000 바다향기 226-09-51647 중소기업0 2,000 제일수산 222-01-73532 중소기업0 1,500 금한산업 226-20-61344 중소기업0 1,620 (주)SKy007 226-81-32030 중소기업0 3,230 강릉초당두부 226-98-46681 중소기업0 2,500 영풍수산 227-03-40118 중소기업0 40,000 양지화학 13481-08304 중소기업0 7,500 (주)바이오뉴트라 221-81-25591 중소기업0 4,400 삼성키토피아 227-81-07306 중소기업0 3,000 경포대영어조합법인 226-81-23147 중소기업0 3,000 화인코(주) 221-81-13381 중소기업0 2,100 (주)환경
바이오
214-87-01254 중소기업0 1,850 (주)창조 124-86-09432 중소기업0 1,500 (주)써모니크 226-85-25425 중소기업0 2,850 한중환경21(주) 226-81-33043 중소기업0 2,850 (주)지.알.지 226-81-26464 중소기업0 2,000 동부한농화학(주) 222-85-04258 대기업0 2,000 (주)이프로텍 222-81-18550 중소기업0 4,000 (주)임동 124-81-61388 중소기업0 2,000 (주)동양기계 224-81-04071 중소기업0 2,250 (주)세라텍 227-04-61099 중소기업0 2,250 (주)이수세라믹 224-85-15620 중소기업0 2,250 KDIT 134-01-58200 중소기업0 2,250 (주)콩싹 226-81-35658 중소기업0 4,850 (주)센코 226-81-32985 중소기업
Page312
0 2,050 펨토텍 226-09-61636 중소기업0 5,000 (주)아모센스 137-81-58268 중소기업0 4,950 바이오씨스템 121-15-33331 중소기업3. 3차년도사업비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795,900 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318,300 0 강원대학교 221-83-01195 대학210,700 0 관동대학교 226-82-00011 대학연410,000 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부출209-82-03522 연구소0 0 해송
바이오
산업(주) 226-81-36093 중소기업0 0 (주)SKy007 226-81-32030 중소기업0 0 해인우리(주) 227-81-06840 중소기업84,200 0 HUDEM(휴뎀식품) 226-90-56937 중소기업80,100 0 옥용물산(주) 226-81-58056 중소기업0 0 제일수산 222-07-57359 중소기업115,800 6,000 (주)에코썸 128-81-58056 중소기업0 3,000 (주)써모니크 226-85-25425 중소기업0 0 (주)우성 226-81-03966 중소기업(주)동부하이텍 0 2,000 동해공장 222-85-04258 중소기업0 0 (주)이프로텍 222-81-18550 중소기업0 0 (주)임동 124-81-61388 중소기업0 0 (주)대진환경개발 226-81-26654 중소기업0 0 (주)콩싹 226-81-35658 중소기업0 0 KDIT 134-01-58200 중소기업0 0 (주)아모센스 137-81-58268 중고기업0 0 펨토텍 226-09-61636 중고기업※ 3차, 4차년도는 참여기관 연구원 인건비를 전체사업비 현물에 포함하
Page313
4. 4차년도사업비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795,900 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318,300 0 강원대학교 221-83-01195 대학210,700 0 관동대학교 226-82-00011 대학정부출연410,000 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9-82-03522 연구소러시아 30,000 0 태평양생유기화학 - 연구소연구소(PIBOC)30,000 0 충북대학교 301-82-16304 대학0 0 해송바이오산업(주) 226-81-36093 중소기업0 0 (주)해원바이오테크 415-81-09497 중소기업0 0 (주)SKy007 226-81-32030 중소기업0 0 씨엔
바이오
텍 226-10-45082 중소기업0 0 (주)해인우리 227-81-06840 중소기업84,200 0 HUDEM(휴뎀식품) 226-90-56937 중소기업80,100 0 옥용물산(주) 226-81-58056 중소기업0 0 파나시아 222-07-45227 중소기업115,800 6,000 (주)에코썸 128-81-58056 중소기업0 3,000 (주)써모니크 226-85-25425 중소기업0 0 (주)우성 226-81-03966 중소기업0 2,000 (주)동부메탈 동해공장 222-85-04258 중소기업0 0 (주)이프로텍 222-81-18550 중소기업0 0 (주)임동 124-81-61388 중소기업0 0 (주)아모센스 137-81-58268 중고기업0 0 펨토텍 226-09-61636 중고기업0 0 그린텍 227-05-29873 중소기업0 0 KDIT 134-01-58200 중소기업0 0 (주)대진환경개발 226-81-26654 중소기업※ 3차, 4차년도는 참여기관 연구원 인건비를 전체사업비 현물에 포함하
Page314
5. 5차년도사업비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1,047,460 291,18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65,000 32,000 강원대학교 221-83-01195 대학195,540 69,000 관동대학교 226-82-00011 대학70,000 21,000 한국체육대학교 215-82-07955 대학정부출연345,000 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9-82-03522 연구소러시아 30,000 0 태평양생유기화학 - 연구소연구소(PIBOC)80,000 40,000 (주)풀무원홀딩스 214-85-03641 대기업0 40,000 (주)바이오트론 130-81-58608 중소기업0 2,760 (주)하나코스 224-81-26809 중소기업0 2,760 (주)코스맥스 124-81-22463 중소기업0 19,920 (주)해조나라 226-81-38790 중소기업0 3,400 (주)아쿠아틱피드 226-81-36415 중소기업0 24,720 라이브 캠(주) 305-81-43524 중소기업0 14,100 (주)두출원글로벌 226-81-38072 중소기업0 55,000 (주)아모그린텍 137--81-58268 중소기업6. 6차년도사업비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777,500 82,08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95,000 0 강원대학교 221-83-01195 대학160,000 0 관동대학교 226-82-00011 대학55,000 0 한국체육대학교 215-82-07955 대학University of40,000 0Saskatchewan(캐나다 대학)정부출연204,000 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9-82-03522 연구소229,000 70,000 (주)풀무원홀딩스 214-85-03641 대기업118,000 0 대상(주) 109-81-14886 대기업162,500 55,000 (주)아모그린텍 226-85-27253 중소기업0 8,400 (주)서림
바이오
201-81-82623 중소기업
Page315
0 4,800 (주)
바이오
트론 130-81-58608 중소기업0 8,400 (주)리스토어랩스 226-81-40239 중소기업0 2,760 (주)하나코스 224-81-26809 중소기업0 2,760 (주)코스맥스 124-81-22463 중소기업0 10,800 (주)해조나라 226-81-38790 중소기업0 14,100 (주)두출원글로벌 226-81-43524 중소기업0 24,720 라이브켐(주) 305-81-43524 중소기업7. 7차년도사업비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681,760 104,22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정부출연235,000 70,63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9-82-03522 연구소192,900 21,165 (주)스피어테크 227-81-07553 중소기업114,640 16,000 (주)리스토어랩스 226-81-40239 중소기업118,000 11,000 (주)더마랩 124-86-05246 중소기업에스에이치115,500 26,400 해양수산개발 226-81-27503 중소기업에스에이치0 9,600 영어조합법인 226-81-38693 중소기업218,900 61,200 (주)파마리서치 220-86-07450 중소기업256,400 92,400 경포대영어조합법인 226-81-23147 중소기업8. 8차년도사업비기관명 책임자 사업자등록번호 전화 기관유형현금 현물236,900 47,820 강릉원주대학교 226-82-12220 대학정부출연72,250 55,96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9-82-03522 연구소109,000 55,000 (주)스피어테크 227-81-07563 중소기업에스에이치67,000 29,040 해양수산개발 226-81-27503 중소기업(주)파마리서치117,850 78,200 프로덕트 220-86-07450 중소기업에스에이치0 10,800 영어조합법인 226-81-38693 중소기업